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흡 기능 향상을 위한 들숨근 강화 훈련 방법 : 위팔운동을 동반한 가로막 호흡과 파워브리드 호흡의 효과 비교
In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Training Method to Improve Respiratory Function :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Diaphragmatic Breathing with Upper Arm Exercise and Power-Breathe Breathing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9 no.3, 2021년, pp.203 - 211  

이건철 (경남정보대학교 물리치료과) ,  추연기 (구포성심병원 재활치료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It was to compare changes in respiratory function (pulmonary function, inspiratory function) after four weeks of in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training (diaphragmatic breathing with upper arm exercise, Power-Breathe breathing) for 36 healthy people. Methods : Subjects were randomly ass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미국흉부학회(American thoracic society)에서 권장하는 프로그램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설계하였으며 본 훈련을 제외한 준비 훈련 및 마무리 훈련은 A group과 동일하게 실시되었다. 마찬가지로 1일 총 훈련 시간은 휴식을 포함하여 약 45분간 실시되었으며 4주 동안 주 5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36명의 정상인들에게 4주간에 걸친 들숨근강화훈련으로 한 그룹에는 위팔운동과 함께 가로막 호흡훈련(A group)을 실시하고 다른 그룹에는 파워 브리드 장비를 사용한 호흡훈련(B group)을 실시한 후 호흡기능 (폐 기능, 들숨 기능)에 미치는 변화 효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 실험에 참여할 대상자 총 36명을 2가지의 들숨근 강화훈련 방법을 실시할 각각의 군으로 나누기 위해 무작위로 16명씩 배정하였으며 훈련 전 폐 기능 (노력성 폐활량, 1초간 노력성 날숨량) 및 들숨 기능 (최대 들숨량, 최대 들숨유속, 최대 들숨압력)을 측정하였고 4주간의 훈련 후 효과 검증을 위해 같은 절차를 통해 결과를 측정하였다.

데이터처리

  • 그룹 간(A군, B군)의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중재 전 호흡 기능(폐 기능, 들숨 기능) 측정값에 대한 동질성을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중재 후 그룹 간의 호흡 기능의 변화를 더욱 정확히 비교하기 위해서 중재 전 측정값을 공 변량으로 처리하는 공분산 분석(Analysis of Covariance, ANCOVA)을 실시하였다.
  • 그룹 간(A군, B군)의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중재 전 호흡 기능(폐 기능, 들숨 기능) 측정값에 대한 동질성을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중재 후 그룹 간의 호흡 기능의 변화를 더욱 정확히 비교하기 위해서 중재 전 측정값을 공 변량으로 처리하는 공분산 분석(Analysis of Covariance, ANCOVA)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은 α=.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eaumont M, Mialon P, Ber-Moy CL, et al(2015). Inspiratory muscle training during pulmonary rehabilitation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randomized trial. Chron Respir Dis, 12(4), 305-312. https://doi.org/10.1177/1479972315594625. 

  2. Britto RR, Rezende NR, Marinho KC, et al(2011). Inspiratory muscular training in chronic stroke survivo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92(2), 184-190. https://doi.org/10.1016/j.apmr.2010.09.029. 

  3. Enright SJ, Unnithan VB(2011). Effect of inspiratory muscle training intensities on pulmonary function and work capacity in people who are health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hys Ther, 91(6), 894-905. https://doi.org/10.2522/ptj.20090413. 

  4. Faul F, Erdfelder E, Lang AG, et al(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 Res Methods, 39(2), 175-191. https://doi.org/10.3758/bf03193146. 

  5. Gosselink R, De Vos J, Van Den Heuvel SP, et al(2011). Impact of inspiratory muscle training in patients with COPD: what is the evidence?. Eur Respir J, 37(2), 416-425. https://doi.org/10.1183/09031936.00031810. 

  6. Han JW, Kim YM(2018). Effect of breathing exercises combined with dynamic upper extremity exercises on the pulmonary function of young adults. J Back Musculoskelet Rehabil, 31(2), 405-409. https://doi.org/10.3233/BMR-170823. 

