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딥러닝 자동 분류 모델을 위한 공황장애 소셜미디어 코퍼스 구축 및 분석
Building and Analyzing Panic Disorder Social Media Corpus for Automatic Deep Learning Classification Model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8 no.2, 2021년, pp.153 - 172  

이수빈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성덕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주희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고영수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송민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공황장애 말뭉치 구축과 분석을 통해 공황장애의 특성을 살펴보고 공황장애 경향 문헌을 분류할 수 있는 딥러닝 자동 분류 모델을 만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셜미디어에서 수집한 공황장애 관련 문헌 5,884개를 정신 질환 진단 매뉴얼 기준으로 직접 주석 처리하여 공황장애 경향 문헌과 비 경향 문헌으로 분류하였다. 이 중 공황장애 경향 문헌에 나타난 어휘적 특성 및 어휘의 관계성을 분석하기 위해 TF-IDF값을 산출하고 단어 동시출현 분석을 실시하였다. 공황장애의 특성 및 증상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증상 빈도수와 주석 처리된 증상 번호 간의 동시출현 빈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구축한 말뭉치를 활용하여 딥러닝 자동 분류 모델 학습 및 성능 평가를 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신 딥러닝 언어 모델 BERT 중 세 가지 모델을 활용하였고 이 중 KcBERT가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본 연구는 공황장애 관련 증상을 겪는 사람들의 조기 진단 및 치료를 돕고 소셜미디어 말뭉치를 활용한 정신 질환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고자 시도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create a deep learning based classification model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panic disorder and to classify the panic disorder tendency literature by the panic disorder corpus constructed for the present study. For this purpose, 5,884 documents of the panic disorder corpus co...

Keyword

표/그림 (12)

참고문헌 (33)

  1. ETRI (2019). KorBERT. Available: https://aiopen.etri.re.kr/service_dataset.php 

  2. Kim, Gyeong-Min, Kim, Kue-kyeng, Jo, Jae-choon, & Lim, Heui-Seok (2018). Constructing for Korean traditional culture corpus and development of named entity recognition model using Bi-LSTM-CNN-CRF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2), 47-52. 

  3. Kim, Hyun-Ji, Park, Seo-Jeong, Song, Chae-Min, & Song, Min (2019). Text mining driven content analysis of social perception on schizophrenia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terminolo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3(4), 285-307. 

  4. Ko, Eun-Jung, Choi, Young-Hee, Park, Gi-Hwan, & Lee, Jung-Heum (2000).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nic disord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6(2), 188-198. 

  5. Lee, Hyun-Joo, Gim, Min-Sook, Kim, Se-Joo, Park, Seon-Cheol, Yang, Jong-Chul, Lee, Kyoung-Uk, Lee, Sang-Hyuk, Lee, Seung-Jae, Lim, Se-Won, Chae, Jeong-Ho, Han, Sang-Woo, Hong, Jin-Pyo, & Seo, Ho-Jun (2019). The bodily panic symptoms and predisposing stressors in Korean patients with panic disorder.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58(4), 339-345. https://doi.org/10.4306/jknpa.2019.58.4.339 

  6. Lee, Sungjick & Kim, Han-joon (2009). Keyword extraction from news corpus using modified TF-IDF. The Jou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14(4), 59-73. 

  7. Paek, Hye-Jin, Cho, Hye-Jin, & Kim, Jung-Hyun (2017). Content analysis of news coverage on stigma and attribution regarding mental illnes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61(4), 7-43. https://doi.org/10.20879/kjjcs.2017.61.4.001 

  8. Park, Chan-Jun, Park, Ki-Nam, Moon, Hyeon-Seok, Eo, Su-Gyeong, & Lim, Heui-Seok (2021). A study on performance improvement considering the balance between corpus in neural machine transl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2(5), 23-29. 

