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핵심역량중심교육 관점에서 지층관련 초등과학교과서의 지식과 예비초등 교사들의 개념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Related to Strata from the Perspective of Core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the Concep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4 no.1, 2021년, pp.48 - 58  

문병찬 (광주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핵심역량중심교육 관점에서 초등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지층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교육대학교 1학년 학생 50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지층개념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초등교과서의 지층관련 지식은 대부분 'A는 B이다'와 같은 선언적 문장구조를 가지고 있다. 위와 같은 지식의 형식은 과학수업에서 학생들 간 토의와 토론의 주제로 사용하는데 한계를 지님으로써 핵심역량교육 관점에서 불리하다.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지층개념과 관련하여 조사대상자의 70%는 진흙, 모래, 자갈 등의 퇴적물들을 단단한 퇴적암으로 변화시키는 속성작용의 원인으로'상부의 퇴적층에서 가하는 압력과 압력으로 생긴 열이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지질시대의 자연환경에 대한 정보를 지층을 통해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약 20%가 '지층에서 나타난 화석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다'고 응답했다. 약 80%의 학생들은 지층을 통해 얻을 수 과거 지질시대의 자연환경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하는 자연환경에 대한 정보는 지층의 단단함 등 오개념이 비율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지층개념에 대한 교수/학습을 통해 핵심역량교육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초등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지층 관련 지식의 형태와 내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related to the strata in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to investigate the strata concept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most of the strata knowledge in elementary textbook has an explicit sentence structure, s...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24)

  1. 곽영순(2013).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에 대비한 핵심역량 재구조화 방안. 한국지구과학회지, 34(4), 378-387. 

  2. 교육부(2015a).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3. 교육부(2015b).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총론 해설서. 

  4. 문병찬(2017). 거꾸로 수업기반 지구과학 수업모델 개발 및 적용사례.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2), 91-103. 

  5. 문병찬(2019). 예비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수업에서 운영한 '과정중심평가'실효성 연구. 대한지구과학학회지, 12(3), 239-251. 

  6. 문병찬, 김해경(2010). SBF Conceptual Representation을 활용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자연현상 개념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3(1), 1-8. 

  7. 박종원, 윤혜경, 권성기(2019). 과학 역량 모델의 제안과 과학 교육과정에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2), 207-220. 

  8. 송진웅, 나지연(2015). 2015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방향 및 쟁점 그리고 과학교실문화. 현장과학교육, 9(2), 72-84. 

  9. 심보경, 유미현(2020). 2015 개정 교유과정 통합과학 및 과학탐구실험의 수행평가에 반영된 과학과 핵심역량 분석. 현장과학교육, 14(4), 481-500. 

  10. 양승영(1998). 지질학사전. 서울: 교학연구사. 

  11. 이광우, 정영근, 서영진(2014). 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설정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4-7. 

  12. 이용진, 정은영(2020). 과학 독서활동 수업이 과학과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현장과학교육, 14(4), 501-513. 

  13. 이주연(2018). 역량기반 교육과정 연구학교 교원의 경험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21(4), 1-20. 

  14. 임효진, 장진아, 송진웅(2018). 고등학생들의 과학적 역량에 있어서 과학수업 활동과 학습동기의 역할-경로모형의 검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3), 407-417. 

  15. 정공수, 김정률(2000). 퇴적암석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16. 조성권, 이철우, 손영관, 황인걸(1995). 퇴적학. 서울: 도서출판 우성. 

  17. 한국과학창의재단(2019). 미래세대 과학교육표준. 

  18. Arjomand, G., Erstad, O., Gilje, O., Gordon, J., Kallunki, V., Kearney, C., & Von Reis Saari, J. (2013). KeyCoNet 2013 literature review: Key competence development in school education in Europe. http://perso.ens-lyon.fr/olivier.rey/wp-KeyCoNet-Literature-Review-on-Key-c 

  19. Ben-Zvi Assaaf, O., & Orion, N. (2005). Development of systems thinking skill on the context of earth system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5), 518-560. 

  20. Birkett, W. P. (1993). Competency based standards for professional accountants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Discussion paper. Sydney, Australia: Institute of Chartered Accountants in Australia and the New Zealand Society of Accountants. 

  21. Kali, Y., Orion, N., & Eylon, S. B. (2003). Effect of knowledge integration activities in students' perception of the earth's crust as a cycle syste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6), 545-565. 

  22. Liu, L., & Humelo-Silver, C. E. (2009). Promoting complex systems learning through the use of conceptual representations on hypermedia.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9), 1023-1040. 

  23. Rychen, D. S., & Salganik, L. H.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http://www.oecd.org/pisa/35070367.pdf 

  24. Stella, C. (2005). Critical thinking skills. Houndmills, New York, ISBN 1-4039-968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