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자안전사고에 의한 손상환자의 병원내 사망 관련 요인 : 2013-2017 퇴원손상심층조사자료 활용
Factors Related to In-Hospital Death of Injured Patients by Patient Safety Accident : Using 2013-2017 Korean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 원문보기

병원경영학회지 =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26 no.1, 2021년, pp.17 - 25  

김상미 (전주대학교 보건관리학과) ,  이현숙 (국립공주대학교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analysis factors related to in-hospital death of injured patients by patient safety accident. A total of 1,529 inpatients were selected from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database(2013-2017). Frequency, Fisher's exact test, t-test, ANOVA, logistic regression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본 연구는 환자안전사고 실태를 다각도로 파악하기 위한 새로운 자료원을 제시하여 환자안전사고로 인한 사망요인을 분석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환자안전사고와 관련하여 환자안전사고의 용어정의와 범주가 정확하고 일치되지 않고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 본 연구는 100병상 이상의 전국 종합병원, 병원 등에서 입원환자 정보를 수집하는 퇴원손상심층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손상발생장소가 의료시설인 경우에 대하여 환자 손상 현황 및 사망요인을 분석하였다. 표본 자료는 일반병원 170여 곳에 대하여 총 퇴원환자의 약 9%를 계통추출법(systematic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추출한 것이다.
  • 본 연구는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사건 현황을 파악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환자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수립하는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퇴원손상심층조사자료를 활용하여 환자안전사고로 입원한 손상 환자의 인구학적 특성 및 환자 안전사고 특성 현황을 파악하고, 사망과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질병관리청의 전국적 자료를 활용한 환자안전사고에 따른 입원환자 현황 및 의료기관 내 사망과 관련된 자료는 환자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WHO.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Patient Safety. Final Technical Report January 2009. 

  2. Kim SK, Lee SI.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atient Safety System.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5. 

  3. WHO, The World Health Report 2002. [cited 2020 Nov 1] https://www.who.int/whr/2002/en/whr02_en.pdf 

  4.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ine. Improving Diagnosis in Healthcare.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15:311-314. 

  5. National Patient Safety Incident Reports. [cited 2020 Nov 3] Available from https://improvement.nhs.uk/resources/national-quarterly-data-patient-safety-incident-reports/ 

  6. Lee JH, Lee SI. Patient Safety: The Concept and General Approach. J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2009;15(1):9-18. 

  7. Lee SI. 2012 Hospital Medical Policy Spring Symposium 

  8. Korea Patient Safety Reporting & Learning System. [cited 2020 Nov 6] Available from https://www.kops.or.kr/portal/pag/view/kops/kopsGuide.do 

  9. Lee SI. Development of Institutional Mechanism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in Korea.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10. Lee SI. Policy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Care. Health and Welfare Policy Institute. 2017:229-261. 

  11. Starfield B. Is US Health Really the Best in the World? JAMA 2000;284(4):483-485.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1st Comprehensive Patient Safety Plan. 2018.13. 13. WHO-ICECI Coordination and Maintenance Group.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External Causes of Injury(ICECI). Amsterdam: Consumer Safety Institute; July 2004. 

  13. Vincent C. Patient Safety. 2nd ed. West Sussex: Wiley-Blackwell 2010. 

  14. Sundararajan V, Henderson T, Perry C, Muggivan A, Quan H, Ghali WA. New ICD-10 version of the Charlson Comorbidity Index Predicted in-hospital Mortality. J Clin Epidemiol. 2004 Dec;57(12):1288-1294. 

  15. Quan H, Sundararajan V, Halfon P, Fong A, Burnand B, Luthi JC, Saunders LD, Beck CA, Feasby TE, Ghali WA. Coding Algorithms for Defining Comorbidities in ICD-9-CM and ICD-10 Administrative Data. Med Care. 2005 Nov; 43(11):1130-1139. 

  1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s for Use of Raw Data for Korean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 in 2015. 2015. 

  17.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7 Patient Safety Statistical Yearbook. [cited 2020 Oct 13]. Available from https://www.kops.or.kr/portal/board/stat/boardList.do 

  18. Kang MU, Kim JK, Lim YS, Kim JJ, Hyun SY, Yang HJ, et al. Value of Voluntary Intranetbased Medical Error Reporting System. J Korean Emergency Medical Association 2010;21(1):110-118. 

  19. Baines RJ, Langelaan M, de Bruijne MC, Wagner C. Is Researching Adverse Events in Hospital Deaths a Good Way to Describe Patient Safety in Hospitals: a Retrospective Patient Record Review Study. BMJ Open. 2015 Jul 9;5(7):e007380. 

  20. Haukland EC, Mevik K, von Plessen C, Nieder C, Vonen B. Contribution of Adverse Events to Death of Hospitalised Patients. BMJ Open Qual. 2019 Feb 13;8(1):e000377. 

  21. OECD. OECD Reviews of Health Care Quality: Korea 2012. 

  22. Rafter N, Hickey A, Condell S, Conroy R, O'Connor P, Vaughan D, Williams D. Adverse Events in Healthcare: Learning from Mistakes. QJM. 2015 Apr;108(4):273-277. 

  23. Kavanagh KT, Saman DM, Bartel R, Westerman K. Estimating Hospital-Related Deaths Due to Medical Error: A Perspective From Patient Advocates. J Patient Saf. 2017 Mar;13(1):1-5. 

  24. Ock M, Lee SI, Kim JH, Lee JH, Lee JY, Jo MW, et al. What Should We Consider for Establishing a National Patient Safety Reporting System?. J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2015;3(1):4-16. 

  25. Kang HJ. Patient Safety Indicators in Korea and Ways for Their Improvement. Health and Welfare Forum 2016;10:17-3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