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마음챙김과 정서조절의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dfulness and Emotional Regulation in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8, 2021년, pp.507 - 514  

남상규 (아주대학교 라이프미디어 협동과정 IT심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마음챙김정서조절을 위한 기법의 하나로 활용되고 있다. 정서조절에 있어서 마음챙김은 부정정서 경험을 줄이거나 제거하려고 시도하기보다 현재의 경험을 있는 그대로 관찰한다는 점에서 비통제적인 방식으로 분류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이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지각된 통제를 통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확인하고자 지각된 통제가 마음챙김과 정서조절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66명(남 179명, 여 187명)을 대상으로 마음챙김, 지각된 통제, 정서조절 곤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 조사하였고, Hayes의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마음챙김과 정서조절 곤란의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가 완전매개효과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마음챙김이 지각된 통제를 통해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ndfulness is being used as one of the techniques for emotional regulation. In emotional regulation, mindfulness is considered as an uncontrolled way in that it observes the present experience as it is, rather than attempting to reduce or eliminate negative affective experiences. However, in this s...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정서조절에 있어서 상반된다고 여겨지는 마음챙김과 통제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통제의 의미를 지각된 통제라는 개념으로 마음챙김과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러한 점으로 볼 때 마음챙김이 통제와 상반된 관계를 갖는다기보다 마음챙김 수준이 높을수록 지각된 통제가 높고, 이러한 지각된 통제가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음 챙김과 정서조절의 관계에서 지각된 통제가 매개할 것임을 가정하고 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오준엽, 마정이, 남상규, 김완석, 이주엽, "마음챙김 훈련을 위한 모바일 인터페이스 디자인."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9권, 제11호, pp.179-192, 2018. 

  2. J. Reeve, (정봉교, 윤병수 외 3 역)., 동기와 정서의 이해 [Understanding Motivation and Emotion], 서울: 박학사, 2011. 

  3. V. L. Cortez and D. B. Bugental, "Children's visual avoidance of threat: A strategy associated with low social control," Merrill-Palmer Quarterly, Vol.40, No.1, pp.82-97, 1994. 

  4. S. C. Hayes, K. G. Wilson, E. V. Gifford, V. M. Follette, and K. Strosahl, "Experiential avoidance and behavioral disorders: A functional dimensional approach to diagnosis and treatmen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64, pp.1152-1168, 1996. 

  5. R. A. Thompson and S. D. Calkins, "The double-edged sword: Emotional regulation for children at risk,"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Vol.8, pp.163-182, 1996. 

  6. H. A. Rahl, E. K. Lindsay, L. E. Pacilio, K. W. Brown, and J. D. Creswell, "Brief mindfulness meditation training reduces mind wandering: The critical role of acceptance," Emotion, Vol.17, No2, p.224, 2017 

  7. D. Z. Robert(문현미 역), 우울증을 위한 ACT [ACT for Depression], 서울:학지사, 2013. 

  8. 각묵, 초기불교이해(초판), 김해: 초기불전연구원, 2010. 

  9. Bodhi, "What does mindfulness really mean? a canonical perspective," Contemporary Buddhism, Vol.12, No.1, pp.19-39, 2011. 

  10. S. R. Bishop, M. Lau, S. Shapiro, L. Carlson, N. D. Anderson, J. Carmody, Z. V. Segal, S. Abbey, M. Speca, D. Velting, and G. Devins, "Mindfulness: a proposed operational definition,"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Vol.11, pp.230-241, 2004. 

  11. Y. Y. Tang, B. K. Holzel, and M. I. Posner, "The neuroscience of mindfulness meditation," Nature Reviews Neuroscience, Vol.16, No.4, pp.213-215, 2015. 

  12. J. J. Gross, Handbook of Emotion Regulation, Guilford press: New York, pp.548-567, 2014. 

  13. M. Alsubaie, R. Abbott, B. Dunn, C. Dickens, T. F. Keil, W. Henley, and W. Kuyken, "Mechanisms of action in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and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MBSR) in people with physical and/or psychological conditions: a systematic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55, pp.74-91, 2017. 

