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살펴본 민간 주도 정보제공의 역할 분석
A Study on the Role of Private-led Information Provision: Case of COVID-19 Pandemic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4, 2021년, pp.1 - 13  

조호수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기술경영경제정책) ,  장문경 (한남대학교 글로벌IT경영전공) ,  류민호 (동아대학교 경영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코로나19에 대한 전세계적 팬데믹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잘못된 정보가 대중에게 노출되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문제에 대한 우려와 함께 현재 주요 앱 마켓에서 민간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차단 조치도 단행되고 있다. 그러나 감염병 상황에서 중앙집중식의 일방적인 정보 전달보다 대중이 스스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효과적인 측면도 동시에 존재한다.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해 감염병 상황에서 민간 주도의 정보제공에 대한 이용자 반응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정부와 민간이 현재 한국의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제공하고 있는 모든 코로나19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이용자들의 반응에 대한 토픽 모델링감성분석을 실시한다. 분석 결과, 이용자들은 정보의 신뢰성, 위험회피, 실시간성, 유용성, 안정성 등 모든 차원에서 정부 대비 민간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민간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일방적인 차단이 아닌, 사후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하는 방안 등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global pandemic of COVID-19, it is pointed out that exposure to false information to the public could cause serious problems. However, in pandemic situations, there is also an positive effect for the public to share private-led information rather than centralized unilateral delivery of info...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감염병 상황에서 정부와 민간 차원의 정보제공의 가치를 이용자들의 평가를 기준으로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이용자들은 감염병 상황에서 민간이 제공하는 정보 및 서비스에 대해 만족하는지, 그 만족도가 정부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와 차이는 있는지, 그리고 어떤 측면에서 장단점이 있는지 등을 점검한다.
  •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리뷰는 이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후 그에 대한 평가를 남긴 것으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만족도, 제공되는 정보 및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평가 등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인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등록된 코로나19 관련 서비스의 리뷰를 수집하고, 민간과 정부가 제공하는 코로나 19 관련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평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용자 리뷰에 대한 다양한 수준에서의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위 쟁점들을 바탕으로, 민간 개발자들이 제공하는 정보서비스에 대해 이용자들이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를 조사하고 해당 논의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부와 민간주도로 제공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이용자리뷰를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통해 분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World Health Organization,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situation report, 72, 2020. 

  2. PWC, 코로나19가 가져올 구조적 변화: 디지털 경제 가속화, Samil Issue Report, 2020. 

  3. PWC, Navigate the tax measures in response to COVID-19, Tax and Legal Alert, 2020. 

  4. 송동근, 민귀홍, 진범섭, "공중보건 위기 상황 시 정보 정확성과 정보 적절성이 정부 신뢰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홍보학 연구, 제20권, 제2호, pp.61-90, 2016. 

  5. O. Kwon, W. S. Son, J. Y. Kim, and J. H. Kim, "Intervention effects in the transmission of COVID-19 depending on the detection rate and extent of isolation," Epidemiology and Health, Vol.42, pp.1-7, 2020. 

  6. J. S. Jia, X. Lu, Y. Yuan, G. Xu, J. Jia, and N. A. Christakis, "Population flow drives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COVID-19 in China," Nature, Vol.852, pp.389-394, 2020. 

  7. A. Husnayain, A. Fuad, and E. C. Y. Su, "Applications of google search trends for risk communication in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A case study of COVID-19 outbreak in Taiwan," International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2020. 

  8. J. Hopman, B. Allegranzi, and S. Mehtar, "Managing COVID-19 in low-and middle-income countries," Jama, Vol.323, No.16, pp.1549-1550, 2020. 

  9. J. J. Van Bavel, K. Baicker, P. S. Boggio, V. Capraro, A. Cichocka, M. Cikara, and J. Drury, "Using social and behavioural science to support COVID-19 pandemic response," Nature Human Behaviour, Vol.4, pp.460-471, 2020. 

  10. S. Sen, P. Karaca-Mandic, and A. Georgiou, "Association of Stay-at-Home Orders With COVID-19 Hospitalizations in 4 States," JAMA, 2020. 

