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으로 입원한 환자에게 제공한 음악요법이 우울과 재활 동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sic Therapy on Depress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of In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1 no.4, 2021년, pp.220 - 229  

최윤영 (강북삼성병원 간호본부) ,  이미준 (공주대학교 의료정보학과) ,  김은실 (강북삼성병원 간호본부) ,  이지원 (강북삼성병원 간호본부) ,  권영인 (강북삼성병원 간호본부) ,  하유미 (강북삼성병원 간호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제공한 음악요법이 우울과 재활 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음악요법을 뇌졸중 환자의 간호중재방법으로 활용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K병원에 뇌졸중 진단으로 입원한 33명을 대상으로 취침 전 30분 동안 사전에 선정된 10곡의 음악을 3일간 듣게 하였다. 그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남성 참여자(25명)가 여성(8명) 참여자에 비해 많았고 연령대는 40대와 50대가 25명(75.8%)에 달했다. Wilcoxon-signed rank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우울과 재활 동기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지수준이 낮은 MMSE 1그룹(≤ 29)에서 음악요법이 우울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로 음악 요법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간호중재로 적용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을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depression and rehabilitation-motivation provided to stroke patients, thus achieving evidence-based music therapy as a nursing intervention method for patients. Thirty-three people who were hospitalized for stroke diagnosis at K-Hospital w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셋째. 뇌졸중 환자에게 음악요법으로 인한 우울과 재활 동기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뇌졸중 환자에게 제공한 음악요법이 MMSE수준에 따라 우울과 재활 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음악요법을 뇌졸중 환자의 간호중재방법으로 활용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K병원에 뇌졸중 진단으로 입원한 환자의 우울과 재활 동기의 정도를 파악하고 간호중재 프로그램으로 제공한 음악요법이 우울과 재활 동기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 설계(One Group Pretest -Posttest Design)이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음악을 매개체로 한 치료적 중재를 제공함으로써 우울감소 및 재활 동기 강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에 음악치료 효과를 검증한 많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우울과 재활 동기에 대해 포괄적으로 파악하고 간호사의 독자적인 간호 중재프로그램으로 제공한 음악요법이 우울과 재활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입원한 뇌졸중 환자에 음악요법의 적용이 우울과 재활 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단 일군 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1개 상급종합병원에서 뇌졸중으로 진단을 받고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음악요법을 간호중재로 제공하였고 중재 기간은 3일간 취침전 30분간 선호음악을 제공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모두 33명이었다.
  • 하였다. 이에 음악치료 효과를 검증한 많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지만 뇌졸중 환자의 우울은 뇌졸중 증상이 매우 복합적이면서 요인이 다양하였다[8].

가설 설정

  • 연구가설로는 음악요법이 뇌졸중환자의 우울과 재활 동기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Inc. (n. d.). MUSIC THERAPY AND MEDICINE. (Online). https://www.musictherapy.org/assets/1/7/MT_Medicine_2006.pdf 

  2. National Statistical Office. (n. d.). OECD Health Statistics_2019. (Online).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3. Korean Society of Brain Extraction. (n. d.). Stroke occurrence status. (Online). https://www.stroke.or.kr:4454/stroke/stroke_con.php 

  4. A. S. Park, E. Ko & H. S. Kang. (2016), Comparison of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Family Support and Adherence to Rehabilitation between Depressive and Non-depressive Stroke Patients. Korean J Rehabil Nurs, 19(2), 138-147. DOI : 10.7587/kjrehn.2016.138 

  5. M. S. Hong, H. S. Jo, Y. H. Yom & G. M. Kim. (2012). The Analysis of Trends and Contents of Nursing Intervention Research for Stroke Patien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1), 109-121. 

  6. K. S. Min. (2015). Poststroke Depression. Brain & NeuroRehabilitation, 8(2), 65-71. DOI : 10.12786/bn.2015.8.2.65 

  7. H. S. Yoon, H. J. Nam, S. Y. Park, J. H. Han, S. J. Jang, S. H Seong & S. Moon. (2008).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xiety, and Depression after stroke. Korean Acad Soc Home Care Nurs, 15(1), 5-13. 

  8. E. M. Oh. (2018). Predictors of Post Stroke Depression in Community-indwelling Older Adults. J Korean Gerontol Nurse, 20(3), 167-176. DOI : 10.17079/jkgn.2018.20.3.167 

  9. O. S. Kim & H. J. Kim. (2011).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Stroke Patients. Health & Nursing, 23(1), 1-12. 

  10. S. J. Kang & I. S. Kim. (2012). Effects of a Taping Therapy on Shoulder Range of Motion and Pain, Physical Function and Depression of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Korean J Adult Nurs, 24(3). 294-304. 

  11. J. Y. Ra. (2015). Effects of Song Discussion on Depress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2(1), 43-64. DOI : 10.21187/jmhb.2015.12.1.043 

  12. E. Y. Park, I. S. Shin & J. H. Kim. (2012). 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Depression in Korean Patients with a Stroke, J Korean Acad Nurs, 42(4), 537-548. 

