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핵심기본간호술을 통한 첫 간호의미 경험
The Experience of Frist Nursing Meaning among Fundamental Nursing Skill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7 no.3, 2021년, pp.1 - 6  

김미화 (문경대학교 간호학과) ,  이지현 (문경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임상실습전의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핵심기본간호술을 통해 간호의미를 파악하기 위한 질적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현재 M대학교 간호학과 재학 중인 3학년을 대상으로 임상실습경험이 없고, 핵심기본간호술기수업을 후의 면담을 통해 분석되었다. K시 일개 대학의 3학년 재학생으로 핵심기본간호술을 처음 실시한 학생을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3개의 범주와 19개의 주제모음으로 도출 되었다. 3개의 범주에는 1. 도움의 의미 2. 두려움의 극복, 3.간호술기습득 기회로 이었으며, 결론은 임상실습전 첫 핵심기본간호술은 서로에 대한 도움으로 간호의 진정한 의미를 알아가는 시간이었으며, 반복되는 연습으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고, 새롭게 알게 된 핵심간호술기의 습득은 자신감을 가지는 경험하게 되는 효과적인 과정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대학생의 본질적인 간호의 철학을 가지는데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으며, 핵심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 향상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nursing through core basic nursing for nursing students before clinical practic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through interviews after taking the core basic nursing skills class for 3rd graders who are currently enrolled in the Depa...

주제어

표/그림 (1)

참고문헌 (22)

  1. Kang.S. Y. The social adjustment process of nursing students in the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2016). Vol. 1, pp,9-19. 

  2. Lee, J. H., Kim, S. S., Yeo, K. S., Cho, S. J., & Kim, H. L. (2009). Experiences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on high fidelity simulation education: A focus group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2), 183-193. 

  3. A. Lofmark, and K. Wikbald. Facilitating and obstruction factors for development of learning in clinical practice (2001): A student perspectiv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4(1).43-50. 

  4. Park, J. H.(2016), The effects of clinical convergence self-directedness practice learning program on self-directedness and competency in fundamental nursing skills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Convergence Society, 7(4) 51-58. 

  5. B. J. Caroline, S. B. Sally, and I. V. Fiona.(2011) Empowerment and being valued: A Phenomenological study of nursing student experience of clinical practice. Nursing Education Today. 31(1), 369-378 

  6. Kim, I. S., Jang, Y. K., Park, S. H., & Song, S. H. (201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3), 337-345. 

  7.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4). Accreditation assessment standards for education of Korea (the course of the nursing bachelor's degree).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8. Kown, I. S., Seo, Y. M. (2012). Nursing students' needs for clinical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25-33. 

  9. Song, Y, A,& Son, Y, J,(2013). Effects of Simulation-based Practice Education for Core Skill of Maternity Nursing. Korean Parent Child Health. 16(1),37-44. 

  10. Park..G. J.(2019).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Education on Clinical competenc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1. Yeom, Y. R. & Choi, K. B.(2016). Effects of the Reeducation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on Clinical Stres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Confidence in Nursing Skills of Senior Nursing Students.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3),283-293. 

  12. Noe, R. A. (2005). Employee training & development (3rd ed.). Burr Ridge, IL: Irwin McGraw-Hill. 

  13. Colaizzi, F. U.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cal views it, In R. S. Valle and M. King (Eds.), Existential Phenomeno 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4.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tage. 

  15. Kim, Y, J,(2012). The Lived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for Essential Nursing Core Skills. The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13(2), 105-116. 

  16. Yang J, H (2005). The Experience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among Nursing The Academy of Qualitative Research6(2), 51-64 

  17. Chung, S, E, (2017). Learning Experiences of Essentials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among Nursing Students: Focused on Lab Self-training. The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18(1), 2015-113. 

  18. Song H, S, & Lim S, H,(2019)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First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5),553-543. 

  19. Lee, S. H. M.& Kim, H. &Sun. G. S.(2007) The clinical competence and related and related factors of the nursing students: focused on the subjects who studied problem-based learn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5). 753-760. 

  20. Choi, S, H. & Byun, E, K,(2020). The Lived Experiences of Psychiatric Nursing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The Journal of the Convertgence on Culture Technology(JCCT). (6)3, 21-30. 

  21. Hong, S. S. & Hong, J. A. (2013) Spirituality and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ntents. 13(6), 361-369. 

  22. Kim, J, A. (2017). Nursing Student's Thinking about Employment.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luture Technology.(4)3, 83-9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