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소 진동 자극과 양쪽 팔 훈련의 융합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팔 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onvergence Intervention of Focal Vibration Stimulation and Bilateral Upper Extremity Training on Recovery of Upper Limb Function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2 no.2, 2021년, pp.95 - 101  

김선호 (원주 영광 병원 작업치료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국소 진동 자극과 양측성 팔 훈련의 융합 중재를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했을 때, 팔 기능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20명의 뇌졸중 환자를 국소 진동 자극과 양측성 팔 훈련의 융합 중재를 실시한 실험군과 양측성 팔 훈련만 실시한 대조군으로 나누어, 회기 당 30분씩 4주간, 총 20회 실시하였다. 진동자극은 실험군의 손상측 팔에 훈련이 이루어지는 30분간 적용되었다. 평가는 손상 측 팔의 회복정도와 양측 팔 의 사용량, 양손 사용의 수행의 질과 만족도를 측정하였으며,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그룹 내, 공분산 분석을 사용하여 그룹 간 비교를 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손상 측 팔의 기민성과 손상 측의 사용량에서 유의한 차이의 변화를 보였다. 효과 크기는 모든 항목에서 작은 효과 크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소 진동 자극과 양측성 팔 훈련의 융합 중재가 뇌졸중 환자의 팔 기능 회복을 위한 효율적 중재로써 임상에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vergence effect of focal vibration stimulation and bilateral upper limb training on the recovery of upper limb function when applied to stroke patients. For 20 stroke patients,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that performed convergence intervent...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양쪽 팔 훈련을 실시하고, 추가적으로 FVS를 손상 측 팔에 동시 융합했을 때, 손상 측 팔의 전반적인 기능회복과 양손 수행에 대한 회복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들에게 양측성 팔 훈련을 실시함과 동시에 마비 측 팔에 FVS을 적용하였을 때, 팔 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 임상에서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중재 방법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FVS와 양측성 팔 훈련의 동시 적용은 팔 기능 회복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FVS와 양측성 팔 훈련의 동시 적용은 팔 기능 회복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 Elsner, J. Kugler & J. Mehrhol. (2018).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for upper limb rehabilitation after stroke: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15(106), 1-4. DOI: 10.1186/s12984-018-0459-7 

  2. S. J. Page, S. A. Sisto & P. Levine, (2002). Modified constraint-induced therapy in chronic stroke.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1(11), 870-875. DOI:10.1097/00002060-200211000-00013 

  3. J. H. Cauraugh, N. Lodha, S. K. Naik & J. J. Summers, (2009). Bilateral movement training and stroke motor recovery progress: A structured review and meta-analysis. Human Movement Science, 29(5), 853-870. DOI:10.1016/j.humov.2009.09.004 

  4. J. J. Summers, F. A. Kagerer, M. I. Garry, C. Y. Hiraga, A. Loftus & J. H. Cauraugh. (2007). Bilateral and unilateral movement training on upper limb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TMS study. 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 252(1), 76-82. DOI:10.1016/j.jns.2006.10.011 

  5. M. K. Fleming, I. O. Sorinola, S. F. Roberts-Lewis, C. D. Wolfe, I. Wellwood & D. J. Newham. (2015). The effect of combined somatosensory stimulation and task-specific training on upper limb function in chronic stroke: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9(2), 143-152. DOI: 10.1177/1545968314533613 

  6. S. H. Kim. (2019). Effects of simultaneous application of focal vibration stimulation and task-oriented training in the improvement of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after strok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17(3), 117-125. DOI:10.15268/ksim.2019.7.3.117 

  7. M. Roelants, S. Verschueren, C. Delecluse, O. Levin & V. Stijnen, (2006). Whole-body-vibration-induced increase in leg muscle activity during different squat exercises.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20(1), 124-129. DOI: 10.1519/R-16674.1 

  8. R. S. Calabro, A. Naro, M. Russo, D. Milardi, A. Leo, S. Filoni, A. Trinchera & P. Bramanti. (2017). Is two better than one? Muscle vibration plus robotic rehabilitation to improve upper limb spasticity and function: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loS one, 12(10), e0185936. DOI:10.1371/journal.pone.0185936 

