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EN-Simulator를 활용한 안심습지 일원 수달의 주요 이동경로 예측 연구
Prediction Study on Major Movement Paths of Otters in the Ansim-wetland Using EN-Simulator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30 no.1, 2021년, pp.13 - 23  

신지훈 (계명대학교 환경과학과) ,  서보용 (계명대학교 환경과학과) ,  노백호 (계명대학교 환경과학과) ,  김지영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한성용 (한국수달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달의 주요이동 패턴을 예측하기 위하여 EN-Simulator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요 이동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범위는 대구시 안심습지를 중심으로 반경 7.5 km를 최종 범위로 설정하여 시뮬레이션 분석을 하였으며, 모형 검증을 위해 현지조사를 활용하였다. 가상의 수달 개체수는 1,000마리, 이동 스텝 수는 격자 당 1,000 스텝으로 설정하였으며, 총 841개 격자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였다. 분석결과, 평균 147.6±112.1 개체가 간격 50m 조건에서 분석범위 경계 지점에 도착하였다. 시뮬레이션 검증결과, 수달의 주요 이동 확률이 높은 지역 가운데 시뮬레이션의 '매우 높음 지역'에서 8개 수달흔적 지점(13.1%), '높음 지역'에서 9개 지점(14.8%)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동확률이 낮은 지역에서는 '낮음 지역' 8개 지점(13.1%)과 '매우 낮음 지역' 4개 지점(6.6%)으로 나타났다. 시뮬레이션의 검증결과 높음 결과값을 가지는 지역에서 특히 실제 수달의 서식 흔적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이동확률의 등급 별 단위 면적(1×1㎢ 당)에 따른 수달 출현지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가장 높은 확률로 이동하는 지역에서 단위 면적당 6.8개 흔적이 발견된 반면, 이동 확률이 낮은 지역은 0.1개 지점으로 분석되었다. 수달이 하천 지역의 주요경로를 이용하는 측면에서 보통 수준 이상 결과 지역에서는 23개(63.9%)로 많은 서식흔적이 발견되어 시뮬레이션의 주요 이동경로가 실제 수달 개체의 이동로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N-Simulator 분석은 수달의 이동경로 선택에 있어서 공간특성이 이동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예측 가능하고 분석값을 활용하여 주요 이동경로 내 추가 서식지 조성 및 로드킬 위험 지역을 사전에 파악하여 예방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performed a Random Walker analysis to predict the Major Movement Paths of otters.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a simulation analysis with a radius of 7.5 km set as the final range centered on the Ansim-wetland in Daegu City, and a field survey was used to verify the model. The num...

