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피팅서비스 디자인 연구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Online Fitting service Study -Focusing on Interface desig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2 no.2, 2021년, pp.147 - 154  

김류희 (인제대학교 U디자인학과) ,  양승호 (인제대학교 디자인엔지니어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가상 피팅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피팅창 구조와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것으로 현재 시장에서 유통 중인 유관 서비스 사례를 분석하고 FGI를 통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기존 웹페이지에서 피팅창을 찾을 때 아이콘의 크기가 작고 가시성이 낮은 문제는 사이트 접속과 동시에 피팅창이 열리게 하였고, 피팅맵을 초기 사용자도 잘 이해 할 수 있게 정보 전달 관련 문제를 해소하였다. 또한 사용자 성향에 필요한 항목을 제공하여 정확하고 쉽게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어지는 가상 피팅 서비스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마케터에게 좋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the fitting window structure provided by the virtual fitting service web page. We analyzed the current cases and identified the user's needs for the service through usability assessment, survey, and FGI experiments. As a result of the design, the fitting window of the existing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상 피팅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그들의 시각으로 바라본 개선점을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쇼핑 사용경험이 있으며 쇼핑 실패 경험이 있는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 또한 대부분의 가상 피팅 서비스는 아직 상용화가 되지 않아 실제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용자 측면의 문제들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이 연구는 가상 피팅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팅창의 구조에 집중하여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고 사용과정에서 쇼핑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제안한다.
  • 이 연구에서는 초기 사용자가 사용하기 적합한 피팅 서비스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하여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기존 피팅 서비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의 서비스는 전반적으로 접근성이 낮아서 서비스 학습성이 부족하였고 피팅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피팅맵의 정보 전달력이 떨어져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웠다.
  • 전문가 평가는 연구에서 제안하는 피팅 서비스 웹페이지 디자인에 대한 보다 전문적인 평가 및 의견을 통하여 제안하는 서비스의 기술 구현의 가능성, 개선사항 등을 명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선행연구에서 다뤄진 CLO Virtual Fashion의 UI/UX 디자인 대표자 1명에게 연구의 디자인 목적 및 제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사전에 전달한 후 비대면으로 평가를 진행하였다.

가설 설정

  • 피팅맵은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함으로 초기 사용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디자인되어야한다. 두 번째 아바타의 자세와 뷰가 다양하지 않다. 고정되어 있는 아바타는 팔과 겨드랑이 같은 사각지대의 부위의 피팅 정도를 파악하기 힘들다.
  • 반면 제안한 디자인의 문제점은 첫째, 피팅 정도를 나타내는 피팅 맵 부분에서 타이트한 부분은 확실히 알 수 있으나 루즈한부분은 파악하기 힘들다고 평가하였다. 둘째, 재질을 확인하는 항목은 당겨보는 방식이 실시간으로 구현하기가 어렵다고 하였다. 셋째, 피팅 필터에서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이 적고 사이즈를 인지할 수 있는 네이밍이 직관적이지 않다고 평가하였다.
  • 이는 다양한 옷을 빠르게 입혀 볼 수 있는 피팅 서비스의 특징을 만족 시키지 못한다. 마지막으로 피팅창 내에서 제공하는 폰트나 픽토그램이 가시성이 떨어진다고 평가하였다. 폰트 사이즈가 크지 않을 경우 픽토그램의 중요도가 높았지만 픽토그램을 바로 이해하지 못하고 항목을 찾기 위해오랜 시간을 소요하였다.
  • 아바타를 바로 만들 수 있게 유도하는 단일 메뉴로 구성된 서브 메인 페이지의 경우, 자연스러운 워크플로우이며 추후 모바일 화면을 고려하여 아이콘 및 피팅창의 사이즈를 수정한다면 서비스 구성에 적절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반면 제안한 디자인의 문제점은 첫째, 피팅 정도를 나타내는 피팅 맵 부분에서 타이트한 부분은 확실히 알 수 있으나 루즈한부분은 파악하기 힘들다고 평가하였다. 둘째, 재질을 확인하는 항목은 당겨보는 방식이 실시간으로 구현하기가 어렵다고 하였다.
  • 고정되어 있는 아바타는 팔과 겨드랑이 같은 사각지대의 부위의 피팅 정도를 파악하기 힘들다. 세 번째 제공되는 렌더링 서비스가 느리다. 많은 신체 치수를 바탕으로 제공되는 데이터 양으로 인해 로딩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실험자들은 흥미도를 낮게 평가하였다.
  • 사용자 조사를 통해 발굴한 기존 가상 피팅 서비스의 니즈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자세와 뷰를 제공받고싶다. 부드럽고 빠르게 아바타를 360도로 돌려볼 수 있어야 하며 자세가 다양하게 제공되어 원하는 부위를 자세히 볼 수 있기를 원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 Y. Jung & H. N. Lee. (2019). Experiential Marketing Case Analysis of Online Shopping Mall Using VR, A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25(3), 393-402. 

  2. H. S. Yang & Y. L. Choi. (2011). The Influences of Shopping Enjoyment and Risk Reduction on Behavioral Intention in Internet Shopping Malls using a Moving Virtual Model.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3(3), 390-397. 

  3. H. S. Yang & C. K. Park. (2012). The Effect of Technology Readiness, Fashion Innovativeness, and Participation Level Perception on Acceptance Intention of 3D Virtual Fitting Syste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3), 269-281. 

  4. A. C. Rim. (2020). The Effect of Virtual Fitting on Purchase in Offline Stores.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5. E. M. Kang & E. J. Park. (2020). A Study on the Influence Variables of Purchasing Intentions of Apparel Products Using Virtual Fitt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26(1), 1-13. 

  6. S. W. Choi. (2013). A Study on Mobile Men' Wear Shopping Mall Emotional Interface through Virtual Reality. Society of Design Convergence, (41), 99-114. 

  7. E. M. Lim, T. Honjo & K. Umeki. (2006). The validity of VRML images as a stimulus for landscape assessment.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7(1-2), 80-93. 

  8. S. Y. Hwang & S. M. Shin. (2013). The Effects of the Virtual Avatar Fitting Models for Apparel e-Commerce in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Comparing Traditional Model with Virtual Avatar Model.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Business, 17(5), 57-69. 

  9. H. S. Yang & Y. L. Choi. (2013). The Effect of Presentation of Apparel Products on Consumers' Approach Behavior using 3D Avatar Model. The Society of fashion & Textile Industry, 15(1). 

  10. J. S. Chun & J. S. Park. (2003). A study on women's perceived body size for developing virtual fitting model in e-retailing of apparel.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6(1), 17-26. 

  11. K. M. Lee & Y. J. Hu. (2014). The Effects of Chronic Regulatory Focus Based on Types of Virtual Fitting Services on Fashion Brand Favorability and Revisit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Flow-.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5(4), 315-323. 

  12. M. J. Lee & H. S. Sohn. (2012).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t between CLO 3D Avatar Sizing and Actual Body Measurement Shape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6(4), 137-151. 

  13. S. H. Cha. (2020). An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tructure and Content Composition of Museum Websit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26(2), 567-579. 

  14. S. Y. Yin. (2015). A Comparison of Fit and Appearance between Real Clothing and Virtual Clothing Depending on Types of Virtual Clothing Program, Body Shape and Fit Status.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15. J. H. Kim & Y. K. Kim. (2019). A Study on the Convergence Characteristics 3D Virtual Fashion Design Program.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37(4), 53-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