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의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창의 융복합 교원 연수 교재의 개발과 실증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of Creative and Convergence Textbooks Using Creative Storytelling Techniqu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2 no.7, 2021년, pp.143 - 151  

최은선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  박남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초등컴퓨터교육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창의성에 대한 개념과 그 정의는 일찍이 여러 연구자에 의해 연구되어왔으나, 유례없던 감염병이 등장하면서 창의성은 최근 학계에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변화에 대응하여 이전에 없었던 것을 창조하는 능력이 생존의 필수 역량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창의교육에 관한 다양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현장 교사의 선제적인 창의성 신장을 목적으로 창의교육 실천적 전략 모형을 기반으로 교원 연수에 활용할 수 있는 창의성 교재를 제안한다. 제안된 교재는 창의적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하여 정보 보안 원리를 교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교재를 활용한 교원 연수에서 교재를 통한 교원의 창의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독창성, 유창성, 정교성, 종합력, 조직성 요인으로 구성된 40개의 문항으로 검사를 진행하였고, 모든 요인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므로 교재의 효과가 입증되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재는 교원들의 현장 교육 활용성을 높였다는데에 그 의의가 있으며, 본 논문이 창의 융합 교재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여 향후 관련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veral researchers in the early days have studied the concept of creativity and its definition, but with the emergence of an unprecedented infectious disease, creativity attracts more attention in the academic world these days. It is because the ability to respond to change and create something tha...

주제어

표/그림 (15)

참고문헌 (21)

  1. World Economic Forum 2018(2018). The future of jobs report 2018. http://reports.weforum.org/future-of-jobs-2018/ 

  2. K. Kim. (2006). Can We Trust Creativity Test? A Review of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TTCT). Creativity Reasearch Journal, 18(1), 3-14. 

  3. Ministry of Education. (2015). Overview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Sejong : Ministry of Education. 

  4. E. Kim, G. Kim & S. Min. (2016). The Effects of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Middle School Teachers on Students' Creativity.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3(3), 165-187. 

  5. M. Choi. (2007). The Task and Meaning of Teacher Creativit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7(1), 431-447. 

  6. J. P. Guildford. (1950).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9), 444-454. 

  7. Y. Cho & J. Jeong. (2012). An Analytical Study on Studies of Creativity Education in Korea: Focusing on Categories and Levels of Creativity.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2(2), 333-352. 

  8. Edunavi. (2020). Creative Education Story of Daegu. https://www.edunavi.kr/creative/theoryStory/list.do 

  9. J. Kwon & S. Kwon. (2014). Exploring Reality and Alternatives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System for Creative Competency Development. Proceeding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neral Education, 103-118. 

  10. J. Jeong & Y. Cho. (2012). Analysis of the Studies of Creativity Education in Korea: Focusing on Approaches Toward Creativity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4(4), 659-682. 

  11. Y. Kim. (2007). The Subject Area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the Education of Creativity. Journal of Thinking & Problem Solving, 3(2), 1-35. 

  12. C. Park. (2021). A Study on Myth Storytellin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2(1), 439-444. 

  13. H. Park. (2020). A Study on Writing Education through Storytelling Class Cases. Ratio et Oratio, 13(3), 47-75. 

  14. K. Nam & S. Lee. (2020). The Developement of Effect of Storytelling-based Invention Education Program of Young Children for the Training of Creative Convergence Tal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24(1), 119-142. 

  15. Jeju National University Creative Education Center. (2019). Creative storytelling class that is easy even by yourself, 1-9. 

  16. E. Choi & N. Park. (2021). Analysis of the Educational Effect of Creative Storytelling Textbooks Incorporating International Baccalaureat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2(1), 143-151. 

  17. S. Park. (2016). A Study on TRIZ Media Contents Develop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for Education of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2(3), 137-154. 

  18. Y. Seo, S. Jung & J. Kim. (201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 Program Art Area Subject-based STEAM for Impro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Creativity: With a Scratch Programming Languag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8(1), 69-82. 

  19. N. Park. (201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mentary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STEAM Program through Simulation Hacking Play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0(3), 273-282. 

  20. E. P. Torrance. (1974). Torrance Tests of Creativity Thinking: Norms-technical manual. MA : Lexington. 

  21. J. P. Guilford. (1959). Traits of creativity. In H. Anderson(Ed.). Creativity and its Cultivation. NY : Harpe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