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통합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한 서울자전거 '따릉이' 사용성 연구 -50대 이상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Research on Usability of Seoul Bike based on Seoul Universal Guideline -Focusing on seoul citizens over-50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 2019년, pp.287 - 293  

김태희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지털미디어디자인전공) ,  김보연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자전거 이용 수치가 가장 낮은 50대 이상의 시민을 중심으로 사용성 연구를 하는 데에 있다. 실험 전 문헌연구를 통해 유니버설디자인의 배경과 원칙을 알아본 후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통합 가이드라인'의 배경과 목적, 원칙과 범위를 연구하였다. 이때, 기존 4원칙을 공공서비스에 맞는 원칙으로 재설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두 가지 실험을 시행하였다. 우선, 설문조사를 통해 50대 이상 서울시민은 따릉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니즈는 있으나 앱 이용이 어려워서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후 시행한 Task 평가 분석을 통해 전체적인 서비스 이용 과정은 편리하다고 생각되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가장 큰 요점인 앱 사용성이 떨어져 50대 이상 시민의 서비스 이용 접근성 및 사용성이 떨어진다는 분석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 연구의 분석과 평가가 향후 서울시 공공서비스 디자인에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나아가 4차 산업혁명과 함께 이슈화된 노인의 미디어 소외에 관한 문제에서도 이바지할 수 있기를 바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usability of Seoul Bike focusing on seoul citizens over-50s. Before the test, I researched Seoul Universal Design Guideline's background, purpose, principle and range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n I did two tests based on re-establishment of the existing...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2017년 서울시에서 개발한 ‘서울시 유니버설 디자인 통합 가이드라인’을 서비스 범위로 확대하여 원칙을 설정, 적용하여 서울시 공공서비스, 서울자전거 따릉이의 사용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 그리고 서울자전거 ‘따릉이’의 현황도 함께 알아봄으로써 현재 서울시 공공자전거의 방향성과 실태를 고찰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장 이용 수치가 적은 50대 이상 시민을 대상으로 삼으며 2017년 서울시에서 개발한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통합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서울자전거 ‘따릉이’의 사용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 9%는 장애인으로 다양한 사람들이 살아가는 도시이다. 따라서 서울시에서는 다양한 사람들의 삶을 평등하게 지원하기 위해 모든 시민이 나이, 신체 크기, 국적, 장애, 능력과 무관하게 이용할 수 있는 유니버설디자인을 구현하고자 했다.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의 목적은 Fig.
  • 본 설문조사는 서울자전거 ‘따릉이’의 50대 사용 현황과 이용 니즈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으며 객관식 12문항, 주관식 2문항으로 총 14문항의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 본 설문조사에서는 ‘따릉이’에 관한 질문 전 자전거에 대한 관심도를 알아보기 위해 자전거 이용빈도와 사용시간에 대해 질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통합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서울자전거 ‘따릉이’의 사용성을 연구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범위 내에 없는 서비스 디자인을 연구하고자 하였기에 기존 4원칙에 근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6]. 이에 기존 4원칙 중 ‘안전성’을 유니버설디자인 7원칙 중 ‘Simple and Intuitive(단순하고 명쾌하게)’, 즉 ‘단순성과 직감성’으로 대체하였다(Table 1 참조).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의 기본 철학은?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의 기본 철학은 모든 시민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살아갈 수 있는 도시환경 조성이다. 서울시는 유니버설디자인 과정에서 ‘인간의 다양성’을 고려해 모든 시민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살 수 있는 보편적인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기본 철학과 유니버설디자인의 원칙에 근거해 편리성, 안전성, 쾌적성, 선택가능성 총 네 가지로 설정되었다(Fig.
유니버설디자인이란? 1970년대에 이르러 유럽과 미국의 일부 지역은 개인화와 통합화를 함께 지향하는 해결책에 관해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이후 노스캐롤라이나 유니버설 디자인센터(Center for Universal Design in North Carolina) 창립자이자 건축가인 론메이스(Ron Mace)는 유니버설디자인은 상식적인 접근을 통해 모든 사람이 사용할 수 있게 디자인하고 생산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2]. 그리고 유니버설디자인에 관한 관심은 1990년대에 이르러 증가했다.
유니버설디자인 7원칙? 유니버설디자인 7원칙은 다음과 같다. 1. Equitable Use(공평하게) 2. Flexibility in Use(유연하게) 3. Simple and Intuitive(단순하고 명쾌하게) 4. Perceptible Information(인지할 수 있게) 5. Tolerance for Error(실수에 관대하게) 6. Low Physical Effort(신체적 부담 없이) 7. Size and Space for Approach and Use(크기와 공간을 적절하게)[3,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