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파워링 리더십이 내재적 동기, 잡 크래프팅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Intrinsic Motivation, Job Crafting and Job Performanc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3, 2021년, pp.463 - 477  

이규용 (울산과학대학교 안전및산업경영공학과) ,  송정수 (울산대학교 경영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임파워링 리더십내재적 동기, 잡 크래프팅,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내재적 동기와 잡 크래프팅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양산, 울산, 경주의 중소기업 종사자로부터 수집한 설문자료를 사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공분산 구조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내재적 동기, 잡 크래프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재적 동기는 잡 크래프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무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잡 크래프팅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임파워링 리더십과 잡 크래프팅 간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가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성과 사이에 잡 크래프팅이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조직구성원의 직무성과 향상을 위해 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을 통한 내재적 동기와 잡 크래프팅을 강화시켜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intrinsic motivation, job crafting, and job performance.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and job craf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was verifie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as condu...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60)

  1. S. P. Brown and R. A. Peterson, "Antecedent and consequences of salesperson job satisfaction: A meta-analysis and assesment of causal effec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0, No.1, pp.63-77, 1993. 

  2. K. D. Miller, "Correlation-based models of neural development," In Neuroscience and Connectionist Theory, M. A. Gluck and D. E. Rumelhart, Ed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NJ: Hillsdale, pp.267-353, 1990. 

  3. J. J. Arnold, S. Arad, J. A. Rhoades, and F. Drasgow, "The empowering leadership questionnaire: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new scale for measuring leader behavior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1, pp.249-269, 2000. 

  4. R. J. Spinelli, "The applicability of Bass's model of transformational, transactional, and laissez-faire leadership in the hospital administrative environment," Hospital Topics, Vol.84, No.2, pp.11-18, 2006. 

  5. A. Srivastava, K. M. Bartol, and E. A. Locke, "Empowering leadership in management teams: effects on knowledge sharing, efficacy and performance," Academy Management Review, Vol.49, No.6, pp.1239-1251, 2006. 

  6. C. L. Pearce and H. P. Sims, "Vertical versus shared leadership as predictors of the effectiveness of change management teams: An examination of aversive, directive, transactional, transformational, and empowering leader behaviors," Group Dynamic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Vol.6, No.2, pp.172-197, 2002. 

  7. M. Tims, A. B. Bakker, and D. Derk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job crafting scal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80, No.1, pp.173-186, 2012. 

  8. 이성화, 고성훈, 문태원, "조직구성원에게 인식된 조직의 미덕이 직무성과와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경영과 정보연구, 제35권, 제5호, pp.81-108, 2016. 

  9. H. J. Wang, E. Demerouti, and P. Le Blanc,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daptability, and job crafting: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100, pp.185-195, 2017. 

  10. A. Wrzesniewski and J. E. Dutton, "Crafting a job: Revisioning employees as active crafters of their work,"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6, No.2, pp.179-201, 2001. 

  11. 김종관, 이영남, "중국기업 임파워링 리더십이 종업원의 혁신행동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핵심자기평가(CSE)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1권, 제4호, pp.113-130, 2014. 

  12. 최민성, 송해덕,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업무통제소재와 직무열의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한국HRD연구, 제12권, 제3호, pp.29-63, 2017. 

  13. 백혜민, 임파워링리더십과 상사의 비인격적인 행동이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14. 주세영,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혁신적 행동과 친사회적 행동,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부서원의 인지적 유연성과 직무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5. 김경태, 박현주, 정홍상,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몰입, 혁신행동, 직무성과 간의 인과적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행정논집, 제28권, 제3호, pp.517-538, 2016. 

  16. 용석현, 임파워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웰빙, 업무성과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의미감과 심리적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7. J. F. Cox, C. L. Pearce, and M. L. Perry, "Toward a model of shared leadership and distributed influence in the innovation process: How shared leadership can enhance new product development, team dynamics and effectiveness," In C. L. Pearce and J. A. Conger (Eds.), Shared leadership: Reframing the hows and whys of leadership (pp.48-76), Thousand Oaks, CA: Sage, 2003. 

  18. R. P. Vecchio, J. E. Justin, and C. L. Pearce, "Empowering leadership: An examination of mediating mechanisms within a hierarchical structure," The Leadership Quarterly, Vol.21, No.3, pp.530-542, 2010. 

  19. 임경호, 경찰 중간관리자의 권한부여형 리더십이 직무태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잡크래프팅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20. G. Chen, P. N. Sharma, S. K. Edinger, D. L. Shapiro, and J. L. Farh, "Motivating and de-motivating forces in teams: Cross-level influences of empowering leadership and relationship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6, pp.541-557, 2011. 

  21. 윤금순, 호텔 조리부서장의 임파워링 리더십과 부서원의 향상초점 및 내재적 동기, 창의성,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22. N. M. Lorinkova, M. J. Pearsall, and H. P. Jr. Sims, "Examining the differential longitudinal performance of directive versus empowering leadership in team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56, pp.573-596, 2013. 

  23. 강혜선, 서배배, 구자숙, "잡 크래프팅의 선행요인과 일 관련 결과에 대하여," 노동정책연구, 제15권, 제3호, pp.29-61, 2015. 

  24. E. L. Deci and R. M. Ryan,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 Plenum, 1985. 

  25. M. Gagne and E. L. Deci,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work motiva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6, No.4, pp.331-362, 2005. 