  11. 허윤정, "감염병의 세계적 유행에 대응하는 빅데이터 활용," 정책동향, 제14권, 제2호, pp.7-13, 2020. 

  12. 황성완, 김채봉, "구글트렌드를 이용한 감염병 관심 동향 2004-2017년," 의료경영학연구, 제14권, 제1호, pp.39-46, 2020. 

  13. N. L. Bragazzi, H. Dai, G. Damiani, M. Behzadifar, M. Martini, and J. Wu, "How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an Help Better Manage the COVID-19 Pandemic,"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17, No.9, pp.1-8, 2020. 

  14. T. Kobayashi, S. M. Jung, N. M. Linton, R. Kinoshita, K. Hayashi, T. Miyama, A. Anzai, Y. Yang, B. Yuan, A. R. Akhmetzhanov, A. Sucuki, and H. Nishiura, "Communicating the risk of death from novel coronavirus disease (COVID-19),"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Vol.9, No.2, pp.1-7, 2020. http://www.cdc.go.kr/contents.es?mida20301020300 

  15. 정은경, "국가 감염병 공중보건위기 대비와 대응체계,"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Taehan Uisa Hyophoe Chi, 제60권, 제4호, pp.296-299, 2017. 

  16. 서경화, 이정찬, 김계현, 이얼, "감염병 발생시 우리나라의 위기관리체계에 관한 고찰," 국가정책연구, 제29권, 제4호, pp.219-242, 2015. 

  17. 고대유, 박재희, "감염병 재난 거버넌스 비교연구-사스와 메르스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27권, 제1호, pp.243-280, 2018. 

  18. 변성수, 신우리, 조성, "감염병 위기관리를 위한 긴급 대응체계 구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7호, pp.484-494, 2018. 

  19. 한아름, 세계가 주목한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사례, 대한민국정책브리핑, 2020. 

  20. M. Ienca and E. Vayena, "On the responsible use of digital data to tackle the COVID-19 pandemic," Nature medicine, Vol.26, No.4, pp.463-464, 2020. 

  21. 이준영, 허우철, 한미정, "메르스 루머의 수용과 확산에 미치는 영향 요인 탐색 : 트라이 앤디스(Triandis) 모델의 적용," 광고연구, 제122권, pp.104-133, 2019. 

  22. Oxford University, Oxford University infectious disease experts provide evidence for a coronavirus mobile app for instant contact tracing, News and Events, 2020. 

  23. 백혜진, "전략적인 감염병 위기대응 소통: 변화하는 공중의 역할과 미디어 환경,"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Taehan Uisa Hyophoe Chi, 제60권, 제4호, pp.306-313, 2017. 

  24. J. Ramos, "Using tf-idf to determine word relevance in document queries," In Proceedings of the first instruc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Vol.242, pp.133-142, 2003. 

  25. R. Piryani, D. Madhavi, and V. K. Singh, "Analytical mapping of opinion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research during 2000-2015,"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Vol.53, No.1, pp.122-150, 2017. 

  26. D. M. Blei, "Probabilistic topic models,"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55, No.4, pp.77-84, 2000. 

  27. D. M. Blei, A. Y. Ng, and M. I. Jordan, "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Vol.3, No.Jan, pp.993-1022, 2003. 

  28. P. DiMaggio, M. Nag, and D. Blei, "Exploiting affinities between topic modeling and the sociological perspective on culture: Application to newspaper coverage of US government arts funding," Poetics, Vol.41, No.6, pp.570-606, 2013. 

  29. 남춘호, 일기자료 연구에서 토픽모델링 기법의 활용 가능성 검토, 비교문화연구, 2016. 

  30. D. Devine, J. Gaskell, W. Jennings, and G. Stoker, Trust and the Coronavirus Pandemic: What are the Consequences of and for Trust? An Early Review of the Literature, Political Studies Review, 2020. 

  31. J. Henderson, P. R. Ward, E. Tonkin, S. B. Meyer, H. Pillen, D. McCullum, ... and A. Wilson, "Developing and maintaining public trust during and post-COVID-19: can we apply a model developed for responding to food scares?," Frontiers in public health, Vol.8, pp.369, 2020. 

  32. V. W. Lim, "Public perceptions of COVID-19 and behaviour change,"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