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단거리 달리기선수의 고강도 훈련 시 중탄산염 섭취가 혈액변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Sodium Bicarbonate Intake on Blood Variables During High Intensity Exercise of Sprinter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19 no.4, 2021년, pp.65 - 74  

김인동 (창덕여자고등학교) ,  김재중 (신라호텔 생활레저사업부) ,  박정범 (대림대학교 스포츠지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단거리 달리기선수의 고강도 훈련 시 중탄산염 섭취가 혈액변인에 미치는 영향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S시 남·여 단거리달리기 선수로 등록된 운동경력 3년 이상의 엘리트 선수 30명을 대상으로 통제집단, 훈련집단, 중탄산염 투여와 훈련집단의 세 집단으로 설정 후, 고강도 운동프로그램은 통제집단과 중탄산염 투여와 훈련집단을 대상으로 80-90%HRmax 운동강도를 2-3주마다 증가시키며, 총 8주간, 주 5일, 1회 90분 실시하였다. 중탄산염 섭취는 중탄산염 투여와 훈련집단을 대상으로 체중 1kg당 300mg을 고강도 운동프로그램 시작 90분 전 1일 1회 8주간 섭취하였다. 연구결과, 단거리달리기 선수의 고강도 훈련 시 중탄산염의 섭취가 혈액변인에 미치는 효과는 중탄산염 투여와 훈련집단에서 수소이온농도의 상승과 젖산의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며, Ca2+, Na+, K+은 훈련집단과 중탄산염 투여와 훈련집단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Mg2+은 세 집단 모두에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고강도 훈련 시 중탄산염의 섭취가 혈액변인의 변화 중 수소이온농도의 증가와 젖산의 감소에 효과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강도 운동 시 중탄산염의 섭취가 운동능력의 개선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icarbonate intake on blood variables during high-intensity training of sprinters. 30 male/female elites with more than 3 years of experience that are registered to S city as a sprinter was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control group, train...

주제어

참고문헌 (22)

  1. G. Petrakos, J. B. Morin, B. Egan. (2016). Resisted sled sprint training to improve sprint performance: a systematic review. Sports Med, 46(3), 381-400. DOI : 10.1007/s40279-015-0422-8 

  2. M. C. Rumpf, R. G. Lockie, J. B. Cronin & F. Jalilvand. (2016). Effect of different sprint training methods on sprint performance over various distances: a brief review.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30(6), 1767-1785. DOI : 10.1519/JSC.0000000000001245 

  3. T. O. Haugen, S. Seiler, O. Sandbakk & E. Tonnessen. (2019). The Training and Development of Elite Sprint Performance: an Integration of Scientific and Best Practice Literature. Sports Medicine-Open, 5(1), 1-16. DOI : 10.1186/s40798-019-0221-0 

  4. J. Slawinski, N. Termoz, G. Rabita, G. Guilhem, S. Dorel, J. B. Morin & P. Samozino. (2017). How 100-m event analyses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world-class men's and women's sprint performance. Scandinavian Journal of Medicine & Science in Sports, 27(1), 45-54. DOI : 10.1111/sms.12627 

  5. V. Panoutsakopoulos, A. S. Theodorou, D. Katsavelis, P. Roxanas, G. Paradisis & P. Argeitaki. (2016). Gender differences in triple jump phase ratios and arm swing motion of international level athletes. Acta Gymnica, 46(4), 174-183. DOI : 10.5507/ag.2016.016 

  6. W. J. Lee, G. D. Park & K. S. Choi. (2001). The changes of blood pressure, heart rate and blood lactic acidconcentration in short distance athletes as 100m, 200m, 300m and 400m separate and sectional running.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0(1), 265-274. 

  7. Y. E. Choi, H. L. Kim, J. S. Yang & K. S. Lee. (1992). Influence on running record of 1500m and heart rate, blood pH, HCO 3 lactate concentration by NaHCO 3 administration. The Research Institute of Physical Education & Sports Science, 11(1), 101-113. 

  8. J. P. Sherman, M. Van Montfoort, C. E. Dieren, L. Van & W. G. Hopkins. (2003). Effects of ingestion of sodium bicarbonate, citrate, lactate, and chloride on sprint performance.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35(5), Supplement 1:S269. 

  9. M. Price, P. Moss & R. Stuart. (2003). Effects of Sodium Bicarbonate Ingestion on Prolonged Intermittent Exercise.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35(8), 1303-1308. DOI : 10.1249/01.MSS.0000079067.46555.3C. 

  10. T. W. Jeon, S. G. Cho, Y. O. An & T. H. Kim. (1992). The Effect of Sodium Bicarbonate and Sodium Citrate Loading on Acid-base Balance and Anaerobic Endurance. Journal of the research institute of physical education, 13(1), 33-43. 

  11. K. N. Han. (1999). The effect of sodium bicarbonate ingestion on performance VO 2 max, anaerobic threshol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12. D. M. Knag, Y. S. Lee, S. Park & M. S. Ha. (2008). The effects of sodium bicarbonate ingestion on metabolic variables and exercise duration at treadmill running.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17(4), 1287-1297. 

  13. J. Lindermam & T. D. Fahey. (1991). Sodium Bicarbonate Ingestion and Exercise Performance: An update. Sporta Medicine, 11(2), 71-77. DOI : 10.2165/00007256-199111020-00001. 

  14. S. W. Youn & Y. S. Na. (1999). The effects of Deep Water Running Exercise on the Healthy Related Fitness and Aerobic Capacity. Sungkyunkwan University The Research Institute for Physical Fitness & Sports Science, 4, 39-48. 

  15. K. S. Lee, H. L. Kim, J. S. Yang, S. J. Oh & Y. E. Choi. (1992). The effect of sodium bicarbonate adminstration and exercise on the changes of cell membrane permeability. The Research Institute of Physical Education & Sports Science, 11(1), 115-122. 

  16. W. K. Kim, Y. H. Yoon & H. R. Sung. (1999). Study on Changes of Blood Lactate, LDH and CPK in Taekwondo Competition.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17(1), 124-131. 

  17. L. McNaughton, B. Dalton & G. Palmer. (1999). Sodium bicarbonate can be uses as an ergogenic aid in high-intersity.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and Occupational Physioligy, 80(1), 64-69. DOI : 10.1007/s004210050559. 

  18. D. S. Han. (2004). The effects of sodium bicarbonate ingestion on anaerobic power and blood variable with elite high school Taekwondo athletic. Doctoral dissertation, Ph. D. Dissertation, Suwon University. 

  19. S. J. Kim, H. M. Park, S. R. Shin, S. H. Jeon, J. S. Kim & H. S. Kang. (2010). Effect of Acute High-intensive Swimming Exercise on Blood Electrolytes and Metabolites.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27(3), 262-267. 

  20. H. K. Lee & K. H. Park. (2000). The effects of aerobic dance exercise training on plasma minerals concentration in college women. Exercise science, 9(2), 309-317. 

  21. B. M. Jung, C. B. Ahn, H. R. Kim, S. S. Lim & Y. S. Cha. (1997). Exercise-training affects on serum and urinary calcium, magnesium and zinc levels in some college students. Yosu National University Symposium, 11(2), 69-76. 

  22. S. Y. Kang. (2005). Acid-base fluids and electroytes made ridiculously simple. Daehan Medical Book. 35-4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