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폭력예방에 대한 효율적인 교육방안
Effective education for the prevention of violence in the emergency room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25 no.1, 2021년, pp.73 - 84  

김예은 (건양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김철태 (건양대학교 응급구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trainees in implementing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by workers in the emergency room and insufficient educ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65 emergency room employees in S area. Results: First,...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응급실 폭력 예방교육을 시행함에 있어 도움정도와 미흡한 문제점을 알아보고 교육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응급실 내 폭력이 발생하는 현재를 되짚어보며 발전해 나가는 응급의료사회에 알맞은 폭력 예방 교육 방안을 제언하고자 응급실 근무자들의 교육 도움정도와 실시하고 있는 교육의 현실을 분석하였다.
  • 응급실 폭력 예방 교육을 시행해 오면서 재점검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고 이에 연구를 진행하여 교육의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은 내용이 너무 형식적이고 병원과 경찰의 직접적인 개입이 부족하다는 점도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Schneiden V. Violence against doctors. Br J Hosp Med 1993;50(1):6-9. PMID:8364708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National Police Agency, Measures to prevent assault in the emergency room for a safe emergency room care environment, 2018. http://www.bktimes.net/data/board_notice/1541988736-27.pdf 

  3. Kim JC, Seol YM, Song HS. Survey of emergency department violence. J Korean Soc Emerg Med 2003;14(3):309-13. 

  4. Lee HM, Cho KH, Yang HJ, Lee SW, Kwak YH, Shin SD et al. 2010 Korean Society of Emergency Physician Survey. J Korean Soc Emerg Med 2014;25(3):238-51. 

  5. Han SE, Lee KY. Violence experiences, coping, and response of paramedics in the emergency room. Korean J Emerg Med Ser 2018;22(2): 51-65. https://doi.org/10.14408/KJEMS.2018.22.2.051 

  6. Choi WJ, Cho SH, Cho NS, Kim GS. Effect of an education program on violenc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 Korean Soc Emerg Med 2005;16(2):221-8. 

  7. Seo G, Bae HC, Hong JY, Oh JH, Lee DH, Kim SE et al. Investigation of emergency department violence: resident survey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ine. J Korean Soc Emerg Med 2015;26(5):349-57. 

  8. Im TH. Current status of the emergency department violence and prevention strategy in South Korea. Healthcare Policy Forum 2011;9(4):81-5.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471546&languageko_KR 

  9. Bae YH, Lee TW. Relationship of experience of violence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for hospital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2015;21(5):489-500.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5.489 

  10. Kang JH. Violence experiences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n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2018, Daegu, Korea. 

  11. Kim KS. The effect of an education program on violenc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2004, Gwangju, Korea. 

  12. Fernandes CMB, Raboud JM, Christenson JM, Bouthilette F, Bullock L, Ouellet L et al. The effect of an education program on violenc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nn Emerg Med 2002;39(1):47-55. https://doi.org/10.1067/mem.2002.121202 

  13.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 evaluation standard book- Stability part [1-2] Adequacy of preparedness and response to violence. https://portal.nemc.or.kr:444/init.do?systemauth06&sytmidno29&menuflag&linkurl 

  14.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Article 12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Act, Article 12 of the Medical Service Act). https://www.law.go.kr/lsSc.do?menuId1&subMenuId15&tabMenuId81 

  15. Nam S. Study on social studies teachers' perception on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2007, Seoul, Korea. 

  16. Baek KH, Kang BW. A Study on the violence and countermeasures of health care workers-focused on comparison with American legislation-. Journal of Law 2018;29(4):231-62. http://www.riss.kr/link?idA105868477 

  17. U. S. Department of Lab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Guidelines for Preventing Workplace violence for Healthcare and Social Service Workers", OSHA 3148 - 06R, 2016. https://www.osha.gov/sites/default/files/publications/osha3148.pdf 

  18. Park JK, You YH, Park JS, Park SS, Chung SP, Kim SW et al. Current status of Violence in the Emergency Center: frequency and management. J Korean Soc Emerg Med 2004;15(6):575-9. 

  19. Yoo IS. Countermeasures of violence against medical staff. J Korean Med Assoc 2014;57(2): 88-92. https://doi.org/10.5124/jkma.2014.57.2.88 

  20. Park HK.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emergency room violent behavior. Korean Journal of Convergence Science 2020;9(1):122-32. https://doi.org/10.24826/KSCS.9.1.8 

  21. Shin SG. Responsive measures for violence prevention in the emergency room. Korean Society of Private Security 2016;15(2):65-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