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장애인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in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5, 2021년, pp.765 - 775  

송승연 (한양대 한국후견.신탁연구센터) ,  이용표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독립변수를 개인심리적요인, 사회적요인,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자료는 2017년 보건복지부 연구, '지역사회 정신장애인 현황조사'에 참여한 정신장애인 969명이다. 분석방법은 SPSS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심리적 요인에서는 우울이 높을수록, 정신건강자신감이 낮을수록 자살생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요인에서는 미등록장애 집단일수록, 폭력 및 차별 경험에 많이 노출될수록,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자살생각에 대한 설명력은 26.9%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도출한 정신장애인의 자살예방에 관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정책과 개입 프로그램을 강구하는데 있어 개인심리적요소에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요소를 같이 평가하고 고려해야 한다. 둘째, 정신장애인의 자살예방 정책을 강구하는데 있어, 폭력과 차별 경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권익옹호서비스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정신장애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해 정신장애등록 제도를 개편하여 정신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당사자들이 제도 안으로 포섭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강구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To this e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analyzed by categorizing them into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social factor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자살 고위험 집단인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고, 독립변수를 개인심리적 요인, 사회적요인, 인구사회학적요인(통제변수)과 같이 3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다차원적인 측면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 정신장애인의 자살예방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정신장애인의 자살생각을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독립변수를 개인심리적요인과 사회적요인으로 구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어떤 변수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그림 1]과 같이 독립변수를 개인심리적요인, 사회적 요인, 인구 사회학적요인(통제변수)으로 구분하였다.
  •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조현병, 양극성장애, 조현정동장애, 지속성우울장애 등의 정신과진단명을 가지고 있으며, 지역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자를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자살사고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낙인, 차별, 억압에 직면하고 있는 정신장애인의 경험들이 자살생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은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 모색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중앙자살예방센터, 자살통계자료집, 2020. 

  2. 제영묘, "자살과 정신 장애," 생물치료정신의학, 제10권, 제1호, pp.3-10, 2004. 

  3. S. Saha, D. Chant, and J. McGrath, "A systematic review of mortality in schizophrenia: is the differential mortality gap worsening over tim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64, No.10, pp.1123-1131, 2007. 

  4. C. J. Bushe, M. Taylor, and J. Haukka, "Mortality in schizophrenia: a measurable clinical endpoint,"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Vol.24, No.4, pp.17-25, 2010. 

  5. K. Hawton, L. Sutton, C. Haw, J. Sinclair, and J. J. Deeks, "Schizophrenia and suicide: systematic review of risk factor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87, No,1, pp.9-20, 2005. 

  6. E. Fuller-Thomson and B. Hollister, "Schizophrenia and suicide attempts: findings from a representative community-based Canadian sample," Schizophrenia research and treatment, Vol.2016, pp.1-11, 2016. 

  7. 중앙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정신장애인의 자살, 정신건강동향, Vol.9, pp.1-2, 2019. 

  8. 전석균, 박봉길, 이화복, "정신장애인의 자살생각과 관련된 위험요인의 연구: 정서적 고립감, 자살시도 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제26권, pp.348-376, 2007. 

  9. 서성이, 김희숙, 김양태, "정신장애인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24, No.2, pp.245-254, 2013. 

  10. 조명주, 전원희, "입원정신질환자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1, pp.308-317, 2014. 

  11. R. Bentall, Madness Explained: Psychosis and Human Nature, Suffolk: Penguin, 2004. 

  12. 이용표, 강상경, 김용득, 박경수, 박인환, 하경희, 김병수, 김성용, 배진영, 송승연, 이진의, 황해민, 지역사회 정신장애인 현황조사 및 지원체계 연구, 보건복지부, 2017. 

  13. G. Thornicroft, E. Brohan, D. Rose, N. Sartorius, and M. Leese, "Global pattern of experienced and anticipated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with schizophrenia: a cross-sectional survey," Lancet, Vol.373, pp.408-415, 2009. 

  14. J. T. Suokas, J. Perala, K. Suominen, S. Saarni, J. Lonnqvist, and J. M. Suvisaari, "Epidemiology of suicide attempts among persons with psychotic disorder in the general population," Schizophrenia research, Vol.124, No.1-3, pp.22-28, 2010. 

  15. M. Bertelsen, P. I. A. Jeppesen, L. Petersen, A. Thorup, P. Le Quach, T. O. Christensen, and M. Nordentoft, "Suicidal behaviour and mortality in first-episode psychosis: the OPUS trial,"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91, pp.140-146, 2007. 

  16. 김희진, 정윤경,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과 자살생각의 관계 및 자존감의 조절효과," 사회연구, Vol.27, pp.9-47, 2015. 

