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자기주도성, 대학몰입, 비교과 만족이 진로준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s' Self-directedness, College Immersion, and Satisfaction with Extracurricular Activities on Career Prepar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3, 2021년, pp.205 - 216  

신윤미 (건국대학교) ,  오미자 (건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진로준비 과정에서 지각하는 내적 요인과 대학 생활을 통해 경험하는 외적 요인 간의 관계를 통해 진로 지원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K대학 927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하였다. 총 4단계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각 모형의 설명력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연구결과, 모형 1과 2 모두 성별이 진로준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지만, 모형 2에 자기주도성이 추가되자 성별과 비교했을 때 자기주도성이 진로준비에 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 3에서는 비교과 만족을 추가하였으며 진로준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몰입을 추가한 모형 4에서는 대학몰입 즉, 대학에서 느끼는 소속감이 높을수록 진로준비에 도움이 된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개인특성과 재학 중에 경험하게 되는 진로 관련 활동, 대학몰입 간 관계를 파악하여, 이를 고려한 대학생의 진로준비 지원 정책 마련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iscuss ways needed to prepare their careers through relations between the personal internal factor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in the process of career preparation and the external factors they experience during college life. To this end, the study conducted not only a questio...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준비 과정에서 이들이 인식하는 개인의 내적 요인과 대학생활을 통해 경험하는 외적 요인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대학 차원에서 학생들을 이해하고,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한진로 준비 지원방안을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내적 요인으로 성별, 학년, 전공계열, 자기주도성을 상정하였으며 외적 요인으로 전반적인 대학 생활 과정 측면에서 경험할 수 있는 비교과 만족도와 대학몰입을 연구 변인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I. Gati, N. Levin, and S. Landman-Tal, "Decision-making models and career guidance," In International handbook of career guidance. Springer, Cham. 

  2. 교육부, 제2차 진로교육 5개년 기본 계획, 세종: 교육부, 2016. 

  3. 이명균, 이일용, "진로교육법 입법과정과 그 쟁점에 대한 입법정책적 분석," 교육법학연구, 제29권, 제1호, pp.119-146, 2017. 

  4. 김호원, 이종구, "기업의 실무형 인력공채를 위한 대학의 취업지원 인프라 분석에 관한 연구-대학특성과 재학생 인적특성에 따른 취업지원만족도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제19권, 제2호, pp.189-211, 2012. 

  5. 손윤희, 이신혜, "대학생들의 대학 및 전공 선택 요인유형 분석-잠재전이분석을 이용한 진로정체감 유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제32권, 제3호, pp.139-157, 2019. 

  6. 박혜선, 김봉환, "여대생의 완벽주의 성향이 진로결정 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제14권, 제1호, pp.343-357, 2013. 

  7. 김정희, 정일환, 정진철, 주동범, 박세훈, 권동택, 강낙원, 이현민, "대학생의 교내 진로교육 프로그램 참여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9권, 제2호, pp.63-88, 2017. 

  8. 이지연, 고등교육단계에서의 효율적인 진로지도 방안연구: 4년제 일반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9. 임언, 장홍근, 윤형한, 직업진로교육의 실태 및 과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10. D. E. Super, "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16, No.3, pp.282-298, 1980. 

  11. 장계영, 김봉환, "대학생 진로적응성 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제12권, 제2호, pp.539-558, 2011. 

  12. 김현순,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영향 요인 분석," 진로교육연구, 제32권, 제3호, pp.25-41, 2019. 

  13. 정미경,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간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제21권, 제3호, pp.85-106, 2015. 

  14. http://www.career.go.kr/cnet/front/commbbs/courseMenu/commBbsView.do?BBS_SEQ141103 

  15. 이종찬,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연구성과의 비교분석," 취업진로연구, 제3권, 제1호, pp.49-66, 2013. 

  16.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17. 조규판, 장은영,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율성,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지연행동 수준에 따른 진로탐색행동의 차이," 진로교육연구, 제25권, 제2호, pp.1-20, 2012. 

  18. 고경필, 심미영,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취업스트레스,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의 구조관계 분석," 진로교육연구, 제27권, 제1호, pp.19-38, 2014. 

  19. 김명옥, 박영숙,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취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11호, pp.69-90, 2012. 

  20. 노윤신, 정철영,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주도적 성향, 진로탐색행동,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8권, 제2호, pp.55-81, 2016. 

  21. 박미경, 김영숙, 이현림, "여대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자아정체감, 진로결정 수준의 구조적 분석," 직업교육연구, 제27권, 제2호, pp.1-26, 2008. 

  22. 조현재, "대학생의 개인특성이 진로미결정, 진로결정가지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제33권, 제4호, pp.103-127, 2014. 

  23. L. L. Watts, M. C. Frame, R. G. Moffett, J. L. Van Hein, and M. He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occupational aspiration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45, No.1, pp.10-22, 2015. 

  24. B. H. Lee, J. Zhu, D. Diaz, J. Fischer, L. Y. Flores, C. L. Lin, J. Beilgard, S. May, M. Munoz, M, Shahin, and R. Atilano, "Racial/ethnic minority vocational research trends: An 11-year update,"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Vol.65, No.4, pp.288-301, 2017. 

  25. 김예림, 정혜원, "대학생의 진로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5호, pp.823-845, 2000. 

  26. 여승수, 박소희,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ing) 분석의 활용: 교육과정 중심측정 종단 자료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제13권, 제4호, pp.247-273, 2012. 

