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래 가사 토의가 뇌졸중 환자의 우울 및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ong Discussion on Depress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2 no.1, 2015년, pp.43 - 64  

정용라

초록

본 연구는 노래 가사 토의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우울 및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노인 만성 뇌졸중 환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실험군 9명과 통제군 8명으로 배정되었다. 실험군은 세 그룹으로 나누어 6주간 총 12회기에 걸쳐 노래 가사 토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통제군에는 중재가 적용되지 않았다. 통제군에게는 연구 종료 후 실험군이 참여한 것과 동일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노래 가사 토의를 위해 대상자들이 20대였을 때 유행하였던 대중가요 중 치료 목표에 적절한 가사가 연구자에 의해 사전에 선정되었고, 토의 과정은 활동 중심, 통찰 중심, 재구성적 접근에 근거해 단계별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는 단축형 노인 우울척도와 재활동기 척도가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노래 가사 토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던 실험군의 경우 우울 점수는 유의하게 감소하고 재활동기 점수는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1). 반면 통제군은 사전-사후 검사 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군은 재활동기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긍정적으로 변화되는 양상을 보였고, 특히 과제 지향적 동기가 유의하게 증가하고 무동기는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노래 가사 토의가 노인 뇌졸중 환자의 심리적, 정서적인 이슈를 적절하게 다룸으로써 재활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ng discussion on depress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stroke patients. Older adults with chronic stroke participated in this study: nine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eight for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음악치료는 규명된 긍정적인 영향에 비해 선곡된 노래에 대한 근거가 명확히 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거나 노래가사 토의의 단일 효과를 규명하는데 제한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래가사 토의의 구체적인 절차와 그에 대한 논거를 제시한 단계별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뇌졸중 환자의 우울감을 완화하고, 재활동기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래 가사 토의가 뇌졸중 환자의 우울 및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노래 가사 토의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단축형 노인 우울 척도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본 결과, 노래 가사 토의에 참여한 실험군은 중재 이후에 우울 점수가 긍정적으로 감소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본 연구는 노래 가사 토의가 뇌졸중 환자의 우울 및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2단계에서 사용된 노래는 가사를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내면을 지각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곡으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가사를 통해 전반적인 자신의 삶에 대한 마음 상태, 문제 등을 확인하며 자신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찾도록 돕고자 하였다. 노래 가사 채우기와 노래 패러디 활동은 제한된 시간을 유용하게 사용하도록 하며, 대상자에게 노래 만들기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준다.
  • 이에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우울증상 회복이 재활과정의 개선과 재활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선행연구(Chemerinski, Robinson, & Kosier, 2001; Gillen et al., 2001; Hackett & Anderson, 2005; Kim et al., 2009)를 바탕으로, 뇌졸중 환자의 우울감 감소에 초점을 둔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이러한 음악치료 개입이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뇌졸중은 뇌혈관질환의 일종으로 뇌혈관의 폐색이나 파열로 인해 뇌의 혈액공급에 장해가 생겨 발생하는 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주요한 사망원인이 되고 있다(Han, Kim, & Paik, 2008;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4). 2012년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뇌혈관질환은 사망원인 중 암과 심장질환에 이어 3위였으며, 뇌혈관질환의 일종인 뇌졸중은 단일 질환 사망원인 1위를 차지했다(Statistics Korea, 2013).
뇌졸중 발병 후 후유증은 어떤 문제를 가져오나? 뇌졸중 발병 후 70~75%의 환자는 신체기능, 언어기능, 인지기능 등의 기능 장애를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후유증으로 인해 뇌졸중 환자는 일상생활에 제한을 받게 되고, 심리적으로는 수면장애, 정서장애, 무력감, 피로, 절망감 등 우울증의 증상을 겪을 수 있다(Han et al., 2008; Ring, Feder, Schwartz, & Samuels, 1997).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 성과에서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 성과에서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뇌졸중 발생으로부터 재활치료 프로그램을 시작하기까지 소요된 시간으로, 활력 징후가 안정된 환자가 얼마나 신속하게 기능손상에 적합한 재활치료를 시작하는지의 여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Han et al., 2008; Musicco, Emberti, Nappi, & Caltagirone,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Baek, S. E. (2011). A study on song preferences of the elderly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2469851 

  2. Camilleri, V. A. (2007). "Hear Me Sing" : Structured group songwriting. In V. A. Camilleri (Ed.), Healing the inner city child: Creative arts therapies with at-risk youth (pp. 75-91). Philadelphia, PA: Jessica Kingsley Publishers. 

  3. Chang, J. Y. (2005). The effect of song psychotherapy on depression for elderly stroke patient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0026433 

  4. Chemerinski, E., Robinson, R. G., & Kosier, J. T. (2001). Improved recover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ssociated with remission of poststroke depression. Stroke, 32(1), 113-117. 

  5. Cho, M. J., Bae, J. N., Suh, G. H., Hahm, B. J., Kim, J. K., Lee, D. W., & Kang, M. H. (1999). Valid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GDS)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8(1), 48-63. 

  6. Choi, B. C. (2006). Music therapy (2nd ed.). Seoul: Hakjisa. 

  7. Choi, E. J. (2002). Effects of rehabilitation program based on self-efficacy on poststroke patients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724471 

  8. Choi, M. H. (2006). Song psychotherapy. In H. J. Chong (Ed.), Music therapy techniques and models (pp. 235-266). Seoul: Hakjisa. 

  9. Choi, Y. R. (2012). The effect of modality presenting lyrics on mood-congruent recall when listening to song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054140 

  10. Clinical Research Center for Stroke (2013).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stroke. Seoul: Clinical Research Center for Stroke. 