  9. Park, Soo-Hyun (2017). Evidence-based treatment of panic disorder.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6(4), 458-469. https://doi.org/10.15842/kjcp.2017.36.4.002 

  10. Seoul Asan Hospital (2014). Disease encyclopedia panic disorder. Available: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83 

  11.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010). N medical information panic disorder. Available: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44 

  12. Shin, Seo-Hee (2017). Panic disorder patients in the last 5 years Treatment trend analysis.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13. Shin, Yong-Wook (2014). Seoul Asan Hospital. Available: http://psy.amc.seoul.kr/asan/depts/psy/K/bbsDetail.do?menuId862&contentId213922 

  14. Song, Min (2017). Textmining. Seoul: Chungram. 

  15. Yu, J. (2019). Text mining for identifying topics in internet Q&A about adolescents' sexual concerns.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44(2), 181-188. https://doi.org/10.21032/jhis.2019.44.2.181 

  1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uthor. 

  17. Benton, A., Mitchell, M., & Hovy, D. (2017). Multi-task Learning for Mental Health using Social Media Text. arXiv preprint arXiv:1712.03538. 

  18. Devlin, J., Chang, M. W., Lee, K., & Toutanova, K. (2018). Bert: Pre-training of deep bidirectional transformers for language understanding. arXiv preprint arXiv:1810.04805. 

  19. Devlin, J. (2021). Bert multilingual. Available: https://github.com/google-research/bert/blob/master/multilingual.md 

  20. Du, J., Zhang, Y., Luo, J., Jia, Y., Wei, Q., Tao, C., & Xu, H. (2018). Extracting psychiatric stressors for suicide from social media using deep learning. BMC medical informatics and decision making, 18(2), 77-87. https://doi.org/10.1186/s12911-018-0632-8 

  21. Jeon, Heewon. (2018). KoSpacing: Automatic Korean word spacing. Available: https://github.com/haven-jeon/PyKoSpacing 

  22. Jeon, Heewon. (2021). KoBERT. Available: https://github.com/SKTBrain/KoBERT 

  23. Ko, Hyunwoong. (2021). Korean Sentence Splitter. Available: https://github.com/hyunwoongko/kss 

  24. Lee, Junbum. (2021). KcBERT: Korean Comments BERT. Available: https://github.com/Beomi/KcBERT 

  25. Medrouk, L. & Pappa, A. (2017). Deep learning model for sentiment analysis in multi-lingual corpus.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pp. 205-212). Springer, Cham. https://doi.org/10.1007/978-3-319-70087-8_22 

  26. Moessner, M., Feldhege, J., Wolf, M., & Bauer, S. (2018). Analyzing big data in social media: Text and network analyses of an eating disorder forum.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51(7), 656-667. https://doi.org/10.1002/eat.22878 

  27. Mozafari, M., Farahbakhsh, R., & Crespi, N. (2019). A BERT-based transfer learning approach for hate speech detection in online social media.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lex Networks and Their Applications (pp. 928-940). Springer, Cham. https://doi.org/10.1007/978-3-030-36687-2_77 

  28. Roy-Byrne, P. P., Craske, M. G., & Stein, M. B. (2006). Panic disorder. The Lancet, 368(9540), 1023-1032. https://doi.org/10.1016/S0140-6736(06)69418-X 

  29. Salton, G. & M. J. McGill. (1983). Introduction to modern information retrieval. 

  30. Sekulic, I. & Strube, M. (2020). Adapting deep learning methods for mental health prediction on social media. arXiv preprint arXiv:2003.07634. 

  31. Song, Min. (2021. June 6). treform. Available: https://github.com/MinSong2/treform 

  32. Vaswani, A., Shazeer, N., Parmar, N., Uszkoreit, J., Jones, L., Gomez, A. N., Kaiser, L., & Polosukhin, I. (2017). Attention is all you need. arXiv preprint arXiv:1706.03762. 

  33. Yu, L., Jiang, W., Ren, Z., Xu, S., Zhang, L., & Hu, X. (2021). Detecting changes in attitudes toward depression on Chinese social media: A text analysi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80, 354-363. https://doi.org/10.1016/j.jad.2020.11.04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