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워라밸과 스마트워크환경이 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Work-life Balance and Smart Work Environmen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Employe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3, 2021년, pp.505 - 517  

김미연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컨설팅학과) ,  서영욱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컨설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워라밸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다. 특히 조직문화 및 업무성과와 관련해서 활발히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워라밸이 구성원의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전국의 스타트업을 포함한 중소기업, 공공기관, 대기업종사자 등 463명을 대상으로 조직 구성원들의 워라밸이 조직헌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들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에 대해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코로나19 시대의 새로운 업무 형태인 스마트워크 환경이 직무만족과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추가적으로 검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워라밸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직무만족은 구성원의 정서적 조직헌신에도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나타냈다. 둘째, 직무만족은 워라밸과 조직헌신의 관계에서 일-가족 균형과 조직헌신 관계에서는 완전 매개, 일-성장균형과 조직헌신 관계에서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워크환경은 직무만족과 조직 헌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보면 코로나19시대로 인해 변화하는 업무환경 속에서 조직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직무 태도 향상을 위해서는 일-가족, 일-여가, 일-성장 균형이 매우 중요한 요인이며, 워라밸과 스마트워크 환경의 조성은 궁극적으로 조직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구축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ts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work-life balance in various fields. In particular, while a plethora of studies on the work-life balance have focused mainly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work performance, research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work-life balance on employees' organizational com...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헌신을 이끌어 내기 위한 제도나 방안을 마련하는 일은 조직의 입장에서는 생존과 직결된 사안이다. 따라서 스마트워크 환경이 구성원의 조직헌신을 이끌어 낼 것이라 가정하고, 스마트워크 환경이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코로나19시대의 불안한 사회구조 속에서 조직과 구성원들의 워라밸 척도를 분석하고, 워라밸이 직무만족과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또한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비대면 재택근무의 형태로 바뀌어 가는 상황에서 스마트워크 환경과 같은 업무 환경의 변화가 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헌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대의 불안한 사회구조 속에서 조직과 구성원들의 워라밸에 대한 척도를 분석하고, 워라밸이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과 워라밸과 조직헌신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추가적으로 스마트워크 환경이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실증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1
  • 가설2
  • 가설3
  • 가설4
  • 가설2. 구성원의 직무만족은 조직헌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www.mohw.go.kr 2020.03.01./보건복지부 

  2. www.gov.kr/portal/service/serviceInfo/149200000034 

  3. F. T. Chiang, A. Birtch, and H. K. Kwan, "The moderating roles of job control and work-life balance practices on employee stress in the hotel and catering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Vol.29, pp.25-32, 2010. 

  4. A. C. Bluedorn, "A unified model of turnover from organizations," Human Relations, Vol.35, No.2, pp.135-153, 1982. 

  5. C. L. Stamper and M. C. Johlke, "The impa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undary spanner role stress and work outcomes," Journal of Management, Vol.29, No.4, pp.569-588, 2003. 

  6. J. P. Meyer and N. M. Parfyonova, "Normative commitment in the workplace: A theoretical analysis and re-conceptualization,"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Vol.20, No.4, pp.283-294, 2010. 

  7. https://light.dailian.co.kr/news/view/953865/?scNaver&watchtypeauto_light 

  8. M. Tarafdar, Q. Tu, and B. S. Ragu-Nathan,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systems competencies on process innovation: A resource-based view,"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24, No.1, pp.301-328, 2014. 

  9. Y. Baruch, "Teleworking: Benefits and Pitfalls as Perceived by Professionals and Managers," New Technology, Work and Employment, Vol.15, No.1, pp.34-49, 2000. 

  10. M. M. Petty, G. W. McGee, and J. W. Cavender,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Job Satisfaction and Individual Performance,"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9, No.4, pp.712-721, 1984. 

  11. T. A. Judge, "The Job Satisfaction-Job Performance Relationship," Psychological Bulletin, Vol.127, No.3, pp.376-407, 2001. 

  12. M. H. Kang and S. J. Jang,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8, No.8, pp.95-103, 2017. 

  13. S. J. Lee, D. Y. Kang, and K.,H. Kim, "The Effects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econdary-School Teachers on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8, No.6, pp.171-180, 2017. 

  14. M. Tausig and R. Fenwic, "Unbinding time: alternative work schedules and work-life balance,"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Vol.22, pp.101-119, 2001. 

