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말소리가 제한된 아동을 위한 말리듬을 이용한 난타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Nanta program using speech rhythm for children with limited speech sound production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13 no.2, 2021년, pp.67 - 76  

박영혜 (대구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언어청각치료학과) ,  최성희 (대구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언어청각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난타는 북과 같은 타악기를 이용한 "두드리기"라는 뜻으로 한국 전통 음악인 사물놀이의 리듬이다. 말소리 산출이 제한된 아이들을 위해 난타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적용되었다. 또한, 이 연구는 언어 리듬을 이용한 난타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증거를 제공한다. 난타 음성 리듬 중재 프로그램은 말리듬을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난타 프로그램은 청각 자극, 다양한 소리와 박자, 리듬을 제공했으며, 리듬과 함께 호흡, 발성, 조음의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말소리 목록이 제한된 6명의 아이들이 이 연구에 참여했다. 아동들에게 소리와 박자를 탐색하고 소리와 박자를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하였다. 또한, 리듬과 함께 단어를 모방하고 모방하는 단어에서 음절의 길이를 늘림으로써 다양한 말소리를 산출하도록 격려하였다. 매 회당 40분 동안 주 2회씩 총 15회의 세션이 실시되었다. 중재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치료 전후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와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VT) 점수를 비교하였다. Wilcoxon rank test 결과, 중재 후 PRES에서 수용언어 점수(p=.027)와 표현언어 점수(p=.024) 및 수용어휘력(p=.028)과 표현어휘력 (p=.028)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난타 리듬 컨트롤 프로그램은 수용적이고 표현적인 어휘와 언어 발달에 상당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발견들은 리듬 컨트롤 프로그램이 제한된 음성 소리 생성을 가진 어린이들의 언어 발달과 어휘 향상에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nta means "tapping" using percussion instruments such as drums, which is the rhythm of Samulnori, a tradtional Korean music. Nanta speech rhythm inter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for the children with limited speech sound production and investigated its effect. Nanta program provided ...

주제어

참고문헌 (32)

  1. Bang, E. (2016). An influence of rhyme the activities through creative physical expressions on linguistic competence in preschoolers. Art Education Research, 14(4), 97-111. 

  2. Catford, J. C. (2001). A practical introduction to phonetics(2nd ed.).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3. Davis, W. B., Gfeller, K. E., & Thaut, M. H. (1999). Introduction to music therapy: Theory and practice (2nd ed.). Dubuque, IO: McGraw-Hill. 

  4. Eimas, P. D. (1974). Auditory and linguistic processing of cues for place of articulation by infants. Perception & Psychophysics, 16(3), 513-521. 

  5. Ha, S., & Oller, D. K. (2019). Canonical babbling in Koreanacquiring infants at 4-9 months of ag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1), 1-8. 

  6. Han, S. K., Kim, Y. T., & Park, E. H. (2012). The effect of AAC intervention using a tablet PC on aspects of non-verbal students with severe autism spectrum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7(1) 92-106. 

  7. Heo, S. & Mun, H. M. (2013). Effects of Nanta activity using nanta drum on stress and self-esteem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 bilitie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14(3) 281-305. 

  8. Jang, H., & Ha, S. (2019). Protophone development at 4-6 months and 7-9 months of ag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3), 707-714. 

  9. Jang, H. S. (2001).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intervention in children's home using PECS on the expression of needs of children with autism.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6(2) 505-516. 

  10. Jeong, J. R., Lee, J. Y., Sohn, M. K., & Lee, J. W. (2018). The effect of music programs through improvement of the ability to solve language problem and the reduction of problem behavior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children: Case study. Korean Association for Hearing and Speech Disorder Education, 9(1), 175-195. 

  11. Kang, J. (2009). Effects of the language interaction with song on verbal ability for down's syndrome chil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san, Korea. 

  12. Kim, C. (2010). The effect of nanta on the eye-hand coordin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san, Korea. 

  13. Kim, J., & Hong, K. H. (2017). A usability testing of MyTalkie for non-verbal children with disorder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tudy AAC Research & Practice, 5(1), 67-93. 

  14. Kim, S. J. (2015). Development of music activities program for improvement of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usan, Korea. 

  15. Kim, S. J. & Kim, S. Y.(2011). Change of expressive action timing & inter-limb coordination pattern by expertise.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2( 2), 111-121. 

  16. Kim, Y. T (1996). A study on consonant accuracy of 2-6 year old children through shadow tone test.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1, 7-33. 

  17. Kim, Y. T., Hong, K. H., Kim, K. H., Chang, H. S., & Lee, J. Y. (2003).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Seoul, Korea: Seoul General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18. Kim, Y. T., Hong, K. H., Kim, K. H., Jang, H. S., & Lee, J. Y. (2009).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REVT). Seoul, Korea: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19. Kwon, J. H. (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percussion music group therapy on Schizophrenics' stress coping ability. Korean Society of Clinical Healing Arts, 1, 1-16. 

  20. Lee, G. H. (2008). The effect of program using children's song on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score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Master's thesis).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Jinju, Korea. 

  21. Lee, H. B. (1982). A phonetic study of Korean rhythms. The Voice of Speech, 4, 31-48. 

  22. Lee, J., & Moon, S. (2017). Effect of percussion performance activities on acculturative stress and ego resilience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19(1), 93-115. 

  23. Lee, M., & Park, E. (2007). Effects of peer-mediated intervention via AAC on the communicative behaviors of children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2(2), 317-333. 

  24. Olander, L., Smith, A., & Zelaznik, H. N. (2010). Evidence that a motor timing deficit is a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stuttering,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3, 876-886. 

  25. Oller, D. K. (2000). The emergence of the speech capacity.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6. Park, Y., & Kim. J. (2018). The effects of nanta music therapy program on social skills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Youth Studies, 25(9), 249-267. 

  27. Schoner, G., Zanone, P. G., & Kelso, J. A. S. (1992). Learning as change of coordination dynamics: Theory and experiment. Journal of Motor Behavior, 24(1), 29-48. 

  28. Seo, H., Kim, H., & Park, M. J. (2013). The effects of musical activities using percussion instruments on children's musical creativ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33(3), 253-279. 

  29. 김수지, 곽은미 (2009). 학령전기 비구어 자폐 아동의 언어 발달 을 위한 음악치료의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한 이론적 고찰. 자폐 성장애연구, 9(2), 97-110. 

  30. 김정연, 박은혜 (2003). 중도 뇌성마비아동의 의사소통 기술 증진 을 위한 AAC 대화상대자 훈련. 특수교육, 2(1), 37-58. 

  31. 이우진, 강수균 (2004). 애니메이션 활용이 언어장애아동의 언어 능력에 미치는 효과. 재활과학연구, 22(1), 55- 69. 

  32. 정소미, 하승희 (2017). 비단어 따라말하기와 연령, 어휘 및 조음 능력과의 관계. 언어청각장애연구, 22(1), 14-2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