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성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구성원 침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uthentic Leadership Influencing on Innovative Behavior: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Employee's Silen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9 no.5, 2021년, pp.249 - 262  

이병진 (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  장은혜 (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  이광희 (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직의 리더의 특성에 따라 구성원들의 행동의 변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실증연구를 통해 조직 구성원들의 행동의 변화를 유발 시키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진성리더십독립변수로 활용하고 결과변수로는 구성원들이 생각하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직접 실행하고 행동으로 옮기는 혁신행동을 변수로 활용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구성원의 침묵현상을 매개변수로 활용하여 구성원들의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함께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독립변수인 진성리더십은 구성원들의 혁신행동에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침묵의 매개효과 역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구성원들의 행동을 유발하는 내적 동기의 요인 중 리더십과 침묵 동기요인들이 작용된 것으로 보여 지는 결과이다. 이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조직의 구성원들이 느끼는 침묵의 원인에 대한 연구와 침묵이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구성원들의 침묵관리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가 중요할 것으로 보여 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believed that there will be changes in the behavior of memb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s lea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induce changes in the behavior of employees of the organization through empirical research. In order to accomp...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31)

  1. M. H. Kernis.(2003) Toward a conceptualization of optimal self-esteem, Psychological Inquiry, 14(1), 1-26. 

  2. E. W. Morrison & F. J. Milliken. (2000). Organizational silence: A barrier to change and development in a pluralistic world,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25, 706-725. 

  3. C. C. Pinder & K. P. Harlos. (2001). Employee silence: Quiescence and acquiescence as response to perceived injustice, In G.R. Ferris ed., Research in personnel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Greenwich, CT: JAI Press, Vol.20, 331-369. 

  4. L. Van Dyne, S. Ang & I. C. Botero. (2003). Conceptualizing employee silence and employee voice as multidimensional constructs,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Vol.40, 1359-1392. 

  5. R. M. Ryan & E. L. Deci. (2003) On assimilating identities to the self: A self 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on internalization and integrity within cultures, In M.R. Leary, J.P. Tangney eds., Handbook of self and identity, New York: Guilford Press, 253-272. 

  6. B. J. Avolio, F. Luthans & F. O. Walumbwa. (2004) Authentic leadership: Theory-building for veritable sustained performance, Working paper, Gallup Leadership Institute, University of Nebraska, Lincoln, 2004. 

  7. T. M. Amabile. (1996) Creativity in context: Update to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West view press. 

  8. R. W. Woodman, F. E. Sawyer & R. W. Griffin. (1993) Toward a theory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2), 293-321. 

  9. R. M. Kanter. (1983) The change masters: Innovation for productivity in the American corporation, New York: Simon & Schuster. 

  10. B. J. Avolio, W. L. Gardner.(2005) Authentic leadership development: Getting to the root of positive forms of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6, 315-338. 

  11. 이인석, "혁신행동의 선행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Vol. 23, No.1, pp.89-113, 1999. 

  12. M. Knoll. & R. Van Dick.(2013) Authenticity, employee silence, prohibitive voi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8(4), 346-360. 

  13. F. H. Kerlinger, "Foundations of behavioural Research: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Inquiry,"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1964. 

  14. J. C. Nunnally. (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ition, McGraw-Hill, New York. 

  15. Podsakoff, P.M. & Organ, D.W. (1986) Self-Reports in Organizational Research: Problems and Prospects. Journal of Management, 12, 531-544. 

  16. C. Fornell. & D.F. Larcker.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17. K. G. Joreskog & D. Sorbom. (1988) PRELIS: A Program for Multivariate Data Screening and Data Summarization. A Preprocessor for LISREL, Chicago: SSI, Inc. Google Scholar. 

  18. K. G. Joreakog. (1970) A general method for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Biometrika, 57(2) 239-251. 

  19. L. T. Hu & P. M. Bentler. (1998) Fit indices in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Sensitivity to under parameterized model miss pecification, Psychological Methods, 3(4) 424-453. 

  20. M. W. Browne. & R. Cudeck.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A. Bollen, J.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 Sage, 136-162. 

  21. S. G. Scott. & R. A. Bruce. (1994)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1442-1465. 

  22. F. O. Walumbwa, B. J. Avolio, W. L. Gardner, T. S. Wernsing & S. J. Peterson. (2008) Authentic leadership: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theory-based measure, Journal of Management, 34(1), 89-126. 

  23. S. Michie & J. Gooty. (2005) Values, emotions, and authenticity: Will the real leader please stand up?, The Leadership Quarterly, 16(3) 441-457. 

  24. F. Walumbwa, P. Wang, H. Wang, J. Schaubroeck & B. Avolio. (2010) Psychological processes linking authentic leadership to follower behaviors, The Leadership Quarterly, 21, 901-914. 

  25. R. Bagozzi. & Y. Yi.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s, 16, 74-94. 

  26. C. Fornell & D. F. Larcker.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27. R. M. Baron. & D. A. Kenny.(1986)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28. F. Damanpour.(1991) Organizational innovation: A Meta-Analysis of effect of Determinants and Moderator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4(3), 555-590. 

  29. Lin, H.-F. (2007) Knowledge Sharing and Firm Innovation Capability: An Empiric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Manpower, 28, 315-332. 

  30. Amabile, T.M. (1988) A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0, 123-167. 

  31. Harman, H.H. (1967) Modern Factor Analysis. University Press of Chicago, Chicag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