  11. Cordobes, T. K. (1997). Group songwriting as a method for developing group cohesion for HIV-seropositive adult patients with depression. Journal of Music Therapy, 34(1), 46-67. 

  12. Gibbons, A. C. (1977). Popular music preferences of elderly people. Journal of Music Therapy, 14(4), 180-189. 

  13. Gillen, R., Tennen, H., McKee, T. E., Gernert-Dott, P., & Affleck, G. (2001). Depressive symptoms and history of depression predict rehabilitation efficiency in stroke patien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2(12), 1645-1649. 

  14. Grocke, D., & Wigram, T. (2007). Receptive methods in music therapy: Techniques and clinical applications for music therapy clinicians, educators, and students. Philadelphia, PA: Jessica Kingsley Publishers. 

  15. Hackett, M. L., & Anderson, C. S. (2005). Predictors of depression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of observational studies. Stroke, 36(10), 2296-2301. 

  16. Han, H. S. (2001).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in disabled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117581 

  17. Han, T. R., Kim, Y. H., & Paik, N. C. (2008). Stroke Rehabilitation. In T. R. Han & M. S. Bang (Eds.), Rehabilitation medicine (3rd ed.) (pp. 509-547). Seoul: Koonja Publishing Inc. 

  18. Jonas, J. L. (1991). Preferences of elderly music listeners residing in nursing homes for art music, traditional jazz, popular music of today, and country music. Journal of Music Therapy, 28(3), 149-160. 

  19. Jung, W. H. (2002).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reducing the sym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of stroke patient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369 

  20. Kang, H. J. (2011).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poststroke depression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2486194 

  21. Kim, B., Susan, B., Sue, C., Genevieve, K., Sue, W., & Emma, S. (2009). Goal achievement in the six months after inpatient rehabilitation for strok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1(11), 880-886. 

  22. Kim, D. Y., & Jeong, J. H. (2009). Influencing factors of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Kosin Medical Journal, 24(2), 69-75. 

  23. Kim, K. H. (2001). A study of musical preferences of elderly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access.ewha.ac.kr/link?idT10207480 

  24. Kim, M. Y., & Chung, H. H. (2004). A comparison of cognitive-behavioral group counseling and supportive group counseling: Effects on elderly depression and lonelines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16(3), 367-382. 

  25. Kim. S. J. (2002). The effect of music activity leading participation in society upon the life satisfaction and the depression of the stroke patient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463461 

  26. Kim, S. S., Hong, G. N., & Choi, M. J. (2014). Effects of a song psychotherapy intervention on the change readiness of alcoholics.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1(2), 19-39. 

  27. Ko, M. H. (2013). Post stroke depression and emotional incontinence: Focused on TPH2 polymorphism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293082 

  28. Ko, N. Y. (2008). The change of adult stroke patient's acceptance of disability through therapeutic songwriting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dcollection.net/handler/ewha/000000038394 

  29. Larson, P. S. (1982). An exploratory study of lifelong musical interest and activity: Case studies of twelve retired adul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mple University, Philadelphia. 

  30. McCullough, E. C. (1981). An assessment of the musical needs and preferences of individuals 65 and over.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42(3), 909A. (University Microfilms No. AAT81-18455). 

  31. Musicco, M., Emberti, L., Nappi. G., & Caltagirone, C. (2003). Early and long-term outcome of rehabilitation in stroke patients: The role of patient characteristics, time of initiation, and duration of intervention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4(4), 551-558. 

  32. Ring, H., Feder, M., Schwartz, J., & Samuels, G. (1997). Functional measures of first-stroke rehabilitation inpatients: Usefulness of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total score with a clinical rational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8(6), 630-635. 

  33. Robb, S. L. (1996). Techniques in song writing: Restoring emotional and physical well being in adolescents who have been traumatically injured. Music Therapy Perspectives, 14(1), 30-37. 

  34. Seo, D. O. (2009). The influence of song-focused program on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in stroke patient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743775 

  35. Sheikh, J. I., & Yesavage, J. A. (1986).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In T. L. Brink (Ed.), Clinical gerontology: A guide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pp. 165-173). New York, NY: The Haworth Press. 

  36. Silber, F., & Hes, J. P. (1995). The use of songwriting with patients diagnosed with Alzheimer's disease. Music Therapy Perspectives, 13(1), 31-34. 

  37. Son, K. W. (2006). The effect of reading training on the repetition ability, self-esteem and the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in Broca's aphasic by musical intervention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0835492 

  38. Song, Y. M. (2003). A study on the effects of musical activities focused on lyric discussion on reducing the level of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patients suffering from spinal injurie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0203250 

  39. Soon, J. Y. (2002). Study on lyric analysis of Korean popular songs for song psychotherapy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953561 

  40. Soung, Y. M., & Lee, J. H. (2013). Factors in post stoke depression of stroke patients hospitalized in university medical cente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5(2), 85-94. 

  41. Statistics Korea (2013, 10).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Retrived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nw/2/6/2/index.board?bmoderead&aSeq308559 on Sep. 3. 2013. 

  42. Turner, J. (2012). Journal of the australasian rehabilitation nurses association. Journal of the Australasian Rehabilitation Nurses Association, 15(1), 11-15. 

  43. Wheeler, B. L. (1983). A psychotherapeutic classification of music therapy practices: A continuum of procedures. Music Therapy Perspectives, 1, 8-12. 

  4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The top 10 causes of death. Retrieved from http://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10/en/ 

  45. Yesavage, J. A., Brink, T. L., Rose T. L., Lum, O., Huang, V., Adey, M., & Leirer, V. O. (198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7(1), 37-49. 

  46. You, Y. Y., & Ann, C. S. (2009).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rehabilitation-motivat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after a cerebrovascular accid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7(2), 1-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