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에서 한손 및 양손 활동 수행 시 가속도 분석
Accelerometry of Unimanual and Bimanual Activities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재활치료과학, v.10 no.1, 2021년, pp.129 - 140  

이정은 ,  김도영 (동서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  김태훈 (동서대학교 보건의료계열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가 한손 및 양손 활동을 수행하는 동안 가속도 측정을 통해 건측 및 환측, 위팔 및 아래팔의 활동량을 비교하여 일상생활활동의 정량적 측정도구로써 가속도계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7년 9월부터 11월까지 우측 편마비 환자 10명과 좌측 편마비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한손 활동과 양손 활동을 실시하였다. 한손 활동은 마시기로 건측과 환측을 따로 측정하였고, 양손 활동은 옷입기로 건측과 환측을 동시에 측정하였다. 삼축 가속도계를 위팔의 가쪽 위관절융기 아래 지점, 아래팔의 노뼈붓돌기 아래 지점에 착용하여 수행시간과 활동량을 측정하였다. 각 3회씩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결과 : 우측 편마비 환자에서는 양손 활동 수행 시 아래팔에서만 건측의 활동량이 유의하게 많았고(p<.05), 전체 활동에서 위팔보다 아래팔의 활동량이 유의하게 많았다(p<.01, p<.05). 좌측 편마비 환자에서 한손 활동과 양손 활동 수행 시 모두 환측과 건측의 활동량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양손 활동 시 환측을 제외한 모든 활동에서 건측 및 환측의 위팔보다 아래팔의 활동량이 유의하게 많았다(p<.05). 전체 환자에서 양손 활동 수행 시 건측의 위팔과 아래팔의 활동량이 유의하게 많았고(p<.05), 전체 활동에서 위팔보다 아래팔의 활동량이 유의하게 많았다(p<.001, p<.05). 결론 : 삼축 가속도계로 위팔 및 아래팔의 활동량을 측정한 결과, 한손 및 양손 활동 수행 시 아래팔의 활동량이 위팔보다 많았고, 양손 활동 수행 시에는 건측의 활동량이 더 많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evaluat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arm activities of the affected and non-affected sides in stroke patients perform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It was intended to gather basic data for the measurement of daily activities. Methods : The participants in th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삼축 가속도계를 사용하여 편마비 환자의한 손 및 양손 활동 수행 시 상지의 움직임 패턴을 분석하여가 속도계의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 사용된 활동은 한손 사용과 양손 사용의 역학적 변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두 가지 활동을 선정하였다. 한손 활동은 삼차원 동작분석 장비를 활용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컵을 사용하여 마시기 흉내 내기이며, 양손 활동은 국내 일상생활동작훈련치료에서 가장 많이 훈련하는 옷입기 활동으로 선정하였다(Butler et al.
  • 따라서 정상인뿐만 아니라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환측 또는 건측으로 특정한 일상생활 활동 수행 시 활동량의 차이가 있는지 측정한 보완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손 및 양손 활동 수행 시 활동량을 비교하여, 추후에 뇌졸중 환자의 다양한 일상생활 활동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ndrea, T., Mauro, D., Laura, V., Paolo, T., Michela, A., Carla, Z., ... Lamberto, P. (2013). Virtual reality for the rehabilitation of the upper limb motor function after stroke: A prospective controlled trial.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10(85), 1-9. doi:10.1186/1743-0003-10-85 

  2. Barbara, B., Fulvio, M., & Antonio, S. (2014, August). A public domain dataset for ADL recognition using wrist-placed accelerometers. The 23rd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Robot and Human Interactive Communication, 738-743. doi:10.1109/ROMAN.2014.6926341 

  3. Butler, E. E., Ladd, A. L., Louie, S. A., LaMont, L. E., Wong, W., & Rose, J. (2010). Three-dimensional kinematics of the upper limb during a reach and grasp cycle for children. Gait & Posture, 32(1), 72-77. doi:10.1016/j.gaitpost.2010.03.011 

