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소셜 미디어 사회연결성의 팬덤 공동체 형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방탄소년단 사례를 중심으로
How does the Social Connectivity of Social Media Build a Fandom Community? An Exploratory Study on the BTS Fandom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7, 2021년, pp.1 - 12  

이재원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방탄소년단의 공식 트위터와 중국 미국 한국인 팬들의 심층 인터뷰를 토대로 스타와 팬이 소셜 미디어의 사회연결성을 토대로 글로벌 팬덤 공동체를 형성해내는 양상을 탐색했다. 스타와 팬은 소셜 미디어의 연결성을 활용해 공과 사를 넘나드는 유사-사적인 관계를 구축한다. 방탄소년단은 자신이 수상했음에도 팬클럽인 아미에게 "축하한다"라며 각 팬 개개인이 주체가 되도록 담화 방식을 구성해낸다. 팬으로서는 자신에게 사적으로 건네는 트윗처럼 여겨지게 되는데, 이는 비단 텍스트 구성 방식에만 적용되는 데 그치지 않는다. 공식적인 활동이나 기념일과 같은 공적인 행사가 없는 날에는 사적인 트윗 혹은 이전의 기억을 끌어올리며 하루도 빠지지 않고 소통하는 장치를 마련했다. 이처럼 끊이지 않고 연결되어 있다는 감각이 팬들이 서로에 대한 공동체 의식을 강화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the mechanism by which stars and fans build a global fandom community based on social connectivity of social media based on BTS' official Twitter and in-depth interviews with Chinese, American, and Korean fans. Stars and fans use the connectivity of social media to build a pseudo...

Keyword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이용자 연구라기보다는 이용자가 남긴 텍스트를 분석하는 방식이 주로 이뤄졌다. 질적 연구의 유연한 절차를 활용하여, 담론분석의 내용에 관한 보완과 확인의 차원에서 심층 인터뷰했다.
  • 2018년은 방탄소년단이 빌보드 메인 차트인 핫 200에서 1위를 차지하는 등 본격적으로 세계무대에서 1위의 기록을 내기 시작한 해였고, 12월은 그 성과의 결과인 시상식 수상 등의 이벤트가 있는 달이라서 방탄소년단의 공적 사적 콘텐츠의 구분이 보다 명확할 것이라 여겨 2018년 12월을 분석 시기로 잡았다. △게시자(멤버 중 게시자) △주제(음악, 일상 등) △발화대상(아미, 일반인, 다른 스타 등) △콘텐츠 양식(글, 동영상, 사진 등) △팬의 반응수(댓글수, 공유수, 좋아요수 등) 등을 분석하여 콘텐츠 양상을 확인했다.
  • 방탄소년단의 다국적 팬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어떠한 콘텐츠를 공유하는지 팬들의 진술로 확인했다. 20대 중국인 팬 2명, 20대 미국인 팬 1명, 20대 대만인 팬 1명, 10대 한국인 팬 4명 등 8명의 여성팬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표 1].
  • 스노우볼 샘플링(snowball sampling)으로 인터뷰 대상을 구할 수 있었다. 팬들이 트위터 이외의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공유하는 양상을 직접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터뷰는 1시간-1시간 30분가량 진행되었으며, 동의를 얻어 녹취하고 녹취록을 작성했다.
  • 본 연구는 방탄소년단의 공식 트위터 담론 분석과 중국 미국 한국인 팬들의 심층 인터뷰를 토대로 스타와 팬이 소셜 미디어의 사회연결성을 토대로 글로벌 팬덤 공동체를 구축해내는 양상을 탐색했다.
  • 연구문제 1. 스타가 소셜 미디어에서 생산, 유통하는 콘텐츠의 특성은 어떠한가.

대상 데이터

  • 구체적으로 다음의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2018 년 12월 1-31일 한 달간 방탄소년단의 공식 트위터 계정(@BTS_twt)에 방탄소년단이 업로드한 콘텐츠 90건을 분석했다. 2018년은 방탄소년단이 빌보드 메인 차트인 핫 200에서 1위를 차지하는 등 본격적으로 세계무대에서 1위의 기록을 내기 시작한 해였고, 12월은 그 성과의 결과인 시상식 수상 등의 이벤트가 있는 달이라서 방탄소년단의 공적 사적 콘텐츠의 구분이 보다 명확할 것이라 여겨 2018년 12월을 분석 시기로 잡았다.
  • 방탄소년단의 다국적 팬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어떠한 콘텐츠를 공유하는지 팬들의 진술로 확인했다. 20대 중국인 팬 2명, 20대 미국인 팬 1명, 20대 대만인 팬 1명, 10대 한국인 팬 4명 등 8명의 여성팬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했다[표 1]. 이들은 한국에 거주하는 팬들로, 미국 중국 대만 팬은 유학 중인 대학생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H. Jenkins, S. Ford, and J. Green, Spreadable Media, NYU Press, 2013. 

