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낙태에 대한 태도와 안락사 및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Abortion and Perceptions of Euthanasia and Good death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1 no.3, 2021년, pp.68 - 76  

김경숙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학 전공 대학생의 낙태와 안락사에 대한 태도 및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수준과 관련요인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자료조사는 C시 및 G시에 소재한 대학교 2곳의 간호학 전공 학생들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변인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분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낙태 반대에 대한 지지정도는 2.51±.56점(점수범위 1-4)으로 낙태에 대한 반대가 찬성보다 우위에 있었다. 안락사에 대한 인식은 3.06±.47점(4점 척도)로 중간보다 높은 수준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고, 좋은 죽음 인식은 2.97±.47점(4점 척도)으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다. 낙태에 대한 의사결정은 97.1%가 임신한 여성에게 있다고 하였으며 낙태를 경험한 대학생은 5.7%였다. 낙태에 대한 태도는 안락사에 대한 태도와 부적 상관관계(r=-.374, p<.001)를 보여 낙태반대를 지지할수록 안락사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대상자들이 간호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생명의 존엄성과 인본주의적 사고에 기초하여 환자의 인권을 보호하고 존중할 수 있도록 생명과 죽음과 관련된 윤리교육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s toward abortion, euthanasia, and the level of perception of good death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related factors.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the subjects were selected in C and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낙태 및 안락사에 대한 태도,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수준을 확인하고 변인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학 전공 대학생의 생명존중과 관련된 의료윤리관 확립을 위하여 낙태 및 안락사에 대한 태도와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수준과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최근 낙태죄 폐지에 따라 인간의 생명과 관련된 쟁점인 낙태에 대한 태도와 안락사,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의료윤리관을 확립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생명과 관련된 낙태 문제와 생명의 연장선에서 의료현장에서 경험될 수 있는 안락사와 좋은 죽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올바른 의료윤리관 확립을 위한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낙태에 대한 태도와 안락사 및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수준을 파악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낙태, 안락사, 좋은 죽음과 같은 인간의 생명과 관련된 윤리적 쟁점에 대해 간호대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바람직한 가치관 확립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을 탐색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G. C. Cho. (1988). Roman Criminal Law. Korea University Press., 

  2. J. S. Choi, J. W. Won, S. M. Chae, E. J. Park, K. Seo. (2010). Artificial Abortion surgery Status and Policy Tasks: Research Report. (2010-30-12).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 J. T. Sung. (2013). Comparatively Examined Process of Legalization of Abortion, Human Rights and Justice No. 437 (Korean Bar Association, 2013) 

  4. Internet Report. (retreviewed on 1. 15. 2021.) A heated abortion debate: women's right to self-determination versus the right to life of the fetus. (Online). https://newsis.com/view/?idNISX20171030_0000132627&cID10201&pID10200 

  5.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9). Artificial abortion survey(2018).. 

  6. J. Kim & J. Lee. (2014).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and the related predicting factors for sexual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0(3), 71-80. 

  7. K. R. Shin, P. H. Jung, B. K. Eui, & C. Cha. (2010). Sexual behavior, health risk behaviors related to reproductive health and sexual experiences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Adult Nursing, 22(6), 624-633. 

  8. S. N. Kim. (2009). Attitudes towards Euthanasia among Physicians and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8(2), 137-146. 

  9. K. H. Chung. (2019). Ensuring dignity in old age with improved quality of death.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9. Report No.: 2018-02-01. 

  10. H. S. Jeong. (2010). Recognition towards good death among physicians and nurses in an area. Master's thesis. Busan; Catholic University. 

  11.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2019). From March 28th life-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act will be improved and implemented [Internet]. Sejong: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Online). http://www.mohw.go.kr/react/jb/sjb0601vw.jsp?PAR_MENU_ID03&MENU_ID03160501&CONT_SEQ343154&page1 

  12. S. Y. Kim, S. S. Hur, B. H. Kim. (2014). Study of subjective view on the meaning of well-dying held by medical practitioners and nursing students:based on Q-methodology. Korean Journal of Hospice Palliative Care. 17, 10-17. 

  13. M. L. Olsen, K. M. Swetz & P. S. Mueller. (2010). Ethical decision making with end-of-life care: palliative sedation and withholding or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s. Mayo Clinic Proceeding. 85(10), 949-954. DOI : 10.4065/mcp.2010.0201 

  14. S. H. Kwon. (2019). Current Status and Core Competencies of End-Stage Patient Nursing Education in Nursing Department. Korean Socir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ummer Conference Report. 

  15. G. S. Lee. (2002).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Non Health Care Professionals.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16. J. Y. Park. (2014). Study on Undergraduates' Recognitions of Abortion, Suicide and Euthanasia.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7. A. K. Kim. (2001).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attitude euthanasia by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Nursing, 8(1). 95-104 

  18. C. E. Schwartz, K. Major, J. Rogers, M. A. Yunshen & G. Reed. (2003). Validation of a new measure of concept of a good death. Journal of Pallative Medicine. 6, 575-84. 

  19. H. S. Jeong. (2010). Recognition towards good death among physicians and nurses in an area, Master's thesis. Busan Catholic University. Pusan. 

  20. M. S. Rodriguez-Calvo, I. M. Martinez-Silva, J. L. Soto, L. Concheiro., & J. I. Munoz-Barus. (2012). niversity students' attitudes towards Voluntary Interruption of Pregnancy. Legal Medicine, 14(4), 209-213. 

  21. G. Buga. (2002). Attitudes of medical students to induced abortion. East African medical journal, 79(5), 259-262 

  22. C. L. Carlton, E. S. Nelson & P. K. Coleman. (2000).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abortion and commitment to the issue. The Social Science Journal, 37(4), 619-625 

  23. M. A. Monto & A. G. Carey. (2014). A new standard of sexual behavior? Aew claims associated with the "hookup culture" supported by general social survey data? Journal of Sex Research, 51(6), 605-615. 

  24. E. S. Lee & H. S. Kang. (2010). Factors influencing the experiences of sexual violence victims while dating as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6(3), 266-275. 

  25. M. O. Kim & K. S. Kim. (2015). Biomedical Ethics Awareness, Moral Self-Concepts, and Self-Esteem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ealthcare.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18(4), 478-490. 

  26. E. J. Kwak. (2020). The Relationship among Good Death Perception, Attitudes toward Advanced Directives and Attitudes toward Euthanasia in Nursing Students.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27. Y. M. Lee, K. A Jung & M. A. Son. (2015). Attitudes towards death and euthanasia among nurses and nursing students : In Convergence er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6), 213-224. DOI : 10.14400/JDC.2015.13.6.213 

  28. Y. H. Heo. (2005). View points of euthanasia between the public and nurses.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Bucheon. 

  29. S. N. Kim & H. J. Kim. (2016). Recognition of good death attitude towards the withdraeal of life sustaining treatment and attitude towards euthanasia in nurses. Korean Journal Hospice Palliative Care, 19(2), 136-144. 

  30. S. Y. Baek. (2018). A study on the death consciousness and the awareness of good death in the college of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0), 271-27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