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72시간 프로젝트로 본 소규모 유휴공간 재생 프로젝트의 경관적 개선 효과
Visual Improvement Analysis of Small Scal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ocusing on '72 Hour Project'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9 no.1, 2021년, pp.19 - 30  

김현정 (조경설계 서안) ,  김영민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소규모 유휴공간을 시민참여의 방식으로 재생하는 "72시간 프로젝트" 사업의 경관적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조성된 29개소의 작품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12개의 경관형용사 쌍을 활용한 작품 조성 전·후의 경관 이미지 선호도를 분석하였으며,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 통계량 분석, 상관관계 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조성 후의 만족도는 3.63으로 프로젝트의 결과, 경관 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을 통해 조화성과 심미성이라는 두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고, 군집분석을 진행하여 네 가지 군집 별 작품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군집분석의 결과, 조화성과 심미성이 모두 높은 군집이 종합만족도 평균도 가장 높았다. 다른 군집의 특성을 비교할 때 만족도 평가 시 조화성이 심미성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작품군의 정성적인 특징을 분석한 결과, 식재 면적이 풍부하며 시각적으로 두드러지는 시설물 중심의 설계보다는 공간적으로 균형감이 있는 설계가 경관 개선 효과가 크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이용자 행태 연구를 통해 보완될 필요성이 있으며, 향후 다양한 소규모 유휴공간 재생 사업의 발전적 방향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studied the effect of visual improvement of "72 Hour Project" that has regenerated small scale derelict spaces in Seoul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29 projects built form 2016 to 2019 were analyzed. The research analyzed landscape image preference of before and after status of proj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이와같은소규모재생의방식이장기적으로발전될가 능성이있는지에대한프로젝트의실효성을파악하는실증적 연구는진행된바가없다.따라서본연구목표는소규모유휴 공간의조경적재생을통한긍정적효과를경관의시각적선호 도측면에서분석하여소규모도시재생의가능성을밝히는데 있다.이와함께72시간프로젝트를통해제시된여러공간적 재생유형의특성이어떻게경관의시각적선호도에영향을미 쳤는지를파악하고자한다.
  • 본 연구는 경관 적 측면에서 72시간 프로젝트로조성된작품이실제로어떻게받아들여지고있는지를분석하고자하였다.조성전․후이미지만족도를조사했을때평균적인만족도는 3.
  • 63으로조성후의공간이조성전보다긍정적으로받아들여 지고있어도시경관개선의측면에서72시간프로젝트의효과 가있었던것으로판단된다.분석의결과, 규모, 대상지의맥락, 지리적위치등의대상지의물리적조건이만족도에영향을준 다고보기는어려웠다.따라서디자인적요인들이만족도에영 향을미쳤다고판단할수있었으며, 디자인에 대한 평가를 경관 형용사를 통한 설문을분석한결과, 정성적인디자인요인과만족도의유의미한관계가나타났다.
  • 따라서본연구목표는소규모유휴 공간의조경적재생을통한긍정적효과를경관의시각적선호 도측면에서분석하여소규모도시재생의가능성을밝히는데 있다.이와함께72시간프로젝트를통해제시된여러공간적 재생유형의특성이어떻게경관의시각적선호도에영향을미 쳤는지를파악하고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n, H. and H. Park(2013) Flexible urban regeneration: Creative use of empty houses and vacant plots - Focused on temporary uses and tactical urbanism.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8(6): 347-366. 

  2. Byeon, J., H. Choi, J. Lee and S. Im(2006) The classification of cites based on urban image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1(3): 7-20. 

  3. Cho, W. and S. Im(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preference and visitors' satisfaction in Bukhansan Dulegi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sape Architecture 4(1): 1-11. 

  4. Heo, J. and J. Lee(2016) A study on regeneration of idle spaces focused on the relational aesthetic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5(6): 127-138. 

  5. Jeong, S. and S. Jung(2020) A study on the platform feature of space appearing in complex cultural space -Focusedon cases using idle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9(2): 73-83. 

  6. Joo, S.(2003) A Study on the Selection and the Application of Landscape Adjectives for the Urban Landscape Analysis : Focused on the GwaCheon and Yaksoo District Area.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7. Joo, S.(2014) The Analysis of and Improvement Directions for Temporary Landscape Projects in Korea : Focused on 'Take Urban in 72 Hour' in Seoul.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8. Joo, S. and S. Lee(2012)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urban stream landscape by landscape adjective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7(4) : 49-63. 

  9. Kim, H. and S. Yi(2011) The effect of urban regeneration concept revealed at the renovation plans of under-used spac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7(6): 103-112. 

  10. Kim, J. and S. Kim(2014) A study on renovation methods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for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Digital Design 14(1): 705-714. 

  11. Lee, J., M. Lee and S. Oh(2016) Tactical Utilization System of Vacant Urban Space, Sejong : AURI. 

  12. Lee, S. and W. Um(2011) A Handbook for Uban Public Spaces in Daily Life, Anyang : AURI. 

  13. Lim, Y. and H. Lim(2012) Neighborhood Regeneration Policy Proposal on the Revitalization and Reclamation of Vacant Urban Spaces, Anyang : AURI.. 

  14. Lydon, M., and A. Garcia(2015 TACTICAL URBANISM (short-term action for long-term change), Washington D.C.: Island Press. 

  15. SMG (2015 72 Hours Urban Saeng Saeng Project: Joyful sahde with flaming ideas! Seoul: SMG. 

  16. SMG (2016) 72 Hours Urban Saeng Saeng Project: Energetic resting place with flaming ideas! Seoul: SMG. 

  17. SMG (2017) 72 Hours Urban Saeng Saeng Project: From Empty Space to Sympathetic Space with Flaming Ideas! Seoul: SMG. 

  18. SMG (2018) 72 Hours Urban Saeng Saeng Project with SMG, Seoul: SMG 

  19. SMG (2019) 2019 72 Hours Urban Saeng Saeng Project, Seoul: SMG. 

  20. SMG(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4) 72 Hours Urban Saeng Saeng Project: Revive remnant space! Seoul: SMG. 

  21. Son, D., Y. Ko and Z. Yoon(2017) Street Revitalization Basedon Tactical Urbanism, Sejong : AURI. 

  22. Song, D. and J. Yoon(2006)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the visual preference on the urban streetscap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2(9): 243-251. 

  23. Suh, J., T. Park and J. Heo(2004) An analysis on the image nad visual preference of the environmental sculpture in urban streetscap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1): 57-68. 

  24. Tallon, A. (2016) Urban Regeneration in the UK, London: Routledge. 

  25. Yeo, H., J. Ku and S. Kim(2012) A study on visual preferences of urban commercial streetscape in the city - Focus on Sinsa¬dong Garosoogil -. Journal of Digital Design 12(4): 87-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