Keyword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시뮬레이션을 통한 공간 분석은 시간과 비용 등을 절감하고 넓은 공간을 분석하기에 유리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EN-Simulator를 활용하여 수달의 주요 이동 경로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EN- Simulator는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형 장애물의 유형화, 동물이동 가능성, 이동 방법의 다양성 등을감안할 수 있으며 국내 지역 여건을 고려한 중대형 포유류에 대한 적용을 통해 생물 종의 이동 경로를 추정하는 데 유용하다(김지영 등, 2016).
  • EN- Simulator는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형 장애물의 유형화, 동물이동 가능성, 이동 방법의 다양성 등을감안할 수 있으며 국내 지역 여건을 고려한 중대형 포유류에 대한 적용을 통해 생물 종의 이동 경로를 추정하는 데 유용하다(김지영 등, 2016). 시뮬레이션은 경사도, 환경조건 등에 따라 속성값을 부여하며, 실제 동물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고려하여 현실성을 제고하고 있다. 또한, 개발 사업이 생태계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 예측 및 인공적인 지형 장애 요소들이 추가됨에 따라 야생동물의 이동 경로에 변화를 예측하고자 하였다(김지영 등, 2016).
  • 시뮬레이션은 경사도, 환경조건 등에 따라 속성값을 부여하며, 실제 동물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고려하여 현실성을 제고하고 있다. 또한, 개발 사업이 생태계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 예측 및 인공적인 지형 장애 요소들이 추가됨에 따라 야생동물의 이동 경로에 변화를 예측하고자 하였다(김지영 등, 2016). 동물의 이동을 고려한 연결성 연구는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하나의 방법론으로 활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 활용한 사례는 아직 부족한 실정으로 다양한 생물 종에 적용하여 연구자료 및 개발 전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대구시 안심습지 일대에 서식하는 수달의 주요 이동 패턴을 예측하기 위하여 EN- Simulator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델링 결과를 토대로 현지 조사 및 출현 정보를 기반으로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도심지역 내 습지 지역의 멸종위기야생생물Ⅰ급 수달의 주요 이동 경로를 파악하여 분석범위 내 서식지 추가 조성 예정지 및 로드킬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대구시 안심습지 일대에 서식하는 수달의 주요 이동 패턴을 예측하기 위하여 EN- Simulator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델링 결과를 토대로 현지 조사 및 출현 정보를 기반으로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도심지역 내 습지 지역의 멸종위기야생생물Ⅰ급 수달의 주요 이동 경로를 파악하여 분석범위 내 서식지 추가 조성 예정지 및 로드킬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모델링 결과를 토대로 현지 조사 및 출현 정보를 기반으로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도심지역 내 습지 지역의 멸종위기야생생물Ⅰ급 수달의 주요 이동 경로를 파악하여 분석범위 내 서식지 추가 조성 예정지 및 로드킬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습지 일대 서식하는 수달의 주요 이동 경로 예측하기 위한 평가항목을 설정하고 평가대상 841개 격자를 대상으로 현지 조사로 확보한 수달의 서식 흔적 지점을 이용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ArcViewGIS프로그램의 Count pointsinPolygon모듈을 이용하여 분석 격자 별로 얼마나 많은 수달 서식(이동) 흔적을 포함하고 있는지 계산하고, 만일 분석 격자에 생물 종 분포지점이 많을수록 평가점수를 높게 부여하고, 분석 격자에 생물 종 분포지점이 적으면 낮은 평가점수를 할당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EN-Simulator를 이용한 수달의 이동 확률 분석에 따라 생물종의 행동권을 고려한 다양한 대상지역에서의 야생동물 이동확률 및 서식지 선택에 있어 장애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다. 대구시 안심습지 일대를 연구대상지로 수달이 대상 지역 내 장애요인을 회피하며 이동함에 따른 이동확률 분석과 실제 수달의 서식 흔적 지점과 유의미한 상관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driaensen F, Chardon JP, De Blust G, Swinnen E, Villalba S, Gulinck H, Matthysen E. 2003. The application of least-cost modelling as a functional landscape model.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4(4): 233-247. 

  2. Cha IH. 2011. Ecological indicator species of rivers Otter. River and Culture 7(3): 34-37. [Korean Literature] 

  3. Cha SM, Han SY, Son SW. 2001. Food habits of Eurasian otter (Lutra lutra) in Seomjin river and Namhae area in Korea. The Korean Society for Integrative Biology Conference Proceedings 135. [Korean Literature] 

  4. Chang EM, Park K, Chae HY. 2008. Otter Habitat Analysis and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in Dadohae National Park Using GIS Techniques.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16(3): 343-357. [Korean Literature] 

  5. Cho SY, Park SY, Nam HY, Park CU, Seo SG, Lee SY, Bing GC, Kwon YS. 2014. Status of Bird Banding on Heuksan-do,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 Stopover Site on an East-Asian Migratory Bird Flyway.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5(2): 54-61. [Korean Literature] 

  6. Choi JW, Yoon MH. 2012. A Study on food habits of the otter (Lutra lutra) and effects of construction of the Busan new port on its prey. J. Life Sci. 22(6): 736-743. [Korean Literature] 

  7. Choi TY, Lee YS, Park CH. 2006. Home-range of Wild Boar, Sos scrofa living in the Jirisan National Park, Korea. J. Ecol. Environ. 29(3): 253-257. [Korean Literature] 

