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재생사업에서 지역주민 만족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Residents' Satisfaction o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8 no.2, 2021년, pp.99 - 112  

이경한 (공주대학교 지역사회개발학과) ,  박덕병 (공주대학교 지역사회개발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residents' satisfaction for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250 people with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A factor analysis identified three factors which are positive economic impacts, negative social ...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35)

  1. 강맹훈, 송혜승, & 이명훈. (2017a). 거주자 및 상인그룹의 도시재생사업 만족도에 관한연구: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13곳을 대상으로. 주택도시연구, 7(3), 19-33. doi:10.26700/shuri.2017.12.7.3.19 

  2. 강맹훈, 송혜승, & 이명훈. (2017b). 도시재생사업의 참여주체별 만족도에 대한 요인분석: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의 주민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33(6), 31-37. doi:org/10.5659/jaik_pd.2017.33.6.31 

  3. 국토교통부. (2013).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국가법령 정보센터. https://www.law.go.kr/ 

  4. 김두순, 김성록, & 박덕병(2017). 농촌 지역사회 주민역량이 지역사회 만족에 미치는 영향. 농촌지도와 개발, 24(4), 279-293. doi:10.12653/jecd.2017.24.4.0279 

  5. 김선아, 이의진, & 홍경구. (2018). 도시재생사업에서 사업참여도가 주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연구: 서울 창신숭인을 대상으로. 한국주거학회, 30(2), 311-314. 

  6. 김흥순, & 원준혁(2013). 주민참여 및 인식도에 있어서 사회인구학적 요인의 특성에 대한 고찰: 서울시 마을만들기 3개 시범지역을 대상으로. 서울도시연구, 14(1), 93-111. 

  7. 대전도시재생지원센터. (2020). www.djrc.kr 

  8. 문재홍, & 김종진. (2018). 중소도시 도시재생 지역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전주시 도시재생 TB를 중심으로. 주거환경, 16(2), 141-157. doi:org/10.22313/reik.2018.16.2.141 

  9. 박덕병, 조영숙, & 이민수. (2006). 농업인의 농촌지역사회 만족 결정요인: 영주시를 대상으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3), 49-74. 

  10. 박희정, 변태근, & 이상호. (2018). 도시재생사업의 만족도 평가. 지역연구, 34(3), 3-11. doi:10.22669/krsa.2018.34.3.003 

  11. 서남진, & 김호철. (2019).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주민만족도 결정요인 연구: 도시활력증진사업을 중심으로. 대한부동산 학회지, 37(3), 25-46. 

  12. 김태동, 성순아, & 황희연. (2014). 도시재생사업의 주민만족도에 대한 창원과 청주 사례 비교 분석. 한국환경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233-250. doi:10.15301/jepa.2014.22.2.153 

  13. 손은호, & 박덕병. (2009). 농촌관광개발이 지역주민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농어촌관광연구, 16(3), 63-82. 

  14. 안정근, 정현창, 김태주, & 이재희. (2014). 대도시 도시재생계획에 따른 계획요소 및 주민만족도. 국토계획, 49(3), 211-226. doi:10.17208/jkpa.2014.06.49.3.211 

  15. 윤유식, & 박덕병. (2008). 농촌관광마을 지역주민의 사회자본이 농촌관광개발 효과 인지에 미치는 영향분석. 관광학연구, 32(2), 193-211. 

  16. 이경영, 김범석, & 정문기. (2018). 주거환경만족도가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지역애착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회보, 27(1), 89-117. 

  17. 이유리, & 이명훈(2017). 사회적경제 네트워크 효과에 따른 지역사회영향분석: 성수동 소셜벤쳐 밸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9(2), 161-188. 

  18. 이정동. (2020). 도시재생주민참여사업에 관한 실태연구: 주민참여프로젝트팀과 사업화 지원비를 중심으로. 주택도시연구, 10(2), 55-70. doi:10.26700/shuri.2020.8.10.2.55 

  19. 이채식, 박덕병, & 박은식. (2007). 농촌청소년이 지역사회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미래청소년학회지, 4(1), 19-36. doi:10.15300/jcw.2017.61.2.29 

  20. 정재경, & 이명훈. (2020). 도시재생사업 준비단계에서 의 주민만족도에 미친 영향요인 비교.분석 연구: 서울시 송정동.성내2동 희망지사업지를 대상으로. 도시설계, 21(1), 53-69. doi:10.38195/judik.2020.02.21.1.53 

  21. 진은애, & 이우종. (2018). 도시재생사업의 주민참여가 사회적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 아미초장 도시재생사업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9(5), 77-88. doi 10.6107/jkha.2018.29.5.077 

  22. 최홍규. (2008). 지방정부 공공서비스 성과에 관한 연구: 주민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22(2), 17-34. 

  23. 홍경구. (2013). 가로활성화 사업에서 주민만족도 및 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대구시 남구 앞산 맛둘레길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9(4), 189-197 

  24. Brown, R. B. (1993). Rural community satisfaction and attachment in mass consumer society. Rural Sociology, 58, 387-403. doi:org/10.1111/j.1549-0831.1993.tb00501.x 

  25. Christensen, T., & Laegreid, P. (2005). Trust in government: The relative importance of service satisfaction, political Factors, and demography. Public Performance & Management Review, 28(4), 487-511. 

  26. English, E. (2013). The effect of community participation on subjective well-being in community dwelling elders (p. 161). Illinois: Illinois Wesleyan University. http://digitalcommons.iwu.edu/psych_honproj/161 

  27. Filkins, R., Allen, J., & Cordes, S. (2000). Predicting community satisfaction among rural residents: An integrative model. Rural Sociology, 65(1), 72-86. doi:10.1111/j.1549-0831.2000.tb00343.x 

  28. Fitz, B. M., Lyon, L., & Driskell, R. (2016). Why people like where they live: Individual-and community-level contributors to community satisfac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126(3), 1209. doi:10.1007/S11205-015-0922-9 

  29. Goudy, W. (1977). Evaluations of local attributes and community satisfaction in small towns. Rural Sociology, 42(3), 371-382. 

  30. Jesser, C. J. (1967). Community satisfaction patterns in rural areas. Rural Sociology, 32, 56-69. 

  31. Jones, S. (2005). Community-based ecotourism: The significance of sosialcapital. Annals of Tourism Research, 32(2), 303-324. 

  32. Ladewig, H., & McCann, G. C. (1980). Community satisfaction: Theory and measurement. Rural Sociology, 45(1), 110-131. 

  33. Marans, R. W., & Rodgers, W. (1974). Toward an understanding of community satisfaction. In A. Hawley & V. Rock (Eds.), Metropolitan America: Papers on the state of knowledge (pp. 311-375).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34. Miller, M. K., & Crader, K. W. (1979). Rural-urban differences in two dimensions of community satisfaction. Rural Sociology, 44(3), 489-504. 

  35. Ramos, A. K., Carvajal Suarez, B. M., Leon, M., & Trinidad, N. (2017). Sense of community,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Hispanic immigrants in rural Nebraska. Kontakt, 4, 308-320. doi: 10.1016/j.kontakt.2017.09.00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