  15. S. R. Marks and S. M. MacDermid, "Multiple Roles and the Self: A Theory of Role Balan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58, No.2, pp.417-432, 1996. 

  16. 김경미, 육아종합지원센터 가정양육 지원사업 운영현황 및 보육전문요원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17. 윤병훈, 송봉규, "경찰공무원의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에 대한 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내재적 동기의 매개효과," 한국경찰연구, 제13권, 제1호, pp.91-116, 2014. 

  18. 이민우, 이영진, 한재창, "가족친화제도 도입을 결정하는 선행요인 및 결과에 관한 연구," 노동정책연구, 제8권, 제4호, pp,183-214, 2008. 

  19. C. A. Bartlett and S. Ghoshal, "Building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people," MIT Sloan management review, Vol.43, No.2, pp.34-41, 2002. 

  20. J. M. Hannon and G. T. Milkovich, "The effect of human resource reputation signals on share prices: An event study,"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35, No.3, pp.405-424, 1996. 

  21. J. E. Perry-Smith and T. C. Blum, "Work-Family Human Resource Bundles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3, No.6, 2017. 

  22.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hty.top&wherenexearch&query 

  23. S. P. Robbins and T. A. Judge, Organizational Behavior(Twelfth Edition).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Prentice Hall, 2007. 

  24. R. H. Hoppock, Job satisfaction, New York, NY: Happer & Brothers, 1935. 

  25. E. A. Locke, "What is jobsatisfactio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4, No.2, pp.309-336, 1969. 

  26. T. A Judge and H. M Weiss, "Job attitudes, job satisfaction, and job affect: A century of continuity and of chang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102, No.3, pp.356-374, 2017. 

  27. 하윤주, 문지영, 김진하, "중소병원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병원경영학회지, 제17권, 제4호, pp,71-86, 2012. 

  28. C. S. Weissman and C. A. Nathanson, "Professional satisfaction and client outcomes. A comparative organizational analysis," Medical Care, Vol.23, No.10, pp.135-153, 1985. 

  29. T. A Judge, C. J. Thoresen, J. E. Bono, and G. K. Patton, "The job satisfaction-job performance relationship,"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Vol.127, No.3, pp.376-407, 2001. 

  30. 윤성혁, 정기수, "관리자의 긍정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조직헌신 및 직무성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8호, pp.10-22, 2019. 

  31. Y. Chengn and M. S. Stockdale, "The validity of the three-component mod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 Chinese contex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2. No,3, pp.465-489, 2003. 

  32. J. W. Kushman, "The organizational dynamics of teacher workplace commitment: A study of urb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Sage Journal, Vol,28. No,1, pp.5-42, 1992. 

  33. L. W. Porter, R. M. Steers, and R. T. Mowday,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among psychiatric technicia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59, No.5, pp.603-609, 1974. 

  34. M. Bergami and R. P. Bagozzi, "Self-categorization, affective commitment and group self-esteem as distinct aspects of social identity in the organization,"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39, No.4, 2010. 

  35. Y. Y. Kim, "A Case Study on Smart Work through the Lens of Time-Geography Theory," Information Systems Review, Vol.13, No.3, pp.99-121, 2011. 

  36. 오상조,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8권, 제11호, pp.393-401, 2017. 

  37. 정철호, 문영주, "스마트워크 추진 현황 및 활성화 과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전자상거래학회지, 제12권, 제2호, pp.53-69, 2011. 

  38. 서아영, "스마트워크(Smart Work)환경에서 개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e-비즈니스연구, 제13권, 제3호, pp.427-4591, 2012. 

  39. M. M. Petty, G. W. McGee, and J. W. Cavender,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Individual Job Satisfaction and Individual Performance," The Academy of ManagementReview, Vol.9, No.4, pp.712-721, 1984. 

  40. U. S. Lee and S. H. Lim,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echnology Improvement Education and Training of Korea Polytechnics on Job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8, No.3, pp.237-243, 2017. 

  41. R. D. Iverson and C. Maguir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nd life satisfaction: Evidence from a remote mining community," Human Relations, Vol.53, No.6, pp.807-839, 2000. 

  42. J. Hughes and N. Bozionelos, "Work-life balance as source of job dissatisfaction and withdrawal attitudes," Personnel Review, Vol.36, No.1, pp.145-154, 2007. 

  43. A. P Brief and L. Roberson, "Job Attitude Organization: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19, No.9, pp.717-727, 1989. 

