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W 교양 교육을 위한 VPBL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PBL Model for SW Liberal Educ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9 no.7, 2021년, pp.51 - 56  

김시정 (청주대학교 교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양 SW교육은 전공 SW교육과는 다르게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동일학습과정에 참여하므로 교수자가 문제 설계에 어려움이 많다. 본 논문은 교육의 문제 해결 향상을 위하여 PBL로 수업 운영에 있어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에게 전공의 특성에 맞게 문제를 설계 구현할 수 있도록 VPBL(Various Problem-based Learning) 모델을 연구하고 수업에 적용 및 결과를 분석하였다. VPBL은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제약조건을 교수자가 제시하고 학습자는 제약조건을 적용하여 전공의 특성을 반영한 문제를 설계 운영한다. 교수자는 설계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mini_class를 실시한 후 전체에 공유한다. VPBL 모델 적용 결과 전통적인 수업 방식의 비교 분석결과 전통적 교수법은 3.34점 VPBL 모델 적용은 4.42점으로 "상호작용, 학습 내용 이해, 교과 관련 지식 습득" 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VPBL의 경우 다양한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해결 과정에서 학습 범위를 확장하는 장점을 보였다. 향후 다양한 SW 교양 교과에 확대 적용 및 활용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studies VPBL(Various PBL) models, applies them to classes, and analyzes results so that students of various majors can design and implement problem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majors in order to improve problem solving in education. VPBL performs the process of designing an...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15)

  1. W. S. Sohn. (2017). A Developing a Teaching-Learning Model of Software Education for Non-major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9(2), 107-117. DOI : 10.14702/JPEE.2017.107 

  2. K. K. Kim, D. H. Koo & S. K. Han. (2020). Development a Standard Curriculum Model of Next-generation Softwar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4(4), 337-367. DOI : 10.14352/jkaie.2020.24.4.337 

  3. W. S. Kim. (2019). Exploring the direction of granular basic-software education considering the major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3(4), 329-341. DOI : 10.14352/jkaie.2019.23.4.329 

  4. J. Y. Seo. (2019). A Case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SW Education for Data Analysis Problem Solving.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0(10), 1953-1960, DOI : 10.9728/dcs.2019.20.10.1953 

  5. J. Y. Seo. (2018) A Study on Non-Majors Students' Perception of the SW Liberal Education in Univers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5, 21- 31. DOI : 10.14400/JDC.2018.16.5.021 

  6. S.J. Kim. & D. E. Cho. (2018). A Stduy on Learning Model for Effective Coding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2, 7-12 DOI : 10.15207/JKCS.2018.9.2.007 

  7. E. H. Roh, (2020). A Study on Non-Majors Student's Perception of SW Education and Contents of SW Liberal Education,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1)7, 1241-1250 DOI : 10.9728/dcs.2020.21.7.1241 

  8. M. J. Lee. (2017). Exploring the Effect of SW Programming Curriculum and Content Development Model for Non-majors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Visual Representation of SW Solutions,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18)7, 1313-1321 DOI : 10.9728/dcs.2017.18.7.1313 

  9. K. H. Joo. (2015). Study of e-PBL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Efficient Flipped Learning.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edge, 3(1), 47-53.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140473 

  10. V. Barr & C. Stephenson, (2011). Bringing computational thinking to K-12: what is Involved and what is the role of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community?," ACM Inroads, (2)1, 48-54. https://dl.acm.org/doi/abs/10.1145/1929887.1929905 

  11. K. Brennan & M. Resnick, (2012). New frameworks for studying and assessing the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Proceedings of the 2012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Vancouver,Canada, 1-25. 

  12. W. S. Kim. (2019). Analyzing the trend of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software liberal arts subjects. Korea Journal og General Education. (13)4, 161-180, 

  13. W. H. Gijselaers & H. G. Schmidt. (199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ausal Model of Problem-Based Learning. Springer. http://hdl.handle.net/1765/2776 

  14. J. E. Nah, (2017). Software Education Needs Analysis in Liberal Art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1)3, 63-89. 

  15. I. M. Kim, H. J. Kang, S. M. Yoo, H. K. Hong & E. H. Roh (2019). The first step to coding to solve problems, Learning ground, pp.5-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