  8. Daegu Regional Environmental Office. 2005. Geumho River, alive. Daegu: Regional Environmental Office 

  9. Daegu. 2019. Otter Behavior ecology & Protection strategy. Daegu: Metropolitan City 

  10. Erlinge S. 1968. Territoriality of the Otter Lutra lutraL. Oikos 19(1): 81-98. 

  11. Han YH, Kim DY, An WY. 2002. Wetland Environment and Vegetation Development of the Ilwol Reservoir.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5(2): 9-16. [Korean Literature] 

  12. IUCN(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2014.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13. Jeong JC, Jo YS. 2004. Analysis about Habitat of Eurasian Otter Lutra lutra L. by Using GIS in the River Ungok of North-Kyongsang Province. The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ssociation of Korea 12(1): 29-42. [Korean Literature] 

  14. Jeong SG, Park CH, Woo DG, Lee DK, Seo CW, Kim HG. 2015. Selecting Core Areas for Conserving Riparian Habitat Using Habitat Suitability Assessment for Eurasian Otter.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8(2): 19-32. [Korean Literature] 

  15. Jung SM, Kang JH, Kim IK, Lee HS, Lee SW, Oh HS. 2018. Autumn Migration of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Tracked by Wild-Tracker in East Asia. Korean J. Ecology and Environment 32(5): 478-485. [Korean Literature] 

  16. Kim IT, Cheong SW, Park JW. 2005. Vegetation of Jangcheok wetland. J. Wet. Res. 7(1): 129-138. [Korean Literature] 

  17. Kim JY. Ro TH, Yoo SD, Seo BY. 2016. Simulation for Ecological Network Change Using Random Walk as an EIA Tool(II). Korea Environment Institute Research Reports. [Korean Literature] 

  18. Lee DK, Park C, Song WK. 2008. Analysis of Wildlife Moving Route with Landscape Characteristics. J. Environ. 17(2): 133-141. [Korean Literature] 

  19. Lee KH. 2008.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Landscape Ecological Improvement Indicators for the Environment-Friendly Geumho River Management., Ph.D.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Korean Literature] 

  20. Manson CF, MacDonald SM. 1987 Acidification and otter (Lurta lutra) distribution on a British River. Mammalia 51(1): 81-87. 

  21. Min HK, Kim JK, Kwon OK. 2013. A Studies on the Behavior Ecology and Habitat Environment of Eurasian Otter(Lutra lutra) in Jinyang-lake Dam area. JALS 47(3): 81-92. [Korean Literature] 

  22. Mulamoottil G, Warner BG, McBean EA. 1996. Wetlands: environmental gradients, boundaries, and buffers. Lewis CPC Press. 

  23. Park JJ, Woo DG, Oh DH, Park CH. 2012. Site Selection of Wildlife Passage for Leopard Cat in Urban Area using Space Syntax. J Korean Inst Landsc Archit 40(1): 92-99. [Korean Literature] 

  24. Shin GH, Kim HR, Jang SR, Kim HY, Rho PH. 2019. Evaluating the Criteria and Weight Value for Ecological Network Connectivity of Baekdudaegan Mountain Range on Taebaeksan National Park. Korean J. Ecology and Environment 33(3): 292-302. [Korean Literature] 

  25. Shin GH, Rho PH. 2017. Impacts of Aquatic and Riparian Environmental Factors on Eurasian Otter (Lutra lutra) Presence Characteristics in the Nakdong River Basin. J. Environ. Sci. Int. 26(12): 1341-1353. [Korean Literature] 

  26. Woo DG, Choi TY, Kwon HS, Lee SG, Lee JC. 2015. The Food Habits and Habitat Use of Yellow-Throated Martens(Martes flavigula) by Snow Tracking in Korean Temperate Forest During the Winter. J. Environ. 24(5): 532-548. [Korean Literature] 

  27. You JH, Jung SG, Park KH, Kim KT, Lee WS. 2008. Flora in Ahnshim Wetland, Daegu Metropolitan City. Korean J. Plant Res 21(2): 162-1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