  4. Carolyn, L., Karen, J. D., & Kim, B. (2004). Outcomes of the bobath concept on upper limb recovery following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18(9), 888-898. doi:10.1191/0269215504cr793oa 

  5. Chang, J. J., Tung, W. L., Wu, W. L., & Su, F. C. (2006). Effect of bilateral reaching on affected arm motor control in stroke-with and without loading on unaffected arm.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8(24), 1507-1516. doi:10.1080/09638280600646060 

  6. de Kroon, J. R., IJzerman, M. J., Lankhorst, G. J., & Zilvold, G. (2004).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upper limb in stroke: Stimulation of the extensors of the hand vs. alternate stimulation of flexors and extensor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83(8), 592-600. doi:10.1097/01.PHM.0000133435.61610.55 

  7. de Niet, M., Bussmann, J. B., Ribbers, G. M., & Stam, H. J. (2007). The stroke upper-limb activity monitor: Its sensitivity to measure hemiplegic upper-limb activity during daily lif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8(9), 1121-1126. doi:10.1016/j.apmr.2007.06.005 

  8. Francisco, G., Chae, J., Chawla, H., Kirshblum, S., Zorowitz, R., Lewis, G., & Pang, S. (1998). Electromyogram-triggered neuromuscular stimulation for improving the arm function of acute stroke survivors: A randomized pilot stud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9(5), 570-575. doi:10.1016/S0003-9993(98)90074-0 

  9. Gardarsdottir, S., & Kaplan, S. (2002). Validity of the Arnadottir OT-ADL Neurobehavioral Evaluation (A-ONE): Performanc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eurobehavioral impairments of persons with left and right hemisphere damag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6(5), 499-508. doi:10.5014/ajot.56.5.499 

  10. Ham, M. Y., Choi, K. S., & Ryu, E. J. (2000). Analysis of nursing studies about stroke research in Korea.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3(2), 141-153. 

  11. Invernizzi, M., Negrini, S., Carda, S., Lanzotti, L., Cisari, C., & Baricich, A. (2013). The value of adding mirror therapy for upper limb motor recovery of subacute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49(3), 311-317. 

  12. Jung, H. Y., Park, B. K., Shin, H. S., Kang, Y. K., Pyun, S. B., Paik, N. J., & Han, T. R. (2007).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Multi-center study for subjects with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31(3), 283-297. 

  13. Kang, J. W., & Park, J. H. (2017). A systematic review of assessment tools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stroke patients.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6(1), 11-28. doi:10.22683/tsnr.2017.6.2.011 

  14. Kidd, D., Stewart, G., Baldry, J., Johnson, J., Rossiter, D., Petruckevitch, A., & Thompson, A. J. (1995).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A comparative validity and reliability study.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17(1), 10-14. doi:10.3109/09638289509166622 

  15. Kim, D. Y., Hwang, I. H., Jeon, S. H., Bae, Y. H., & Kim, N. H. (2011). Estimating algorithm of physical activity energy expenditure and physical activity intensity using a tri-axial accelerometer. Rehabilitation Engineering and Assistive Technology Society of Korea, 5(1), 27-33. 

  16. Kim, I. J., Im, S. M., Hong, E. N., Ahn, S. C., & Kim, H. G. (2007). ADL classification using triaxial accelerometers and RFI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Computing Convergence Technology. Retrieved from https://ieeexplore.ieee.org/xpl/conhome/4420216/proceeding 

  17. Kim, T. H., & Park, K. H. (2014). Accelerometry of upper extremity du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healthy adul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4(1), 23-31. 

