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물재배용 복합비료 및 축산분뇨 퇴비에 함유된 온실가스
Greenhouse Gases in Compound Fertilizer and Livestock Manure Compost for Crops Cultivation 원문보기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v.30 no.2, 2021년, pp.95 - 100  

최만권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  윤성욱 (농촌진흥청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윤용철 (경상국립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스마트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조사는 국내에서 작물재배용으로 생산 및 시판되는 복합 비료와 축산분뇨 퇴비에 함유된 CO2와 CH4의 양을 개략적으로 알아보고자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복합비료의 한 포대에서 계측된 CO2의 농도는 계측한 날짜와 관계없이 평균 약 1,733.3ppm 정도로 일정하게 나타났다. 비료 한 포대당 함유된 양은 0.067kg 정도였고, 비료의 단위 무게는 3.35×10-3kg·kg-1 정도였다. 국내에서 농업용으로 출하된 복합비료는 평균 885,750t·yr-1 이었다. 이 양을 기준으로 복합비료 자체에 함유된 CO2의 양은 약 2.9백만 t·yr-1 정도로 추정할 수 있었다. CH4의 경우, 측정 개시일에 한 포대에 76.8ppm(포대당 2.949×10-3kg, 단위 무게당 0.15×10-3kg·kg-1) 정도 나타낸 후, 그 이후에는 측정되지 않았다. 퇴비에 함유된 CO2의 양은 구멍의 폐쇄 및 개방 여부에 관계없이 측정 일이나 측정구에 따라 계측기의 최대 측정범위인 10,000ppm을 초과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최대인 10,000ppm이라고 가정하고 검토하였다. 따라서 최대인 10,000ppm이라고 가정하고 검토한 결과 한 포대당 함유된 양은 0.506kg 정도였다. 퇴비 구멍의 폐쇄 및 개방 여부에 따라 CH4의 농도가 증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비 한 포대에 함유된 CH4의 양은 약 2.53kg 정도였다. 이 양을 국내에서 생산된 고형퇴비의 평균 생산량과 비교하면, 약 4.7백만 t·yr-1 이상이 될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고추재배 포장에서 배출되는 CO2의 양은 측정 종료 때까지 평균적으로 8,040ppm 정도였다. 나지의 경우, 시간의 경과와 함께 CH4의 농도는 점차 감소하였고, 최대 1,700ppm에서 거의 제로 상태까지 약 50일이 소요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this survey to approximate the amounts of CO2 and CH4 contained in composite fertilizers and livestock manure compost produced and commercialized for crop cultivation in South Kore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verage CO2 concentration in one sack of a...

주제어

참고문헌 (18)

  1. Chae J.C., S.J. Park, B.H. Kang, and S.H. Kim 2006, Theory of cultivation science. ed. Hyangmoonsa, Seoul, Korea, p. 143. 

  2. Chung U.R., K.S. Cho, and B.W. Lee 2006, Evaluation of site-specific potental for rice production in Korea under the changing climate. Korean J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8:229-241. (in Korean) 

  3. http://www.gri.go.kr, Accessed 18 January 2021. 

  4. http://www.ipcc.ch. Accessed 05 January 2021. 

  5. http://www.newsam.co.kr, Accessed 18 January 2021. 

  6.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7, 2014. Climate Change 2007, 2014: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II and I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ore Writing Team, Pachauri, R.K and Reisinger, A.(eds.)]. IPCC, Geneva, Switzerland. doi:10.1017/CBO9781107415416 

  7. Jung S.C., J.A. Park, J.H. Huh, and K.H So 2011,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of complex fertilizers production system by using life cycle assessment. Korean J Soil Sci Fert 44:256-262. (in Korean) doi:10.7745/KJSSF.2011.44.2.256 

  8. Kang B.M. 2010, Canopy CO 2 exchange and CH 4 emission of rice under simulated global warming. MA Thesis. Department of Applied Plant Science Graduate School, Chonnam Natl. Univ., Gwanju, Korea. 

  9. Kim G.Y., B.H. Song, K.A. Roh, S.Y. Hong, B.G. Ko, K.M. Shim, and K.H. So 2008, Evaluation of Green house gases emissions according to changes od soil water content, soil temperature and mineral N with different soil texture in pepper cultivation.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s and Fertilizer 41:399-407. (in Korean) 

  10. Kim G.Y., K.H. So, H.C. Jeong, K.M. Shim, S.B. Lee, and D.B. Lee 2010, Assessment of Green house gases emissions using global warming potental in upland soil during pepper cultivation.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s and Fertilizer 43:886-891. (in Korean) 

  11. Lee B.W., J.C. Shin, and J.H. Bong 1991, Impact of climate induced by the increasing atmospheric CO 2 concentration on agroclimatic resources, net primary productivity and rice yield potental in Korea. Korean J Crop Sci 36:112-126. (in Korean) 

  12. Lee J.E. 2012, Emission amount of greenhouse gases from livestock manure. MA Thesis. Department of Animal Life System Graduate School, Kangwon Natl. Univ., Kangwon, Korea. 

  13. Nam S.W., W.M. Suh, Y.C. Yoon, S.G. Lee, I.B Lee, H.W. Lee, and B.G. Jo 2008, Engineering for bio-environment control. ed. Cheongsol, Daegu, Korea, p. 240. 

  1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and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NIAS) 2015, Symposium on development of energy technology using livestock manure. ed. RDA and NIAS, Jeonju, Korea, p. 40. 

  15. Shim K.M., R.K. Roh, K.H. So, G.Y. Kim, H.C. Jeong, and D.B. Lee 2010, Assessing impacts of global warming on rice growth and production in Korea. Climate Change Research 1:121-131. (in Korean) 

  16. Shim K.M., Y.S. Lee, Y.K. Shin, K.Y. Kim, and J.T. Lee 2005, Change in simulated rice yields under GCM 2×CO 2 climate change scenarios.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Conference 13:88-92. (in Korean) 

  17. Shin J.C., and M.H. Lee 1995, Rice production in south Korea under current and future climates. In:R.B. Matthews, M.J. Kropff, D. Bacheiet, and H.H. van Laar eds, Model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Rice Production in Asia, IRRI &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UK, p. 119-215. 

  18. Yun J.I. 1990, Analysis of the climatic impact on Korea rice production under the carbon dioxide scenario. Asia-Pacific J of Atmospheric Sci 26:263-274. (in Korea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