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수·광양항 정박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Plans for Anchorage at Yeosu·Kwangyang Port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3 no.1, 2017년, pp.17 - 25  

이홍훈 (목포해양대학교 항해학부)

초록

항만의 교통량 증가 및 입항선박의 대형화는 기존 항만시설의 재배치 및 신규확충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역시설 중 하나인 정박지와 관련하여 현 여수 광양항에 지정된 정박지가 타 수역시설 등과 조화롭게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최근 5년간 각 정박지의 연도별 투묘선박 척수, 연도별 총 투묘시간, 평균 동시정박 척수, 최대 동시정박 척수, 최대크기 정박선박 등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정박지의 지정된 선박수용능력에 상응하는 최소 선회반경을 계산한 결과, 일부 정박지는 인근의 항로를 침범하거나 인접한 정박지 간 선회반경이 서로 겹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박지 규모 적합성 여부 분석 결과, 여수항 및 광양항에 배치된 정박지에 대하여 여수항 2 정박지의 이동, 광양항 1~5 정박지를 집단정박지로 확장, 광양항 8~9 정박지의 이동 및 광양항 11 정박지 폐지 등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location and expansion of existing port facilities are necessary given this increase in marine traffic volume and the presence of larger entering vessel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anchorage among water facilities, and examined the degree of harmony between anchorage and other water facil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Yun(2014)의 연구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현재 국내 항만의 항만시설운영세칙 상 정박지의 선박수용능력은 단위가 통일되어 있지 않은 한편 주로 선박의 총톤수(G/T)를 기준으로 정의되어 있다. 본 연구는 한 척의 선박이 안전하게 정박할 수 있도록 설계된 포인트 정박지에 대하여, 선박의 총톤수를 기준으로 지정된 정박지의 선박수용능력에 따른 각 정박지 규모의 적합성 여부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여수 광양항의 수역시설을 포함한 다른 항만시설과 조화롭게 배치 가능한 각 정박지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박지가 갖춰야할 조건은 무엇인가? 정박지는 선박이 운항을 멈춘 상태에서 안전하게 머무를수 있도록 정온하고 충분한 수면적이 확보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닻을 놓기에 적당한 수심과 양호한 저질 역시 확보해야 하고 주변의 수역시설 등과 조화롭게 배치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수 광양항에 지정된 포인트 정박지 및 원 정박지에 대하여 인근 수역시설과의 간섭 및 이용현황 등을 고려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정박지 선회반경을 계산하여 제시한 여수항 정박지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1) 여수항 2 정박지는 정박지의 서측 경계가 해안과 매우 근접하여, 정박지로의 접근 용이성 및 정박 중 주묘의 위험성을 개선하기 위해 현 위치보다 동쪽으로 약 150 m 이상 이동하여 재지정한다.
해상교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재검토되어야 할 항만시설은 무엇인가? 이러한 여수 광양항의 선박 입항척수 증가 및 물동량 처리량의 증가에 따른 입항선박의 대형화는 기존 항만시설의 재검토 혹은 재배치 및 신규확충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에 해양수산부에서는 2014년 1월 31일 광양항 원유부두 2번 선석에서 발생한 유조선 우이산호 부두접촉사고를 계기로 2015년에 선박통항로 안전성 평가 연구를 통하여 여수 광양항의 기존 항만시설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를 수행한 바 있다(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5). 해상교통환경의 변화에 따라 재검토되어야 할 항만시설에는 항로, 정박지, 선류장, 선회장 등의 수역시설, 방파제, 방사제, 파제제, 방조제 등의 외곽시설, 안벽, 물양장, 잔교, 돌핀 등의 계류시설 및 하역시설 등이 포함되며(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4a), 본 연구에서는 수역시설 중 정박지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 여수 광양항에 배치된 정박지의 규모가 지정된 선박수용능력에 적합한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Im, N. K., J. Y. Jong and M. S. Choi(2007), A Study on Improving Fairway and Anchorage in the Adjacent Waters of Wan-do Po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3, No. 4, pp. 65-70. 

  2. Im, N. K., C. S. Kim, H. S. Yang and K. W. Lee(2008), A Study on Design of Emergency Anchorage at Adjacent Waters of Wan-do Po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4, No. 1, pp. 65-69. 

  3. Lee, C. H. and H. H. Lee(2014), A Study on Expansion of Anchorage according to increased Trading Volume at Pyeongtaek Po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0, No. 6, pp. 663-670. 

  4. Lee, Y. S., J. S. Kim, J. M. Park and G. H. Yun(2012), A Study on the Designation of MIPO Emergency Anchor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8, No. 4, pp. 316-322. 

  5.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14a), Guidelines of Port and Harbor Design, Chapter 1 General, pp. 6-7. 

  6.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14b), Guidelines of Port and Harbor Design, Chapter 2 Design Condition, pp. 29-37. 

  7.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14c), Guidelines of Port and Harbor Design, Chapter 6 Water Facilities, pp. 708-710. 

  8.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15), Study on Safety Evaluation of Ship-Fairway 2015. 

  9. PIANC Report No. 121(2014), Harbour Approach Channels Design Guidelines, The World Association for Waterborne Transport Infrastructure, Chapter 3, pp. 99-102. 

  10. Port-MIS(2015), Por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http://yeosu.mof.go.kr/service?idportmisIndex/. 

  11. Song, G. E.(2009), Improvement Plan on Operation of O-2 Anchorage at the Busan North Port,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ol. 25, No. 1, pp. 29-46. 

  12. Yeosu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2015), Detailed Regulation for Yeosu Kwangyang Harbour Facilities Operation, Notification by Yeosu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No. 2015-99, Attached Table 1. 

  13. Yeosu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2016), http://yeosu.mof.go.kr/. 

  14. Yun, G. H.(2014), A Study on the Revision of Regulation for Effective Operation of Anchor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0, No. 4, pp. 398-4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