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소 특정적 다큐멘터리의 촬영 방식 연구 - 다큐멘터리 <서울역>, <옥포 조선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ocumentary Filming Method for Specific Places - Focus on the documentary and - 원문보기

Trans- = 트랜스-, v.11, 2021년, pp.37 - 63  

오세현 (성균관대학교 영상학과)

초록

특정한 장소를 중요한 대상으로 하는 다큐멘터리 <서울역>과 <옥포 조선소>를 중심으로 촬영가의 입장에서 다큐멘터리 촬영의 방법론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구 서울역사'와 '대우조선해양'이라는 장소는 그 자체로 근대적 가치가 반영된 기념비적 공간이며 한국인들의 집단 기억과 무의식, 그 장소에 대한 특유의 감정이 공유되는 곳이다. '구 서울역사'는 장소 정체성이 '문화역 서울 284'라는 새로운 공간으로 변화하였고, '대우조선해양'은 지금도 활발히 기능하는 대규모 산업단지로서 산업구조의 변동에 따라 변화를 모색하는 유기체 같은 곳이다. <서울역>과 <옥포 조선소>는 장소 정체성과 관련된 공간의 이미지들과 그곳과 관련된 사람들의 모습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특정한 장소의 공간을 응시하고 그 곳에 속한 사람들의 노동과 휴식 같은 실재적인 경험의 순간들을 지속적인 기록과 반복적 배치의 구성을 통해 보여준다. 이를 통해 기록하지 않으면 휘발되는 장소 정체성과 관련된 무형의 서사를 단면을 엿보게 하고 영화를 통해 특정한 장소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이런 장소 특정적인 다큐멘터리의 촬영방식에 대한 고민과 의미를 두 편의 작품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각각의 장소 특징에 맞는 촬영 방식과 진행방향에 대한 것을 제작론에 입각하여 기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focused on documentaries and for specific places and described the documentary shooting method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a Cinematographer. 'Old Seoul Station' and 'DSME'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Co., Ltd.) are monumental spaces that reflect the value of Korea modern...

주제어

표/그림 (15)

참고문헌 (17)

  1. 알라이다 아스만, 「기억의 공간 - 문화적 기억의 형식과 변천」, 변학수, 채연숙 옮김, 서울: 그린비, 2014. 

  2. 이-푸 투안, 「공간과 장소」, 구동회, 심승희 옮김, 서울: 대윤, 2011. 

  3. 이-푸 투안, 「토포필리아」, 이옥진 옮김, 서울: 에코리브르, 2011. 

  4.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김덕현, 김현주, 심승희 옮김, 서울: 논형, 2005. 

  5. 에리카 피셔-리히테, 「수행성의 미학」, 김정숙 옮김, 서울: 문학과지성사, 2017. 

  6. 조정래, 「공간으로 사회 읽기-개념, 쟁점과 대안」, 서울: 한울, 2013. 

  7. Relph, Edward, Place and Placelessness, London: Pion, 1976. 

  8. Tuan, Yi-Fu, Space and Place -The Perspective of Experience,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77. 

  9. 남다은, 「최근 한국 독립영화의 어떤 경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독립영화」 36호, 2008, pp.120-125 

  10. 문원립, 「다큐멘터리란 무엇인가」, 「영화연구」, (43), 2010.3, pp.115-140 

  11. 문원립, 「왜 다큐멘터리인가 -다큐멘터리의 특별함에 관하여」, 「영화연구」, (62), 2014.12, pp.109-132 

  12. 맹수진,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의 주제 및 양식적 다양화에 대한 고찰」, 「씨네포럼」, 18권, 2014.05, pp.255-285 

  13. 배윤호, 「근대공간의 장소성과 기억에 관한 연구 , , 를 중심으로」,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T)」, 1권 No.2, 2015, pp.1-19 

  14. 이도훈, 「한국 독립영화의 '공간적 선회' - 2008년 이후 한국 독립영화의 공간성 연구」, 「문학과영상」, 14(4), 2013, pp.1059-1093 

  15. 이도훈, 「공간 재생산과 정서상실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가 동시대의 공간 재생산을 기록하는 방식」, 「영상예술연구」, 24권, 2014, pp.43-75 

  16. 이승민,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공간성 연구 - 2000년대 후반 이후의 새로운 경향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학위논문(박사), 2015 

  17. 이승민,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새로운 경향 -'공간 이미지'의 등장」, 「독립영화」, 45권, 2015, pp.52-64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