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웹 검색 기반으로 한 제주 오름의 콘셉트 분류 시스템
Concept Classification System of Jeju Oreum based on Web Search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9 no.8, 2021년, pp.235 - 240  

안진현 (제주대학교 지속성장데이터사이언스학부) ,  변소영 (제주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우서정 (제주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안예지 (제주대학교 경영정보학과) ,  강정운 (제주대학교 지속성장데이터사이언스학부) ,  김민철 (제주대학교 지속성장데이터사이언스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름의 방문객 수가 증가하고 있고 관광의 트렌드는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오름 방문의 동기도 과거의 휴식과 쾌락의 차원에서 경험과 체험을 중점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춰 사람들은 오름에 오를 때 단순히 운동만이 아닌 결혼, 가족여행 등과 같은 동기를 선정하여 방문한다. 하지만 관광객의 오름 방문 동기에 맞는 오름을 찾는 것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웹문서 검색 엔진을 통해 오름과 콘셉트에 대한 연관 수치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오름의 콘셉트를 자동으로 분류하고 홈페이지에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원하는 날짜를 선정해서 과거 혹은 선택한 기간의 오름과 콘셉트에 대한 연관 수치 확인이 가능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제주의 자연유산인 오름의 방문을 활성화하여 제주 관광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향후 제주 오름만이 아닌 해수욕장이나 바다 등으로 본 시스템을 확장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the number of visitors to Oreum is increasing and the trend of tourism is changing rapidly. The motivation for visiting Oreum is also changing from relaxation and pleasure to experiences. In line with this change, people visit the mountain by selecting motivation such as marriage and fami...

Keyword

표/그림 (3)

참고문헌 (19)

  1. P. H. Oh, & B. Y. Hwang, (2016). Real-time Spatial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Sentiment Analysis of Twitter,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21(3), 15-28. 

  2. S. K. Kyoung, & J. W. Kim, (2019). A study on Smart-Phone Addiction in teenager: focused on Comparison Smart-Phone Overdependence, game addiction, SNS Addiction, Studies on Life and Culture, 52, 179-200. 

  3. P. H. Oh & B. Y. Hwang, (2016). Real-time Spatial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Sentiment Analysis of Twitter,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21(3), 15-28. 

  4. N. H. Jung, (2016). Local government tourism apps are the catalyst for leading regional-oriented smart tourism: current status of tourism app services and improvement plan for each local government nationwide. Local Information Magazine, 99, 56-61. 

  5. J. H. Yoon, (2017). Korean tourism application survives 'Great Flood Era', hallyu story, 43, 3-5. 

  6. S. K Cho, & K. H. Choi, (2016). A Study on the Effect of Natural Theme Tourist's Motivation on Tourism Satisfaction, Reuse Intention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Destination Image, Journal of Mice & Tourism Research , 16(3), 131-150 

  7. T. Y. Kim, (2016).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reum Comprehensive Plan, Jeju Research Institute 

  8. Y. N. Kim, (2021). Management Plan of Jeju Oreum through an Analysis on Wellness Travel Motivations, Journal of Mice & Tourism Research ,21(1), 55-75. 

  9. M. C. Kim & K. W. Choi, (2019). On Visiotors' Recognitions of Yearly Breaks of Jeju Oreum, Journal of Tourism & Industry Research, 39(1), 37-44 

  10. J. H. Kang, (2003). Hallasan Mountain, Oreum kingdom, and ecological repository, Dolbegae Pub. 

  11. C. M. Oh, (1998). Jeju Island Oreum and Village Name, Jeju National University Pub. 

  12. H. J. Jong, (2016). TheAppearance theAesthetic Way of Seeing Oreum and the Making of Oreum 'Landscape'*- focused on Rereading ≪OreumNagne≫ written by Kim Jong-Cheol -, Journal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28(4), .1-14. 

  13. J. S. Ki, Y. M Jeon, C. K. Ryu & S. S. Kim, (2016). A significantion and meaning of Geomunoreum as a representative geosite of global Geopark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5) 763-774. 

  14. T. Y. Kim, (2016).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reum Comprehensive Plan, Jeju Research Institute. 

  15. H. Y. Yoon, & D. H. Jang, (2020). A Study of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in the Types of Oreum Using the GIS-based Likelihood Ratio - Focusing on Mid-mountain Area of Jeju Island -. Jorunal of Photo Geography ( Sajin Chiri ), 30(3), 38-54. 

  16. T. Y. Kim, (2016).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reum Comprehensive Plan, Jeju Research Institute. 

  17.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8). Using Social Media Big Data 2019 Domestic Travel Trend Analysis. 

  18. S. H. Oh & E. J. KIM, (2015). A Study on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Tourism Destination Choice Attributes: Focused on domestic tourists in Jeju. Journal of Tourism & Industry Research, 34, 201-218. 

  19. M. C. Kim, Chatbot Service for providing the information of Jeju Oreum, Journal of Tourism & Industry Research, 39(2), 5-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