  17. V. Kontaxakis, B. Havaki-Kontaxaki, M. Margariti, S. Stamouli, C. Kollias, and G. Christodoulou, "Suicidal ideation in inpatients with acute schizophrenia," The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Vol.49, No.7, pp.476-479, 2004. 

  18. 김지인, 권호인, "낙인이 자살생각에 대한 도움요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군 병사를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1, pp.29-38, 2017. 

  19. G. Schomerus, S. Evans-Lacko, N. Rusch, R. Mojtabai, M. C. Angermeyer, and G. Thornicroft, "Collective levels of stigma and national suicide rates in 25 European countries," Epidemiology and psychiatric sciences, Vol.24, No.2, pp.166-171, 2015. 

  20. A. L. Beautrais, "Risk factors for suicide and attempted suicide among young people," Australian &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Vol.34, No.3, pp.420-436, 2000. 

  21. A. Ventriglio, A. Gentile, I. Bonfitto, E. Stella, M. Mari, L. Steardo, and A. Bellomo, "Suicide in the early stage of schizophrenia," Frontiers in psychiatry, Vol.7, p.116, 2016. 

  22. P. Conus, S. Cotton, B. G. Schimmelmann, P. D. McGorry, and M. Lambert, "Pretreatment and outcome correlates of sexual and physical trauma in an epidemiological cohort of first-episode psychosis patients," Schizophrenia bulletin, Vol.36, No.6, pp.1105-14, 2010. 

  23. S. Farrelly, D. Jeffery, N. Ruesch, P. Williams, G. Thornicroft, and S. Clement, "The link between mental health-related discrimination and suicidality: service user perspectives," Psychological medicine, Vol.45, No.10, pp.2013-2022, 2015. 

  24. K. Hor and M. Taylor, "Suicide and schizophrenia: a systematic review of rates and risk factors,"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Vol.24, No.4, pp.81-90, 2010. 

  25. S. G. Siris, "Suicide and schizophrenia.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psychopharmacology, Vol.15, No.2, pp.127-135, 2001. 

  26. R. Ayesa-Arriola, E. G. Alcaraz, B. V. Hernandez, R. Perez-Iglesias, J. D. L. Morinigo, R. Duta, and B. Crespo-Facorro, "Suicidal behaviour in first-episode non-affective psychosis: Specific risk periods and stage-related factors," European Neuropsychopharmacology, Vol.25, No.12, pp.2278-2288, 2015. 

  27. B. A. Van Spijker, P. J. Batterham, A. L. Calear, L. Farrer, H. Christensen, J. Reynolds, and A. J. Kerkhof, "The Suicidal Ideation Attributes Scale (SIDAS): Community-based validation study of a new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suicidal ideation,"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Vol.44, No.4, pp.408-419, 2014. 

  28. B. G. Link, E. L. Struening, M. Rahav, J. C. Phelan, and L. Nuttbrock, "On stigma and its consequences: evidence from a longitudinal study of men with dual diagnoses of mental illness and substance abus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38, pp.177-190, 1997. 

  29. 권자영, "한국어판 정신건강자신감 척도 타당화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2, No.1, pp.225-251, 2014. 

  30. K. Vrbova, J. Prasko, M. Ociskova, M. Holubova, K. Kantor, A. Kolek, and M. Slepecky, "Suicidality, self-stigma, social anxiety and personality traits in stabilized schizophrenia patients-a cross-sectional study," Neuropsychiatric disease and treatment, Vol.14, pp.1415-1424, 2018. 

  31. 조윤화, 송승연, 이수연, 배진영, 장애인복지법 제도권 밖 소수자의 복지욕구에 관한 연구 II: 포괄적 정신장애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개발원, 2020. 

  32. 황종남, 오종묵, "대도시 거주지역 환경에 대한 만족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Vol.21, No.4, pp.149-161, 2020. 

  33. 백희정, 이진화, "대도시 거주 저소득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25, No.3, pp.180-186, 2014. 

  34. B. Barr, D. Taylor-Robinson, A. Scott-Samuel, M. McKee, and D. Stuckler, "Suicides associated with the 2008-10 economic recession in England: time trend analysis," Bmj, Vol.345, e5142, 2012. 

  35. 최선희, "자살은 질병인가: 한국 사회 자살의 의료화 현상에 대한 소고(小考)" 장애의 재해석, Vol.1, pp.116-150, 2010. 

  36. N. Tarrier, S. Khan, J. Cater, and A. Picken, "The subjective consequences of suffering a first episode psychosis: trauma and suicide behaviour,"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Vol.42, No.1, pp.29-35, 2007. 

  37. C. Henderson, S. Evans-Lacko, and G. Thornicroft, "Mental illness stigma, help seeking, and public health program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103, No.5, pp.777-780, 201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