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시설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redictors of Facility Adaptation in Nursing Home Resi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39 no.2, 2009년, pp.177 - 185  

이혜경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이향련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동서간호학연구소) ,  이지아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동서간호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lf-efficiency, nursing home care quality and nursing home adaptation, 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nursing home adaptation in nursing home residents. Methods: The study employed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자기효능감, 시설서비스의 질 등이 적응 정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서울 및 수도권의 3개 도시에 위치한 6개의 요양시설에 입소해 있는 65세 이상의 치매노인을 제외한 노인 148명을 일대일 면담하였다. 노인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시설 입소결정을 본인이 한 경우와 자기효능감이었고 이밖에 시설 서비스의 질이 높고 시설비용이 무료일 때와 입소기간이 1년 이상일 때 입소노인의 적응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 본 연구는 노인인구의 증가와 노인수명의 증가로 이에 따른 노인시설의 수요가 급속히 증대되어가고 있는 시점에서 입소 노인의 시설적응에 도움이 되고자 문헌고찰을 통하여 적응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파악된 일상생활수행능력, 자기효능감, 시설서비스의 질이 노인의 시설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요양시설 입소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자기효능감, 시설서비스의 질 및 일반적인 특성이 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적응 정도와의 관련성과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시설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선행연구를 요약하면 신체적인 측면에서 일상생활수행능력, 정서적인 측면에서 자기효능감, 환경적인 측면에서 시설서비스의질, 기타 비용부담 및 시설입소결정 등이 시설입소 후 적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부분의 연구에서 시설적응 정도를 생활 만족도와 삶의 질 등으로 파악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Lee, G. E. (2007)의 시설 노인의 적응척도를 이용하여 노인의 시설에 대한 적응정도를 직접 측정하여 현재 입소노인의 적응정도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파악하여 노인의 노인요양시설 적응정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 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설 노인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는 어떠한가? 시설 노인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시설 입소결정의 본인의지와 자기효능감이 24.8%의 설명력을 가지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입소결정의 경우 Shin (2002)의 연구에서와 같이 입소결정을 본인이 한 경우 활동수준과 생활만족도가 다른 사람이 결정한 노인들에 비해 높게 나타난 결과와 일치한다.
노인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시설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무엇인가? 첫째, 시설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 및 적응 정도와 시설서비스의 질을 파악한다. 둘째, 시설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적응정도의 차이를 확인한다. 셋째, 일상생활수행능력, 자기효능감, 시설서비스의 질 및 적응정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다. 넷째, 시설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자기효능감, 시설서비스의 질 및 일반적 특성이 적응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시설 노인의 적응정도는 무엇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는가? 시설 노인의 적응정도는 시설입소결정, 시설입소동기, 시설비용 유무, 입소기간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시설입소 결정에서는 Shin (2002)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입소결정을 본인 스스로 한 경우 시설에서의 적응 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rooke, V. (1989). How elders adjust. Geriatric Nursing, 10(2), 66-68 

  2. Choi, H. E. (2002). A study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paid welfare facil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 Ang University, Seoul 

  3. Choi, J. S. (1992). Comparative study on health state of the aged resident in free of charged institu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4. Erdfelder, E., Faul, F., & Buchner, A. (1996). GPOWER: A general power analysis program.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Computers, 28, 1-11 

  5. Glenn, S. (2002).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n nursing education: Is there a need for a more philosophical analysis? Nurse Education Today, 22, 99-101 

  6. Haight, B. K. (1995). Suicide risk in frail elderly people relocated to nursing homes. Geriatric Nursing, 16, 104-107 

  7. Harrington, C., Mullan, J., Woodruff, L. C., Burger, S. G., Carrillo, H., & Bedney, B. (1999). Stakenholders' opinions regarding important measures of nursing home quality for consumers. American Journal of Medical Quality, 14, 124-132 

  8. Jeong, J. Y. (2006).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adaptation experience on nursing home admission of senio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Busan 

  9. Johnson, B. D., Stone, G. L., Altmaier, E. M., & Berdahl. L. D. (1998). The relationship of demographic factors, locus of control and self-efficacy to successful nursing home adjustment. The Gerontologist, 38, 209-216 

  10. Jorn, M. H., Hong, G. P., & Lee, K. H. (2006). A study on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changes by relocation to daily activity of elderly with dementi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2, 107-114 

  11. Kaisik, B. H., & Ceslowitz, S. B. (1996). Easing the fear of nursing home placements: The value of stress inoculation. Geriatric Nursing, 17, 182-186 

  12. Kim, S. K., Lee, S., & Lee, H. W. (2002). The difference of physical self-efficacy on sports events and various characters of participa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7, 104-113 

  13. Kim, Y. K. (2008).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related to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ccommodated in welfare fac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14.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National status of elder care facilities 2008. Seoul: Author 

  15.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 2007 Statistics on the aged. Seoul: Author 

  16. Laughlin, A., Parsons, M., Kosloski, K. D., & Bergman-Evans, B. (2007). Predictors of mortality: Following involuntary interinstitutional relocation.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3(9), 20-26 

  17. Lee, G. E. (2002).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the adjustment process of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The control of reluct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 624-632 

  18. Lee, G. E. (2007). Scale development of free nursing home-adjustment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736-743 

  19. Lee, J. (2008).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observable indicators of Nursing Home Care Quality Evaluation Instru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474-482 

  20. Lee, S. K. (2007).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in nursing home eld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1. Mahoney, F. I., & Barthel, D. W. (1965). Functional evalua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14, 61-65 

  22. Mosher-Ashley, P. M., & Lemay, E. P. (2001). Improving residents' life satisfaction. Nursing Homes, 50, 50-54 

  23. Munro, B. H. (2000). Regression. In B. H. Munro (Ed.), Statistical methods for health care research (pp. 246-286).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4. Oh, H. S. (1993). Health promotion and quality of life in Korean women with arthritis.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23, 617-630 

  25. Park, J. H. (2006). A Qualitative research about institutional adaptation of the elderly person in free asylum for the ag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onghoe University, Seoul 

  26. Rantz, M. J., Zwygart-Stauffacher, M., Mehr, D. R., Petroski, G. F., Owen, S. V., Madsen, R. W., et al. (2006). Field testing, refine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new measure of nursing home care quality.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4, 129-148 

  27. Reinardy, J. R. (1995). Relocation to a new environment: Decisional control and the move to a nursing home. Health & Social work, 20, 31-38 

  28. Sherer, M., & Maddux, J. E.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29. Shin, S. Y. (2002). The study on the impact of decision-making process on the adjustment of relocation to a nursing home in the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18, 111-1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