  14. 최윤숙, 김명아, "마음챙김기반 인지치료(MBCT)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2호, pp.210-222, 2019. 

  15. 정구철, 김영화, "대학생들의 정신건강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9호, pp.430-440, 2019. 

  16. N. A. Farb, Z. V. Segal, and A. K. Anderson, "Mindfulness meditation training alters cortical representations of interoceptive attention," Social Cognitive and Affective Neuroscience, Vol.8, No.1, pp.15-26, 2013. 

  17. T. R. Kral, B. S. Schuyler, J. A. Mumford, M. A. Rosenkranz, A. Lutz, and R. J. Davidson, "Impact of short-and long-term mindfulness meditation training on amygdala reactivity to emotional stimuli," Neuroimage, Vol.181, pp.301-313, 2018. 

  18. E. A. Skinner, "A guide to constructs of contro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1, No.3, p.549, 1996. 

  19. F. Pagnini, K. Bercoviz, and E. Langer, "Perceived control and mindfulness: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Psychotherapy Integration, Vol.26, No.2, pp.91-102, 2016. 

  20. M. E. P. Seligman, Helplessness, San Francisco, CA, 1975. 

  21. M. G. Craske, R. Bunt, R. M. Rapee, and D. H. Barlow, "Perceived control and controllability.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Vol.5, No.4, pp.285-292, 1991. 

  22. B. F. Chorpita and D. H. Barlow, "The development of anxiety: The role of control in the early environment," Psychological Bulletin, Vol.124, pp.3-21, 1998. 

  23. J. D. Brown and J. M. Siegel, "Attributions for negative life events and depression: The role of perceived contro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4, No.2, p.316, 1988. 

  24. F. J. Infurna and D. Gerstorf, "Linking perceived control, physical activity, and biological health to memory change," Psychology and Aging, Vol.28, No.4, pp.1147-1163, 2013. 

  25. 성승연, 박성현, "한국판 Shapiro 통제 척도(K-SCI)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 및 성격, 제22권 제4호, pp.111-132, 2008. 

  26. Y. H. Kee and C. J. Wang, "Relationships between mindfulness, flow dispositions and mental skills adoption: A cluster analytic approach,"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Vol.9, No.4, pp.393-411, 2008 

  27. 조용재, 마음챙김 명상이 군부적응 병사들의 심리적 수용, 내적통제력 및 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8. 김봉구, 김윤주, "마음챙김 명상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및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동아시아불교문화, 제30권, pp.327-359, 2017. 

  29. C. M. Luberto, S. Cotton, A. C. McLeish, C. J. Mingione, and E. M. O'Bryan, "Mindfulness skills and emotion regulation: The mediating role of coping self-efficacy," Mindfulness Vol.5, No.4, pp.373-380, 2014. 

  30. G. Feldman, A. Hayes, S. Kumar, J. Greeson, and J. P. Laurenceau, "Mindfulness and emotion regulation: Th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Cognitive and Affective Mindfulness Scale-Revised (CAMS-R),"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Vol.29, No.3, p.177, 2007. 

  31. 조용래, "한국판 개정된 인지적 및 정서적 마음챙김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8권, 제3호, pp.667-693, 2009. 

  32. D. H. Shapiro, "Manual for the Shapiro control inventory(SCI)," Palo Alto, CA : Behaviordata, 1994a. 

  33. K. L. Gratz and L. Roemer,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Vol.26, No.1, pp.41-54, 2004. 

  34. 조용래, "정서조절곤란의 평가: 한국판 척도의 심리측정적 속성,"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제26권, 제4호, pp.1015-1038, 2007. 

  35. A. F. Hayes, PROCESS macro를 이용 한 매개분석, 조절분석 및 조절된 매개분석(이형권 역), 파주: 신영사, 2015. 

  36. T. J. Kline, Psychological testing: A practical approach to design and evaluation, Sage Publications, 2005. 

  37. 김민정, 마음챙김이 걱정에 미치는 영향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지각된 통제감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38. 정준영, 붓다의 괴로움과 그 소멸. 한자경(편), 괴로움 어디서 오는 것인가, 서울: 운주사, pp.39-89, 201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