  9. C. Costantino, L. Galuppo & D. Romiti, (2017). Short-term effect of local muscle vibration treatment versus sham therapy on upper limb in chronic post-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53(1), 32-40. DOI:10.23736/S1973-9087.16.04211-8 

  10. H. J. Hong, H. Y. Park, J. R. Kim, & J. H. Park. (2020). Effects of bimanual intensive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9(2), 119-135. DOI:.10.22683/tsnr.2020.9.2.119 

  11. V. Mathiowetz, G. Volland, N. Kashman & K. Weber. (1985). Adult norms for the box and block test of manual dexterit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39(6), 386-391. DOI:10.5014/ajot.39.6.386 

  12. S. J. Page, G. D. Fulk & P. Boyne, (2012). Clinically important differences for the upper-extremity Fugl-Meyer Scale in people with minimal to moderate impairment due to chronic stroke. Physical Therapy, 92(6), 791-798. DOI: 10.2522/ptj.20110009 

  13. M. Noorkoiv, H. Rodgers & C. I. Price. (2014). Accelerometer measurement of upper extremity movement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of clinical studies.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11(1), 144-154. DOI:10.1186/1743-0003-11-144 

  14. J. H. Lee, I. P. Hong, J. H. Park & J. H. Shin. (2020). Validation of yonsei-bilateral activity test (Y-BAT)-bilateral upper extremity inventory using rasch analysis. OTJR: Occupation, Participation and Health, 40(4), 277-286. DOI: 10.1177/1539449220920732 

  15. J. H. Cauraugh, S. A. Coombes, N. Lodha, S. K. Naik & J. J. Summers. (2009). Upper extremity improvements in chronic stroke: coupled bilateral load training. Restorative Neurology And Neuroscience, 27(1), 17-25. DOI: 10.3233/RNN-2009-0455 

  16. O. Donchin, A. Gribova, O. Steinberg, A. R. Mitz, H. Bergman & E. Vaadia. (2002). Single-unit activity related to bimanual arm movements in the primary and supplementary motor cortices. Journal of Neurophysiology, 88(6), 3498-3517. DOI: 10.1152/jn.00335.2001 

  17. C. Y. Wu, Y. W. Hsieh, K. C. Lin, L. L. Chuang, Y. F. Chang, H. L. Liu, C. L. Chen, K. H. Lin & Y. Y. Wai. (2010). Brain reorganization after bilateral arm training and distributed constraint-induced therapy in stroke patients: a preliminary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Chang Gung Medical Journal, 33(6), 628-638. 

  18. M. Christova, S. Golaszewski, A. Ischebeck, A. Kunz, D. Rafolt, R. Nardone & E. Gallasch. (2013). Mechanical flutter stimulation induces a lasting response in the sensorimotor cortex as revealed with BOLD fMRI. Human brain mapping, 34(11), 2767-2774. DOI: 10.1002/hbm.22102 

  19. B. Marconi, G. M. Filippi, G. Koch, V. Giacobbe, C. Pecchioli, V. Versace, F. Camerota, V. M. Saraceni, C. Caltagirone & C. Caltagirone. (2011). Long-term effects on cortical excitability and motor recovery induced by repeated muscle vibra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5(1), 48-60. DOI: 10.1177/1545968310376757 

  20. R. Casale, C. Damiani, R. Maestri, C. Fundaro, P. Chimento & C. Foti. (2014). Localized 100 Hz vibration improves function and reduces upper limb spasticity: A double-blind controlled study.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50(5), 495-504. 

  21. K. A. DeCelles & M. I. Norton, (2016). Physical and situational inequality on airplanes predicts air rage. Proceedings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 113(20), 5588-5591. DOI:10.1073/pnas.1521727113 

  22. M. E. Cohen & R. W. Schemm. (2007). Clint-centered occupational therapy for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Occupational Therapy in Health Care, 21(3), 1-15. DOI: 10.1300/J003v21n03_01 

  23. D. K. Rose & C. J. Winstein. (2004). Bimanual training after stroke: are two hands better than one?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11(4), 20-30. DOI: 10.1310/NCB1-JWAA-09QE-7TXB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