  26. P. Warr, J. Cook, and T. Wall, "Scales for the measurement of some work attitudes and asp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52, pp.129-148, 1979. 

  27. T. M. Amabile, K. G. Hill, B. A. Hennessey, and E. M. Tighe, "The Work Preference Inventory: Assessing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6, No.5, pp.950-967, 1994. 

  28. J. M. Berg, A. Wrzesniewski, and J. E. Dutton, "Perceiving and responding to challenges in job crafting at different ranks: When proactivity requires adaptivit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31, No.2-3, pp.158-186, 2010. 

  29. 안지나, 임파워링 리더십이 혁신행동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30. S. Amundsen and O. L. Martinsen, "Empowering leadership: Construct clarification, conceptualizat ion, and validation of a newscale," The Leadership Quarterly, Vol.25, No.3, pp.487-511, 2013. 

  31. 윤성혁, 정기수, "관리자의 긍정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조직헌신 및 직무성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8호, pp.10-22, 2019. 

  32. 김윤경, 이형룡, "한국형리더십이 호텔직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 크래프팅(job crafting) 매개효과," 관광연구, 제33권, 제5호, pp.129-148, 2018. 

  33. L. J. Williams and S. E. Anders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and In-Role Behaviors," Journal of Management. Vol.17, No.3, pp.601-617, 1991. 

  34. 이승필, 김선혁,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창의성 -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 및 상사신뢰의 조절효과 -," 인적자원관리연구, 제3권, 제1호, pp.381-397, 2016. 

  35. 손정은,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공공기관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36. 윤성환, "임파워링 리더십이 상사신뢰, 내재적 동기부여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재중 한국기업 중국현지 종업원을 대상으로," 중국연구, 제80권, pp.271-305, 2019. 

  37. L. J. Konczak, D. J. Stelly, and M. L. Trusty, "Defining and measuring empowering leader behaviors: Development of an upward feedback instrument,"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60, No.2, pp.301-313, 2000. 

  38. 홍아정, 조윤성, "임파워링 리더십, 잡 크래프팅, 조직몰입, 직무배태성 간 구조적 관계," HRD연구, 제20권, 제2호, pp.51-85, 2018. 

  39. 허정, 정정희, 강선아, "임파워링 리더십과 잡 크래프팅, 직무열의 및 혁신행동 간의 관계 연구: 외식산업 종사원을 대상으로," 한국조리학회지, 제25권, 제7호, pp.70-80, 2019. 

  40. M. Ahearne, J. Mathieu, and A. Rapp, "To empower or not to empower your sales force?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influence of leadership empowerment behavior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0, No.5, pp.945-955, 2005. 

  41. J. A. Conger and R. N. Kanungo,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3, No.3, pp.471-482, 1988. 

  42. S. Raub and C. Robert, "Differential eff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on in-role and extra-role employee behaviors: Exploring the rol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power values," Human Relations, Vol.63, No.11, pp.1743-1770, 2010. 

  43. C. E. Shalley, L. L. Gilson, and T. C. Blum, "Matching creativityrequirements and the work environment: Effects on satisfaction and intent to turnove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3, pp.215-224, 2000. 

  44. 김경미, 개인의 영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내재적 동기, 잡 크래프팅, 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45. 강호영, 박현일, 김민정, "임파워먼트와 보상 공정성이 내재적 동기부여를 통해 조직구성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제조업을 중심으로-," 회계정보연구, 제29권, 제3호, pp.249-274, 2011. 

  46. 이호진, 사회복지전문요원의 직무만족과 직무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47. 김세화, 심덕섭, 김형진, "지원적 리더십이 내재적 동기부여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대한경영학회지, 제30권, 제9호, pp.1535-1558, 2017. 

  48. 이혜림, 기업 팀원의 셀프리더십과 내재적 동기가 직무열의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팀장의 리더십 유연성과 경험수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차의과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49. A. B. Bakker and E. Demerouti,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State of the art,"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22, pp.309-328, 2007. 

  50. B. Ghitulescu, Job crafting and social embeddedness at work,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ittsburgh, 2006. 

  51. J. Qi, J. Li, and Q. Zhang, "How organizational embeddedness and affective commitment influence job crafting,"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Vol.42, No.10, pp.1629-1638, 2014. 

  52. 조재영, 진정성 리더십이 호텔 직원의 잡 크래프팅, 직무만족,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특1급 호텔 중심으로 -,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53. 윤광식, 임파워링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셀프리더십과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금오공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54. P. Tierney, S. M. Farmer, and G. B. Graen, "An examination of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The relevance of traits and relationships," Personnel Psychology, Vol.52, pp.591-620, 1999. 

  55. 정국현, 임파워링 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내재적 동기부여와 직무스트레스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56. G. R. Slemp and D. A. Vella-Brodrick, "The job crafting questionnaire: A new scale to measure the extent to which employees engage in job craf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Wellbeing, Vol.3, No.2, pp.126-146, 2013. 

  57. 임명기, 하유진, 오동준, 손영우,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JCQ-K)의 타당화 연구," 기업경영연구, 제21권, 제4호, pp.181-206, 2014. 

  58. 이영두, 동기.위생요인이 직무몰입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김천시 공무원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59. R. P. Tett and J. P. Meye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Path analyses based on meta-analytic findings," Personnel psychology, Vol.46, pp.259-293, 1993. 

  60. J. Singh, J. R. Goolsby, and G. K. Rhoads,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boundary spanning burnout for customer service representativ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1, No.4, pp.558-569,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