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박지 규모의 적정성 평가 기준에 의한 울산항 정박지 개선 방안
Improvement Plan for Ulsan Anchorage Based on Adequacy Evaluation Criteria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7 no.2, 2021년, pp.247 - 255  

박준모 (목포해양대학교 항해학부) ,  윤귀호 (한국해양대학교 항해융합학부) ,  강민균 (한국해양대학교 항해융합학부) ,  이윤석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경찰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울산항 정박지는 정박지 수요 대비 충분한 넓이의 면적이 확보되어 있지 않으나 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정박지 밀집도와 가동률 개념의 문제점을 개선한 일반식과 정박지 적정성 평가를 위한 새로운 평가 기준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 기준을 울산항 E 정박지에 적용하여 정박지 규모의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울산항 E1 정박지의 밀집도와 가동률은 각각 129 %, 122 %로 두 평가 기법 모두 100 %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평가 기준에 따라 정박지 확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울산항 입출항 선박의 통항 패턴과 도선지점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울산항 제1항로 끝단에서 부채꼴 모양으로 35도를 개방한 정박지 확장 방안을 제시하였고, 해상교통 항적도, 정박지 밀집도, 그리고 가동률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적정성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울산항 E3 정박지 남측의 확장 해역과 해상교통 항적이 일부 겹치는 부분은 존재하나 매우 미미하여 해상교통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정박지 모두에서 정박지 규모의 적정성이 확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lsan anchorage has not secured a sufficient area than the anchorage demand, and the criteria for objective evaluation are not clearly defined. In this study, a general formula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anchorage density and occupancy concept was derived, and new adequacy evaluation c...

주제어

참고문헌 (10)

  1. Fan, H. S. L. and J. M. Cao(2007), Sea Space Capacity and Operation Strategy Analysis System, Transportation Planning and Technology, Vol. 24, No. 1, pp. 49-63. 

  2. Huang, S. Y., W. J. Hsu, Y. He, T. Song, D. S. Charles, Y. Rong, C. Chuanyu, and N. Stuti(2009), Anchorage Capacity analysis using simulatio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bor, Maritime & Multimodel Logistics Modeling and Simulation HMS, Vol. 2009. No. 1, pp. 1-6. 

  3. Kwon, S. C., Y. U. Yu, J. M. Park, and Y. S. Lee(2019), A Basic Study on the Demand Analysis of Waiting Anchorage using Anchorage Capacity Index, Vol. 25, No. 5, pp. 519-526. 

  4. Lee, C. H. and H. H. Lee(2014), A Study on Expansion of Anchorage according to Increased Trading Volume at Pyeongtaek Port,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0, No. 6, pp. 663-670. 

  5. Lee, Y. S.(2014), A Study on the Anchorage Safety Assessment of E-Group Anchorage in Ulsan Po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0, No. 2, pp. 172-178. 

  6. MOF(2017), Design Standards of Ports and Fishing Ports, Mooring Facilities,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pp. 827-845. 

  7. MOF(2019), Ministry of Ocean and Fisheries Statistic System,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https://www.mof.go.kr/statPortal/ on April 1. 

  8. Park, J. M., G. H. Yun, H. D. Jeon, and G. Y. Kong(2016), The Proper Capacity of Anchorage in Ulsan Port with Reference to the Anchorage Operating Rate, Vol. 22, No. 5, pp. 380-388. 

  9. Park, J. M. and S. Y. Kim(2018), A Improvement Plans for Anchorage at Masan Port, Vol. 24, No. 6, pp. 637-645. 

  10. Yun, J. D.(2013), Theory and Practice of Ship Maneuvering, Sejong Press, pp. 12-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