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SI를 적용한 인공지능 교양 교과목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a Liberal Arts Applying SSI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1 no.3, 2021년, pp.229 - 235  

이경희 (호서대학교 혁신융합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술의 발전과 사회적 요구의 변화에 따라 인공지능 기술이 전 영역에 걸쳐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이에 국내 대학에서는 전공뿐 아니라 교양 교육에서도 인공지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관련 수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인공지능 교양 교육이 초창기이기 때문에 교육 방법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더 효과적인 AI 교육이 될 수 있는 SSI를 적용한 교과목 방향을 설계하고자 한다. SSI는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 윤리적 문제를 창의적, 합리적으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열린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SSI를 적용한 인공지능 교양 교과목을 개발하였다. 첫째, 교육 대상의 지능정보 사회의 행위 주체로서 특징을 고려하여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둘째,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직접 경험해보고 실생활의 다양한 사례를 중심으로 과학 기술과 사회 관련성을 심도 있게 다룰 수 있도록 접근하고 설계한다. 셋째, 공동의 문제해결을 목적으로 참여해 협력할 수 있도록 하여 협력적 문제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접근하고 설계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influencing across all areas as technology advances and social needs change. Therefore, Korean universities have actively developed and operated classe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not only in...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험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인공지능 기술을 직접 경험하고 인공지능 사회에서 실제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또는 상황을 발굴하고 이에 대해 학습 대상자들이 자기 주도적이고 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SSI 수업을 진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러한 교육은 인공지능 관련 지식과 더불어 인공지능 윤리, 보안에 관련된 지식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의식 수업에서 벗어나 SSI 수업을 통해 인공지능의 이해와 인식 개선, 기술에 대한 관심과 경험 학습 성취 향상 등 교육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수업을 설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술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이슈에 대해 단순히 찬반을 가리는 것이 아니라 윤리적인 요소를 통해 교육적 의미를 부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교육은 인공지능 관련 지식과 더불어 인공지능 윤리, 보안에 관련된 지식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 교양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SSI 수업 설계를 위한 방향에 따라 국가별 교육내용, 각 대학에 편성된 AI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개발하였다. 전문가들의 검증을 통해 완성된 주차별 강의 내용과 주요활동 사항은 Table 4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참여적 인공지능 교양 교육을 위한 SSI 수업을 설계하였다. 이를 통하여 인공지능 교양 교육에 대한 이해와 교육 현장에 어렵지 않게 적용할 수 있는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있다. 실습을 통해 인공지능 기술을 체험하여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9주차에서 14주 차에는 실습으로 체험한 기술의 문제점과 윤리적인 문제에 관해 사례를 발견하고 SSI를 적용하여 발표와 토론을 통해 해결책을 찾아가는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 2019년 12월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53회 국무회의에서 ‘인공지능 국가전략’을 발표하였다[6]. 이 회의에서는 AI 인재 양성 및 전 국민 교육을 목표로 초중등 소프트웨어 및 AI 필수교육, 전 국민의 AI 평생 교육 전략을 발표하였다. 이를 위해 초중등학교 교원 양성과 더불어 임용과정부터 SW와 AI 관련 과목을 이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개발된 교과목을 이수 후 심화 단계로 연결될 수 있는 교과목이 구성되면 더욱 좋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Y. M. Kim. (2019). Artificial Intelligence(AI) Manpower Nurturing Policies and Implications by Major Country. Khidi Brief 276,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 S. C. Ur & I. H. Kim. (2018).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beral Arts and the Needs of Other Liberal Arts Subjects in respons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A Paradigm on the Education of Universities for Humanities to Meet the AI Era.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Policy Research Report. 

  3. C. S. Lee. (2008). Development of Technology Attitude Scale for Korea Pupil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4(2), 157-174. DOI : 10.17055/jpaer.2008.14.2.157 

  4. M. Y. Ryu & S. K. Han. (2018). The Educational Perception on Artificial Intelligence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2(3), 317-324. DOI : 10.14352/jkaie.2018.22.3.317 

  5. Zeidler, D. L., Sadler, T. D., Simmons, M. L., & Howes, E. V. (2005). Beyond STS: A research-based framework for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9(3), 357-377. 

  6. Ministry of Science and ICT. (2019). Beyond IT World Power to AI Powerful Nation. 

  7. Chinese Artificial Intelligence Textbook. (2020).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imental Textbook - Part I. (Online). https://item.jd.com/12461281.html 

  8. https://github.com/touretzkyds/ai4k12/wiki 

  9. https://elementsofai.com 

  10. KOFAC. (2019). Development a Standard Curriculum Model of Next-generation Software Education. Seoul: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Science Creativity. 

  11. Baejae University. (Online). AI?SW Universities. (Online). https://sw.pcu.ac.kr/sub02/sub0201.html 

  12. E. S. Jang. (2020). A Case Study on the Operation of Artificial I ntelligence in a Liberal Arts Mandatory Curriculum.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14(5), 137-148. DOI : 10.46392/kjge.2020.14.5.137 

  13. http://www.bu.ac.kr/web/index.do 

  14. Soonchunhyang University. (n.d.). liberal arts course. (Online). https://nanum.sch.ac.kr/0204.php 

  15. J. S. Park. (2020). Need AI education" ...97.9% answered. Etnews. (Online). https://www.etnews.com/20200310000244 

  16. Ministry of Education. (2019). 2019 OECD Education Indicators.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17. C. Bailey. (1975). Neutrality and rationality in teaching. In Bridges, D. and Scrimshaw, P. (Eds.). Values and authority in school. London: Hodder and stoughton. 

  18. P. J. Fensham. (2002). Time to change drivers for scientific literacy. Canadian Journal of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Education, 2(1), 9-24. 

  19. J. M. Reiss. (2009). Teaching ethics in science.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34, 115-140. 

  20. E. Pedretti. (1999). Decision making and STS education: Exploring scientific knowledge and social responsibility in schools and science centers through and issue-based approach. School Science & Mathematics, 99(4), 174-181. 

  21. D. L. Zeidler, T. D. Sadler, M. L. Simmons & E. V. Howes. (2005). Beyond STS: A Research-based Framework for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9(3), 357-377. 

  22. P. Nuangchalerm. (2009). Development of socioscientific issues-based teaching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Journal of Social Sciences, 5(3), 239-243. 

  23. H. J. Song. (2016). Study on Developing Inventory of Students Satisfaction in Universit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 16(8), 556-567. DOI : 10.5392/JKCA.2016.16.08.556 

  24. C. H. Lawshe.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 563-575. DOI : 10.1111/j.1744-6570.1975.tb01393.x 

  25. J. S. Lee. (2001). Delphi Method. Seoul: Education Science Co.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