  2. 박수윤, "롤링스톤, 방탄소년단, 한국사회 금기 깨며 성공," 연합뉴스, 2018, 5, 30. 

  3. 윤기백, "[줌인]'K팝 새 역사' 방탄소년단 '핫100' 1위 비결," 이데일리, 2020, 9, 20. 

  4. 이은정, "방탄소년단, 기네스북 등재...美 ABC 신년맞이 쇼도 출연(종합)," 연합뉴스, 2017, 11, 22. 

  5. 김성철, This is 방탄 DNA, 독서광, 2017. 

  6. 이규탁, "방탄소년단: 새로운 세대의 새로운 소통 방식, 그리고 감정노동," 문화과학, p.93, pp.278-291, 2018. 

  7. 차민주, BTS를 철학하다, 비밀신서, 2017. 

  8. 이지영, BTS 예술혁명, 파레시아, 2018. 

  9. 김수철, 강정수, "케이팝에서의 트랜스미디어 전략에 대한 고찰," 언론정보연구, 제50권, 제1호, pp.84-120, 2013. 

  10. 한은화, "BTS는 아픈 청춘들의 '방탄막'...팬이 팬을 불러 모은다," 중앙SUNDAY, 2018, 6, 2. 

  11. 손승혜,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의 초국가적 온라인 팬덤," 미디어, 젠더 & 문화, 제25호, pp.73-111, 2013. 

  12. 주경희, 이소영, 김향미, 서정치, "사회 자본으로서의 온라인 팬덤 문화," 문화산업연구, 제13권, 제4호, pp.115-124, 2013. 

  13. J. van Dijck, The Culture of Connectivity: A Critical History of Social Media,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013. 

  14. H. Jenkins, Textual Poachers-Television Fans & Participatory Culture, Routledge, 1992. 

  15. 정민우, 이나영, "스타를 관리하는 팬덤, 팬덤을 관리하는 산업," 미디어, 젠더 & 문화, 제12호, pp.191-240, 2009. 

  16. A. Bruns, Blogs, Wikipedia, Second Life, and Beyond : From production to Produsage, Peter Lang Publishing, 2008. 

  17. N. K. Baym, Personal Connection in the Digital Age, Polity Press, 2015. 

  18. M. R. Parks, ocial Network Sites as Virtual Communities In Z. Papacharissi, (ed.)A Networked Self: Identity, Community, and Culture on Social Network Sites, pp.106-123, Routledge, 2011. 

  19. J. Fiske, The Cultural Economy of Fandom, in I. A. Lewis, (ed.), The Adoring Audience: Fan culture and popular media, Routledge, 1992. 

  20. H. Jenkins, Convergence Culture: Where Old and New Media Collide, New York University, New York, 2006. 

  21. 김수아, "소녀 이미지의 볼거리화와 소비 방식의 구성," 미디어, 젠더 & 문화, 제15호, pp.79-119, 2010. 

  22. 김수아, "남성 아이돌 스타의 남성성 재현과 성인 여성 팬덤의 소비 방식구성," 미디어, 젠더 & 문화, 제19호, pp.5-38, 2011. 

  23. 김수아, "소셜 웹 시대 팬덤 문화의 변화,"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31권, 1호, pp.45-94, 2014. 

  24. 김호영, 윤태진, "한국 대중문화의 아이돌(idol) 시스템 작동방식,"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3권, 제4호, pp.5-82, 2012. 

  25. 김수정, 김수아, "해독 패러다임을 넘어 수행 패러다임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9권, 제4호, pp.33-81, 2015. 

  26. Z. Papacharissi, A Private Sphere: Democracy in a Digital Age, Polity Press, Cambridge, 2010. 

  27. P. H. Marshall, "The promotion and the presentation of the self: Celebrity as a marker of presentational media," Celebrity Studies, Vol.1, No.1, pp.35-48, 2010. 

  28. G. Turner, Understanding Celebrity, 2014, 셀러브리티, 권오현.심성보.정수남역, 서울:이매진, 2018. 

  29. N. Fairclough, Media Discourse, 1995, 대중매체 담화분석, 이원표 역, 서울: 한국문화사, 2004. 

  30.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1: Bricoleur, 아카데미프레스, 2012. 

  31. A. Strauss and J. Cor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Thousand Oaks, 1998. 

  32. R. Ling, New tech, new tie: How mobile communication is reshaping social cohesion, The MIT Press, 2008. 

  33. 김수아, "연결행동(Connective Action)? 아이돌 팬덤의 트위터 해시태그 운동의 명암," 문화와 사회, 제35권, pp.297-336, 2017.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