$\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형 임상실습 교육환경 평가척도 타당화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Undergraduate Clinical Education Environment Measure 원문보기

의학교육논단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23 no.1, 2021년, pp.37 - 45  

천경희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  박영순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  옥지원 (동명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light of the need for a tool to evaluate th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environment as perceived by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this study is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Undergraduate Clinical Education Environment Measure (K-UCEEM) as a measurement tool for...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교육풍토를 반영하는 임상실습 교육환경을 점검하고, 미래 의료진으로 활동하게 될 학생들에게 건강한 임상 실습환경을 구축해주는 것은 매우 중요한 질 관리요인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환경평가를 위하여 임상 실습 교육환경 척도인 UCEEM의 한국형 척도 개발과 타당 화를 진행하였다.
  • UCEEMe 의학뿐만 아니라 간호 및 기타 보건의료 관련 현장실습환경에서의 경험학습 특성과 사회적 상호작용 패턴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임상실습 교육환경, 즉 교육풍토를 측정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성 타당도 검증, 문항 내적 합치도 검증을 통한 신뢰도 분석, 타 척도와의 관계성 분석을 통한 준거타당도 검증 등 체계적인 타당화 절차에 따라 UCEEM의 한국어판을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임상실습환경이 교육풍토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1개 교육기관에서 실습한 의과대학생과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연구를 시행하였다. 따라서 해당 척도를 활용한 다양한 실습 기관의 교육환경평가를 실시하여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검증을 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준거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임상실습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전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들의 경우, 임상실습 교육환경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9, 20].
  • 본 연구자들은 의과대학생과 간호대학생이 지각하는 임상실습 교육환경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임상 실습 교육풍토와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측정도구로서 UCEEM을 한국형척도로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UCEEMe 의학뿐만 아니라 간호 및 기타 보건의료 관련 현장실습환경에서의 경험학습 특성과 사회적 상호작용 패턴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임상실습 교육환경, 즉 교육풍토를 측정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 한국형 임상실습 교육환경 척도의 준거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임상실습 스트레스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un KH, Park WK, Lee SS, Park YS, Kang E. A study on the educational climate, self-directed learning and creative thinking in medical school. Korean J Think Dev. 2010;6(1):179-200. 

  2. Irby DM. Improving environment for learning in the health professions. New York (NY): Josiah Macy Jr. Foundation; 2018. 

  3. Roff S, McAleer S, Harden RM, Al-Qahtani M, Ahmed AU, Deza H,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Dundee Ready Education Environment Measure (DREEM). Med Teach. 1997;19(4):295-9. 

  4. Park KH, Park JH, Kim S, Rhee JA, Kim JH, Ahn YJ, et al. Students'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medical schools in Korea: findings from a nationwide survey. Korean J Med Educ. 2015; 27(2):117-30. 

  5. Strand P, Sjoborg K, Stalmeijer R, Wichmann-Hansen G, Jakobsson U, Edgren G.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Undergraduate Clinical Education Environment Measure (UCEEM). Med Teach. 2013;35(12):1014-26. 

  6. Stalmeijer RE, Dolmans DH, Wolfhagen IH, Muijtjens AM, Scherpbier AJ. The Maastricht Clinical Teaching Questionnaire (MCTQ) a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for the evaluation of clinical teachers. Acad Med. 2010;85(11):1732-8. 

  7. Dornan T, Muijtjens A, Graham J, Scherpbier A, Boshuizen H. Manchester Clinical Placement Index (MCPI): conditions for medical students' learning in hospital and community placements.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2012;17(5):703-16. 

  8. Ohman E, Alinaghizadeh H, Kaila P, Hult H, Nilsson GH, Salminen H.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the instrument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nd Supervision for medical students in primary health care. BMC Med Educ. 2016;16(1):308. 

  9. Abbasi Z, Ahmadi S, Esmaeilpour ZS. Psychometric properties of Undergraduate Clinical Education Environment Measure (UCEEM) in nursing and midwifery students in iran. J Urmia Nurs Midwifery Fac. 2016;14(2):145-50. 

  10. Fouad S, El Araby S, Abed RA, Hefny M, Fouad M. Using item response theory (IRT) to assess psychometric properties of Undergraduate Clinical Education Environment Measure (UCEEM) among medical students at the Faculty of Medicine, Suez Canal University. Educ Med J. 2020;12(1):15-27. 

  11. World Health Organization. Process of translation and adaptation of instruments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cited 2019 Dec 23]. Available from: http://www.who.int/substance_abuse/research_tools/translation/en/. 

  12. Beck DL, Srivastava R. Perceived level and sources of stress i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 Nurs Educ. 1991;30(3):127-33. 

  13. Lee JE, Kim SL. Relationship among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self-esteem in nursing students taking clinical experience.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05;11(1):98-106. 

  14. Browne MW, Cudeck R.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Bollen KA, Long JS, editor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 Sage; 1993. 

  15. Bentler PM.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 Bull. 1990;107(2):238-46. 

  16. Tucker LR, Lewis C. A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1973;38:1-10. 

  17. Roberts R, Cleland J, Strand P, Johnston P. Medical students' views of clinical environments. Clin Teach. 2018;15(4):325-30. 

  18. Abasi Z, Ahmadi S, Zanjani SE, Peyman A.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Undergraduate Clinical Educational Environment Measure UCEEM in Iranian nursing and midwifery students. Eurasia Proc Educ Soc Sci. 2015;3:38-41. 

  19. Kim EY, Yang SH. Effects of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o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anxiety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Nurs Adm. 2015;21(4):417-25. 

  20. Han JY, Park HS. Effects of teaching effectiveness and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on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11;18(3):365-72. 

  21. Jang YM, Park YH.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of core nursing skill on nursing student's adapting to clinical practice. J Ind Converg. 2020;18(4):77-86. 

  22. Chun YE, Hwang HY.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aring character 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self-efficacy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Asia Pac J Multimed Serv Converg Art Humanit Sociol. 2020;10(1):43-5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