  44. H. M. Weiss and R. Cropanzano, "Affective events theory: A theoretical discussion of the structure, causes and consequences of affective experiences at work,"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An annual series of analytical essays and critical reviews, Vol.18, pp.1-74, 1996. 

  45. M. Whitehead, "Employee happiness levels impact on the bottom line," People Management, Vol.4, p.14, 1998. 

  46. A. C. Bluedorn, "A unified model of turnover from organizations," Human Relations, Vol.35, No.9, pp.135-153, 1982. 

  47. C. L. Stamper and M. C. Johlke, "The impa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undary spanner role stress and work outcomes," Journal of Management, Vol.29, No.4, pp.569-588, 2003. 

  48. J. P. Meyer and N. M. Parfyonova, "Normative commitment in the workplace: A theoretical analysis and re-conceptualization,"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Vol.20, No.4, pp.283-294, 2010. 

  49. 최흥식, 유평수, 정세민, "도서관사서의 임파워먼트와 조직헌신성이 조직효과에 미치는 영향," 정보관리학회지, 제32권, 제2호, pp.105-129, 2015. 

  50. N. J. Allen and J. P. Meyer,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An examination of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49, No.3, pp.252-276, 1996. 

  51. S. J. Lambert, "Processes linking work and family: A critical review and research agenda," Human Relations, Vol.43, No.3, pp.239-257, 1990. 

  52. A. Gakovic and L. E. Tetrick,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work status: a comparison of the employment relationships of part-time and full-time employees attending university classes,"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Vol.24, No.5, pp.649-666, 2003. 

  53. J. Hughes and N. Bozionelos, "Work-life balance as source of job dissatisfaction and withdrawal attitudes," Personnel Review, Vol.36, No.1, pp.145-1499, 2016. 

  54. 정예지, 윤정구, 김세은 "일과 삶의 균형이 직무성과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제45권, 제5호, pp.1471-138, 2019. 

  55. D. C. Leiva, M. E. Sanchez-Vidal, and J. G. Cegarra-Navarro, "Understanding the link between work life balance practices and organisational outcomes in SMEs," Personnel Review, Vol.41, No.3, pp.359-379, 2012. 

  56. Y. Baruch, "Teleworking: Benefits and Pitfalls as Perceived by Professionals and Managers," New Technology, Work and Employment, Vol.15, No.1, pp.34-49, 2000. 

  57. S. Oh, J. M. Lee, and Y. Y. Kim,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in the Smart Work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8, No.11, pp.393-401, 2017. 

  58. M. O. Kim, "A Study on the Effect of Smartwork Environment on Office Administrator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ol.20, No.2, pp.37-71, 2015. 

  59. Y. R. Park, J. H. Lee, and Y. J. Lee, "A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Smart Work Worker and Smart Work Continued Usage,"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ol.19, No.3, pp.23-49, 2014. 

  60. S. Oh, "A Study on the Interferences Between Work and Nonwork in the Smart Work Contex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 No.4, pp.213-226, 2014. 

  61. 남수현, 노규성, 김유경, "스마트워크 수준 결정 모형에 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9권, 제4호, pp.191-200, 2011. 

  62. 김정운, 박정열, "일과 삶의 균형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여가학연구, 제5권, 제3호, pp.53-69, 2008. 

  63. 박정열, 손영미, "근로자와 기업문화 수준을 통한 일과 삶의 조화(Work-Life Balance) 측정," 여가학연구, 제3권, 제2호, pp.39-53, 2005. 

  64. 김종관, 이윤경, "업무구조, 조직문화, WLB제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6권, 제4호, pp.57-78, 2009. 

  65. M. K. Ahuja, K. M. Chudoba, C. J. Kacmar, D. H. McKnight, and J. F. George, "IT Road Warriors: Balancing Work-Family Conflict, Job Autonomy, and Work Overload to Mitigate Turnover Intentions," MIS Quarterly, Vol.31, No.1, pp.1-17, 2007. 

  66. R. Ayyagari, V. Grover, and R. Purvis, "Technostress: Technological Antecedents and Implications," MIS Quarterly, Vol.35, No.4, pp.831-858, 2011. 

  67. http://emagazine.kef.or.kr/archives/14730 김지현 SK경영경제연구소 연구위원 2020.5.01 

  68. R. P. Bagozzi and Y. Yi,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16, No.1, pp.74-94, 1988. 

  69.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39-50, 1981. 

  70. W. W. Chin,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odern methods for business research, Vol.295, No.2, pp.295-336, 199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