  27. 김아영, "미래 교육의 핵심역량: 자기주도성," 교육심리연구, 제28권, 제4호, pp.593-617, 2014. 

  28. 강명숙, 방은령, "대학생의 자기주도성, 학습몰입, 진로결정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20권, 제4호, pp.443-467, 2014. 

  29. R. G. Brockett and R. Hiemstra, A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self-direction in adult learning, In R. G. Brockett & R. Hiemstra (Eds.), Self-Direction in Adult Learning: Perspectives 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ew York & London: Routledge, 1991. 

  30. 이은석, 이형국, "대학생 대상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연구," 교육학연구, 제58권, 제2호, pp.131-160, 2020. 

  31. 전하람, "대학생의 기숙사 거주가 초기 대학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교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문제연구, 제35권, 제4호, pp.37-63, 2017. 

  32. 조윤형, 정진철, 문명, "개인-학교, 개인-전공 적합성과 취업가능성,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멘토링의 조절효과. 대한경영학회지, 제26권, 제3호, pp.749-780, 2013. 

  33. 서희정, 윤명희, "대학생용 진로준비행동검사의 표준화 연구: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업교육연구, 제33권, 제3호, pp.105-125, 2014. 

  34. 강명희, 이은경, 이응택, "대학생의 중도탈락의도의 변화 추이와 영향 요인," 청소년문화포럼, 제58권, 제1호, pp.5-30, 2019. 

  35. 손영화, "대학생의 성취동기가 진로결정 및 취업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과학연구, 제29호, 제1권, pp.235-253, 2010. 

  36. 김정희, 강낙원, 권동택, 박세훈, 정일환, 정진철, 주동범, 이현민, 대학생 진로교육 실태 모니터링, 서울: 대통령직속청년위원회.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5. 

  37. 진미석, 정혜령, 이수영, "국내 4년제 대학의 진로개발지원 현황과 과제," 진로교육연구, 제23권, 제1호, pp.135-152, 2010. 

  38. 지계웅, 한진영, "4년제 대학생들의 학년별 취업준비행동 비교연구-C 대학을 사례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6호, pp.33-41, 2016. 

  39. 김정희, 정일환, 정진철, 주동범, 이현민, "4년제 대학교의 진로교육 프로그램 및 진로교육전담기구 현황분석," 진로교육연구, 제29권, 제4호, pp.1-28, 2016. 

  40. 이강주, 허은정, 이상무, 박승재, 우정원, 효연, 대학의 진로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15. 

  41. 조대연, "학습의 자기주도성과 팀내 대인관계기술의 관계," 교육문제연구, 제23권, pp.223-242, 2005. 

  42. P. C. Candy, Self-Direction for Lifelong Learning. A Comprehensive Guide to Theory and Practice, San Francisco, 1991. 

  43. L. M. Guglielmino,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1977. 

  44. 황애영, 탁진국, "주도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프로틴 경력지향을 매개변인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4권, 제2호, pp.409-428, 2011. 

  45. M. S. Knowles,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New York: Association Press. 1975. 

  46. 문승태, 박미하, 양복만, "대학생의 인간관계와 학습의 자기주도성 및 진로적응성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pp.39-60, 2012. 

  47. 정은이, "대학생의 자기주도성과 대학 적응의 관계에서 다양성 수용도 및 진로 역량의 매개 효과," 교육방법연구, 제28권, 제4호, pp.651-679, 2016. 

  48. 이석재, 장유경, 이헌남, 박광엽, 생애 능력 측정 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3. 

  49. 김수연, 이명관,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인식 및 수요조사를 통한 운영 방향성 제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9호, pp.585-609, 2016. 

  50. 장상필, 김지일, "비교과 교육을 통한 융합적 사고력 증진 방안 연구: 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인문학적 소양을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 제13권, 제4호, pp.135-156, 2015. 

  51. 이보경, 김은정, 유광수, 이원경, 장수철, "쌍방향 (In/Out Bound) 국제화를 지향한 대학의 교육실태와 비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제6권, 제4호, pp.463-492, 2019. 

  52. V. Tinto, Leaving college: Rethinking the causes and cures of student attrition,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3. 

  53. 최정윤, 신혜숙, "세 시점 자료를 활용한 대학몰입의 영향요인 및 학업성취도에 대한 효과 분석: Tinto의 대학-학생 상호작용 모델 적용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제19권, 제3호, pp.1-22, 2016. 

  54. 김지자,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측정 도구의 개발과 활용방안," 사회교육학연구, 제2권, 제1호, pp.1-25, 1996. 

  55. A. Nora and A. F. Cabrera, "The construct validity of institutional commitment: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Vol.34, No,2, pp.243-262, 1993. 

  56. 배상훈, 한송이, "대학생의 수업 외 활동이 능동적 협동적 학습 및 대학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제53권, 제2호, pp.323-356, 2015. 

  57. 임경수, "취업지원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준비행동,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효과," 교육혁신연구, 제28권, 제3호, pp.177-193, 2018. 

  58. 유희영, 오윤정, "대학생의 진로 및 진로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네트워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17호, pp.1023-1045, 2019. 

  59. 오미자, 박수미,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인증 지표 설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8호, pp.81-102, 2020. 

  60. 손은령, 손진희, "한국 대학생의 진로결정 및 준비행동-사회 인지적 진로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7권, 제2호, pp.399-417, 2005. 

  61. 문윤경, 오현주, 김미경, "대학생 구직준비역량, 직업기초역량, 직업적응역량의 교육요구도 분석-D 대학중심으로." 취업진로연구, 제9권, 제4호, pp.115-137,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