  7. Hodges PW, Eriksson AM, Shirley D, et al(2005). Intra-abdominal pressure increases stiffness of the lumbar spine. J Biomech, 38(9), 1873-1880. https://doi.org/10.1016/j.jbiomech.2004.08.016. 

  8. Khedr EM, El Shinawy O, Khed, T, et al(2000). Assessment of corticodiaphragmatic pathway and pulmonary function in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Eur J Neurol, 7(3), 323-330. https://doi.org/10.1046/j.1468-1331.2000.00104.x. 

  9. Kim HS(2020). Effects of respiratory reeducation exercise using a pressure biofeedback unit on the quality of life of persons with stroke. Phys Ther Rehabil Sci, 9(4), 238-243. https://doi.org/10.14474/ptrs.2020.9.4.238. 

  10. Kim K, Park R, Bae S(2005). Effect of diaphragmatic breathing exercise on activation of trunk muscle of patients with low back pain. J Kor Phys Ther, 17(3), 311-327. 

  11. Kim K, Park RJ, Bae SS(2005). Diaphragmatic breathing exercise; Maximal Voluntary Contraction. J Kor Soc Phys Ther, 17(3), 311-327. 

  12. Kisner C, Colby LA(2017).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5th ed, Philadelphia, Fa Davis. 

  13. Klusiewicz A, Borkowski L, Zdanowicz R, et al(2008). The inspiratory muscle training in elite rowers. J Sports Med Phys Fitness, 48(3), 279-284. 

  14. Lee D, Lee Y(2020). The effect of passive lung expansion technique and active respiration enhancement technique on lung function in healthy adults. J Kor Soc Int Med, 8(4), 155-161. https://doi.org/10.15268/ksim.2020.8.4.155. 

  15. Lee SY, Han JT(2020). The effect of resistance inspiratory muscle training on respiratory function in stroke. J Kor Phys Ther Sci, 27(3), 1-11. https://doi.org/10.26862/jkpts.2020.12.27.3.1. 

  16. Lee Y, Oh M, Park J, et al(2016). Compare the effects of inspiratory and ex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training of normal adult respiratory function. J Kor Soc Int Med, 4(1), 41-47. https://doi.org/10.15268/ksim.2016.4.1.041. 

  17. Montes AM, Baptista J, Crasto C, et al(2016). Abdominal muscle activity during breathing with and without inspiratory and expiratory loads in healthy subjects. J Electromyogr Kinesiol, 30(1), 143-150. https://doi.org/10.1016/j.jelekin.2016.07.002. 

  18. Pollock RD, Rafferty GF, Moxham J, et al(2013). Respiratory muscle strength and training in stroke and neurology: a systematic review. Int J Stroke, 8(2), 124-130. https://doi.org/10.1111/j.1747-4949.2012.00811.x. 

  19. Romer LM, McConnell AK, Jones DA(2002). Effects of inspiratory muscle training on time-trial performance in trained cyclists. J Sports Sci, 20(7), 547-590. https://doi.org/10.1080/026404102760000053. 

  20. Roth EJ, Stenson KW, Powley S, et al(2010). Expiratory muscle training in spinal cord injur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91(6), 857-861. https://doi.org/10.1016/j.apmr.2010.02.012. 

  21. Sutbeyaz ST, Koseoglu F, Inan L, et al(2010). Respiratory muscle training improves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exercise tolerance in subjects with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4(3), 240-250. https://doi.org/10.1177/0269215509358932. 

  22. Tarnanen SP, Siekkinen KM, Hakkinen AH, et al(2012). Core muscle activation during dynamic upper limb exercises in women. J Strength Cond Res, 26(12), 3217-3224. https://doi.org/10.1519/JSC.0b013e318248ad54. 

  23. Xiao Y, Luo M, Wang J, et al(2012). Inspiratory muscle training for the recovery of function after stroke.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2(5), Printed Online. https://doi.org/10.1002/14651858.CD009360.pub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