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이직의도 조절을 위한 긴급 감염병 상황에서의 회복탄력성 탐구
Exploring of Resilience in Emergency Infectious Diseases to Moderate Job Stress,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4, 2021년, pp.509 - 519  

이재무 (단국대학교 행정학과) ,  조경서 (을지대학교 유아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이직의도 조절을 위한 긴급 감염병 상황에서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분석을 위해 2020년 8월 19일부터 30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201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이직의도는 낮은 수준, 회복탄력성은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며, 모두 개인적 특성 유형에 따라 대부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영향력을 미쳤으나 이직의도와는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관계 속에서 회복탄력성 중 정서조절력, 충동통제력, 적극적 도전성이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사태라는 긴급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는 나빠진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장 큰 이유는 원활한 직무수행이 어려워진 것 때문으로 규명되었었다. 반면 회복탄력성과 직무소진은 이전과 변함없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방역 기반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대응, 직무소진과 회복탄력성의 일상적 관리, 자기초점주의 근간의 상담이나 프로그램 등과 같은 회복탄력성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cquire useful information regarding the resilience of childcare educators amidst an emergency pandemic to adjust their job stress,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analysis from August 19th to the 30th in 2020 and 201 respon...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상 선행연구들이 충족하지 못했던 부분을 참조하여,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으로 규정된 세부 요인들을 최대한 분석에 포함시켰으며,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 영향관계를 계속적 확인의 차원에서 판별하고, 그러한 관계 속에서 회복탄력성이 갖는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가 코로나19 바이러스 사태라는 비일상적이고 치명적 상황에서 나온 결과임을 고려하여 본 연구만의 설문으로 새롭게 얻어진 결과를 보고하고, 이전의 연구결과들과 비교하여 고도의 위기 상황에서 각 변인들에 대한 파장과 의미 있는 정보를 탐색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이재무, 박용성, "보육교사의 직무요구 및 직무자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육아정책연구, 제11권, 제1호, pp.1-28, 2017. 

  2. 이재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열의, 조직몰입의 조절효과," 육아정책연구, 제10권, 제2호, pp.51-82, 2016. 

  3. 이정순, 박용순, 송진영,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과의 관계," 교육문화연구, 제22권, 제4호, pp.379-407, 2016. 

  4. 이재무, 조경서, "보육교사의 직무소명의식과 직무행동 간 영향관계에서 직무태도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9호, pp.574-586, 2019. 

  5. 이재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열의, 조직몰입의 조절효과," 육아정책연구, 제10권, 제2호, pp.51-82, 2016. 

  6. 강병우,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와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응급구조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35-48, 2009. 

  7. W. D. Rudd and S. Wiseman, "Sources of dissatisfaction among a group of teacher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32, No.3, pp.275-291, 1962. 

  8. D. J. Leach, "A model of teacher stress and its implications for manag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22, pp.157-172, 1984. 

  9. C. L. Beck and R. M. Gargiulo, "Burnout in teachers of retarded and nonretarded childre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76, No.3, pp.169-173, 1983. 

  10. H. J. Freudenberger, "Staff-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s, Vol.30, pp.159-165, 1974. 

  11. C. Maslach, Burnout: The Cost of Caring. Prentice-Hall, 1982. 

  12. C. Maslach & S. E. Jackson, "Burnout in health professions: A social psychological analysis," in G. S. Sanders & J. Suls(eds.), Social Psychology of Health and Illness, Hillsdale, pp.227-251, 1982. 

  13. 이정희, 조성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과의 관계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20권, 제4호, pp.559-570, 2009. 

  14. W. H. Mobley,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Addison-Wesley. 1982. 

  15. 김복일, 외식업체 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관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16. C. Howes and M. Oerik, "Family and child care influences on toddler's Compliance," Child Development, Vol.57, pp.202-216, 1986. 

  17. B. Spodekm, "Professionalism and the early childhood practitioner,"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Vol.114, No.1, pp.65-79, 1995. 

  18. 박남심, 최영희, 송승민,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15권, 제1호, pp.75-89, 2019. 

  19. J. Block, Ego-resilience through time, Pap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New Orleans, 1993. 

  20. A. Hargreaves and D. Fink, Sustainable leadership, Jossey-Bass, 2005. 

  21. C. J. Travers and C. L. Cooper, "Mental health, job satisfaction and occupational stress among UK teachers," Work & Stress, Vol.7, pp.203-219, 1993. 

  22. R. Chambers and J. Belcher, "Comparison of the health and lifestyle of general practitioners and teachers," 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 Vol.43, pp.378-382, 1993. 

  23. M. Nagai, K. Tsuchiya, T. Toulopoulou, and N. Takei, "Poor mental health associated with job dissatisfaction among school teachers in Jap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Vol.49, pp.515-522, 2007. 

  24. 오현숙, 보육교사를 위한 회복탄력성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25. 구희정, "유아 레질리언스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열린부모교육연구, 제10권, 제2호, pp.297-326, 2018. 

  26. P. A. LeBuffe and J. A. Naglieri. 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 Kaplan Press, 1999. 

  27. K. Reivich and A. Shatte, The resilience factor, Broadway Books, 2002. 

  28. K. M. Connor and J. R. Davidson,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or Davidson Resilience Scale(CDRISC)," Depression And Anxiety, Vol.18, No.2, pp.76-82, 2003. 

  29. S. M. Muller, A. Dodd, and K. A. Fiala, "Comparing protective factors and resilience among classroom-based teachers and community-based educators," Education, Vol.134, No.4, pp.548-558, 2014. 

  30. G. M. Wagnild and H. M. Young,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Vol.1, No.2, pp.168-178, 1993. 

  31. J. G. Dyer and T. M. McGuinness, "Resilience: Analysis of the concept,"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Vol.10, pp.176-282, 1996 

  32. N. A. Constantine, B. Benard, and M. Diaz, Measuring Protective Factors and Resilience Traits in Youth: The Healthy Kids Resilience Assessment, Paper presented at the Seventh Annu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Prevention Research. New Orleans, 1999. 

  33. C. Knight, J. Balatti, M. Haase, and L. Henderson, "Preservice teacher stressors and their reactions to those stressors: Resilience responses," Paper Presented at Symposium, ATEA Paper Reference 402, 2010. 

  34. 한임순, 이순례, 김향자, 권용은, "어린이집 교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제10권, pp.97-130, 1997. 

  35. 윤혜미, 노필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경력몰입, 소진과 이직의도 간 관계," 한국아동복지학, 제43권, pp.157-184, 2013. 

  36. 이은숙,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직무스트레스, 보육 효능감, 보육헌신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동아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37. 이주영,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38. 서솔, 여종일,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소명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15권, 제6호, pp.169-188, 2019. 

  39. 임해은, 권연희, "사립유치원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의 영향," 인문학논총, 제37권, pp.53-80, 2015. 

  40. 배계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41. 신선임, 대졸 신입사원의 자기초점 방식이 정서조절과 이직의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