  13. S. B. Cohi, H. J. Jeong & Y. J. Sim. (2010). Effects of Music Therapy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for Central Nervous System Injured Patients. Kosin Medical Journal, 25(1), 35-41. 

  14. E. S. Choi & E. N. Lee. (2016).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Depress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Stroke Patients. J Muscle Jt Health, 23(1), 19-27. DOI : 10.5953/JMJH.2016.23.1.19 

  15. S. Y. Oh & S. Y. Hwang. (2017). Effects of Depression on the Rehabilitation Motivation of Middle-Aged Stroke Patients-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4), 58-66. DOI : 10.5762/KAIS.2017.18.4.58 

  16. S. Y. Kim & I. H. Kim. (2017). Factors Convergent Influencing Rehabilitation Motivation among Stroke Pati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9), 375-384. DOI : 10.14400/JDC.2017.15.9.375 

  17. J. G. Sanchez, E. Duarte, N. R. Escobar, J. Sierpowska, N. Rueda, S. Redon, M. V. Heras, J. Pedro, T. Sarkamo & A. R. Fornells. (2018). Music-supported therapy in the rehabilitation of subacute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Special issue: The Neurosciences and Music VI, 318-328. DOI : 10.1111/nyas.13590 

  18. M. S. Hong & M. J. Cho. (2010).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Pain, Depression and Anxiety in Terminal Cancer Patients. J Korean Oncol Nurs, 10(1), 112-118. 

  19. J. Y. Cha & J. Y. Moon. (2015). A Meta-Analysis of the Music Therapy research to reduces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Arts Studies, 11, 193-224. 

  20. K. H. Lee. (2011). The Effect of the Group Music Therapy for Leisure Activities on the Quality of Life (Depression andSocial Support) of Disabled Elderly Persons.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13(1), 85-103. DOI : 10.21330/kjmt.2011.13.1.85 

  21. A. N. Choi, J. K. Cho & Y. H. Kim. (2010). A Study on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Activity on Day-Care Elders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Journal of Arts Psychotherapy, 6(1), 103-121. 

  22. E. H. Lee & J. B. Kim. (2015). The Effects of Self-Selected Music Listening on the Depression and Sleep Quality of Adult Breast Cancer In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Korean J Health Commun, 10(2), 115-126. DOI: 10.15715/kjhcom.2015.10.2.115 

  23. A. Y. Jung & H. Y. Park. (2019). Literature Review on Domestic Music Intervention Studies for Middle-aged Women. Journal of Arts Psychotherapy, 15(3), 261-283. DOI : 10.32451/KJOAPS.2019.15.3.261 

  24. S. Wang & M. Agius. (2018). The Use of Music Therapy In The Treatment of Mental Illness and The Enhancement of Societal Wellbing. Psychiartria Danubina. 30(7), 595-600. 

  25. E. Y. Choi, E. H. Lee, H. J. Hyun & B. M. Kyeong. (2015). An Integrative Review of Depression Related to Intervention Studies for Women in Korea Journals. Korean J Women Health Nurs, 21(4), 284-296. DOI : 10.4069/kjwhn.2015.21.4.284 

  26. S. H. Kim. (2002). A Meta-Analysis of Literature on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utcome Research. Korean Music Therapy Association, 4(2), 19-40. 

  27. J. Cohen. (1977).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NY: Academic Press. 

  28. A. Beck, C. Ward, M. Mendelsohn, J. Mock & J. Erbaugh. (1961).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4, 561-571. DOI: 10.1001/archpsyc.1961.01710120031004. 

  29. Y. H. Lee & J. Y. Song. (1991).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0(1), 98-113. 

  30. H. S. Han & N. Y. Lim. (2001).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in the Disabled.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4(4), 554-563. 

  31. H. S. Han & N. Y. Lim. (2002). On the Test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isabled's Motivation Scale for Rehabilitation, Korean J Rehabil Nurs, 5(2), 124-133. 

  32. T. R. Knapp. (1991). Coefficient alpha: Conceptualizations and anomalie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4, 457-480. DOI: 10.1002/nur.477014061 

  33. Y. J. Jeong & H. S. Kim (2019). Post-traumatic Growth among Stroke Patients: Impact of Hope, Meaning in Life, and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1(6), 605-617. DOI: 10.7475/kjan.2019.31.6.605 

  34. H. K. Kwon & S. J. Lee (2005). 2The Effect of a Movie-Based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Rehabilitation Motivation and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J Korean Acad Nurs, 47(3), 345 DOI : 10.4040/jkan.2017.47.3.345 

  35. S. H. Sok & K. S. Yang & K. B. Kim. (2005). The Effect of Stretching Exercise upon Depression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1(1), 47-56. 

  36. H. K. Kong & H. J. Lee (2008). Effect of Empowerment Program on Rehabilitation Motivation, Depress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ong the Patients with Strok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3), 406-41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