  18. Law, M., Baptiste, S., McColl, M., Opzoomer, A., Polatajko, H., & Pollock, N. (1990).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An outcome measure for occupational therapy.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7(2), 82-87. doi:10.1177/000841749005700207 

  19. Lee, C. Y., & Chang, M. Y. (2014). A survey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training for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2), 35-46. doi:10.14519/jksot.2014.22.2.03 

  20. Lee, J. H., Park, J. H., Kim, Y. J., Park, H. Y., & Park, J. H. (2016). A systematic review on accelerometer to measure activity of daily living of patients with stroke.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5(2), 57-69. doi:10.22683/tsnr.2016.5.2.057 

  21. Levine, P., & Page, S. J. (2004). Modified constraint-induced therapy: A promising restorative outpatient therapy.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11(4), 1-10. doi:10.1310/R4HN-51MW-JFYK-2JAN 

  22. Liepert, J., Bauder, H., Miltner, W. H., Taub, E., & Weiller, C. (2000). Treatment-induced cortical reorganization after stroke in humans. Stroke, 31(6), 1210-1216. doi:10.1161/01.STR.31.6.1210 

  23. Marco, F., Maria, G., Maurizio, A., Paola, C., Stefano, B., Valentina, D. A., ... Patrizio, S. (2012). Clinical relevance of action observation in upper-limb stroke rehabilitation: A possible role in recovery of functional dexterity. A randomized clinical trial.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6(5), 456-462. doi:10.1177/1545968311427406 

  24. Merritt. B. K. (2011). Validity of using the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to determine the need for assist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5, 643-650. doi:19.5014/ajot.2011.000547 

  25. Miller, E. L., Murray, L., Richards, L., Zorowitz, R. D., Bakas, T., Clark, P., & Billinger, S. A. (2010). Comprehensive overview of nursing and interdisciplinary rehabilitation care of the stroke patient. Stroke, 41(10), 2402-2448. doi:10.1161/STR.0b013e3181e7512b 

  26. Noorkoiv, M., Rodgers, H., & Price, C. I. (2014). Accelerometer measurement of upper extremity movement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of clinical studies.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11(1), 1-11. doi:10.1186/1743-0003-11-144 

  27. Pan, P., Lynch, K. M., Peshkin, M. A., & Colgate, J. E. (2004). Static single-arm force generation with kinematic constraints. Journal of Neurophysiology, 93, 2752-2765. doi:10.1152/jn.00799.2004 

  28. Plamondon, R. (1995). A kinematic theory of rapid human movements. Biological Cybernetics, 72(4), 295-307. doi:10.1007/BF00202785 

  29. Potgieser, A. R. E., & de Jong, B. M. (2011). Different distalproximal movement balances in right-and left-hand writing may hint at differential premotor cortex involvement. Human Movement Science, 30(6), 1072-1078. doi:10.1016/j.humov.2011.02.005 

  30. Shumway-Cook, A., & Woollacott, M. H. (2007). Abnormal reach, grasp, and manipulation. In A., Shumway-Cook, & M. H. Woollacott (Eds.),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3rd ed., pp. 468-492).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1. Taub, E., Miller, N. E., Novack, T. A., Cook, E. W., Fleming, W. C., Nepomuceno, C. S., ... Cargo, J. E. (1993). Technique to improve chronic motor deficit after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4(4), 347-354. 

  32. Wijnroks, A., & Vermeer, A. (2002). Bimanual circle drawing in children with spastic hemiparesis: Effect of coupling modes on the performance of the impaired and unimpaired arms. Acta Psychologica, 110(2), 339-356. doi:10.1016/S0001-6918(02)00041-0 

  33. Wu, C. Y., Yang, C. L., Lin, K. C., & Wu, L. L. (2013). Unilateral versus bilateral robot-assisted rehabilitation on arm-trunk control and functions post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trial.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10(1), 1-10. doi:10.1186/1743-0003-10-35 

  34. Wu, G., Van der Helm, F. C., Veeger, H. E., Makhsous, M., Van Roy, P., Anglin, C., & Werner, F. W. (2005). ISB recommendation on definitions of joint coordinate systems of various joints for the reporting of human joint motion-part II: Shoulder, elbow, wrist and hand. Journal of Biomechanics, 38(5), 981-992. doi:10.1016/j.jbiomech.2004.05.04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