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자본이 유데모니아에 미치는 영향: 인권의식을 매개로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perceived by adolescents on Eudaimonia: The Mediating Effects of human rights consciousness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22 no.3, 2021년, pp.55 - 67  

김은혜 (이화사회과학원) ,  손한결 (이화여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ights conscious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eudaimonia perceived by adolesc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9,021 adolescents, with data taken from the 6th year(2018) panel su...

주제어

참고문헌 (53)

  1. 구정화. (2016).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연구보고 16-R11-1).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 김영신. (2010). 친인권적 교실 문화가 청소년의 인권태도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3. 김영신, 박가나. (2014). 친인권적 교실문화 경험이 중학생의 인권태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교육연구, 21(3), 85-100. 

  4. 김자영. (2011). 청소년 인권의식의 형성 및 유형화에 관한 연구. 법교육연구, 6(2), 57-83. 

  5. 김진석. (2015). 한국 아동, 청소년 인권실태 연구 V(연구보고 15-R11-10).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6. 문선화, 류기형, 김경호, 이경남, 홍봉선. (2000). 아동의 삶의 질: 과거, 현재, 미래. 한국아동복지학, 9, 9-48. 

  7. 박병금, 유은선. (2011). 청소년의 인권의식과 자아존중감. 청소년학연구, 18(8), 89-116. 

  8. 박봉규. (2007). 부모의 양육태도와 고등학생 인권의식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충북: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9. 박봉규. (2011). 인권교육의 방향 탐색: 부모의 양육태도와 고등학생 인권의식 관계분석. 미국헌법연구, 22(3), 91-126. 

  10. 박희봉, 이희창. (2005).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 분석. 한국정부학회, 17(3), 709-729. 

  11. 성은모, 김균희. (2013).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과 환경특성 간의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4(4), 177-202. 

  12. 신미정, 이양수. (2018).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역정책연구, 29(2), 185-207. 

  13. 심수진. (2016). 한국사회에서 주관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통계연구, 21(3), 25-47. 

  14. 이민주, 정익중, 양옥경, 배은경. (2018). 아동청소년의 인권관련 경험이 학교생활적응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42, 263-286. 

  15. 이진향, 오미옥. (2014).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자치행정학회, 28(3), 313-330. 

  16. 전준현. (2011). 사회적지지와 학교환경이 청소년의 인권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지역을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서울: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17. 정순둘, 성민현. (2012). 영령집단별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 관계비교. 보건사회연구, 32(4), 249-272. 

  18. 정윤미, 강현아, 강현주. (2021). 지역아동센터의 아동권리존중이 아동의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25(1), 31-47. 

  19. 주경희. (2015). 사회 자본이 윤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15(4), 119-125. 

  20. 천정웅, 박선희. (2016). 청소년의 사회자본이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14(4), 151-161. 

  21. 최순삼. (2003). 청소년의 인권존중을 위한 교사의 역할[석사학위논문]. 전북: 전북대학교 대학원. 

  22. 통계청. (2020). 2020 청소년 통계. 대전: 통계청. 

  23. 한국교육개발원. (2006). 국가발전을 위한 사회적 자본 형성 전략연구.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2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사회통학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 연구: 사회통합과 국민행복을 중심으로.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5.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청소년의 참여권 인식수준 결정요인.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6. Bentler PM.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2), 238. 

  27. Blanchflower DG, Oswald AJ. (2004). Well-being over time in Britain and the USA. Journal of public economics, 88(7-8), 1359-1386. 

  28. Bourdieu P. (1986). The Forms of Capital. In J. Richardson (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pp. 241-258). New York, NY: Greenwood. 

  29. Browne MW, Cudeck R. (1992).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21(2), 230-258. 

  30. Coleman JS. (1990).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Cambridge, UK: Harvard University Press. 

  31. Cramm JM, Van Dijk HM, Nieboer AP. (2013). The importance of neighborhood social cohension and social capital for the well being of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The Gerontologist, 53(1), 142-152. 

  32. Deci EL. Ryan RM. (2008). Hedonia, eudaimonia, and well-being: An introduction.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9, 1-11. 

  33. Diener E, Seligman ME. (2002). Very happy people. Psychological science, 13(1), 81-84. 

  34. Durkheim E. (1960). De la division du travail social. 7th ed. Paris: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35. Heinzelman SJ. (2018). Eudaimonia in the contemporary science of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self-determination, and meaning in life. In E. Diener, S. Orishi & L. Tay (Eds.), Handbook of well-being. Salt Lake City, UT: DEF Publishers. 

  36. Helmstadter GC. (1964). Principles of psychological measurement. New York, NY: Appleton-Century-Crofts. 

  37. Horney K. (1950). Neurosis and human growth: The struggle toward self-realization. New York, NY: Norton. 

  38. Kazdin AE. (1993). Adolescent mental health: Prevention and treatment program. American Psychologist, 48(2), 127-141. 

  39. Kline RB. (201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ublications. 

  40. Kosher H, Ben-Arieh A. (2017). What children think about their rights and their well-being: A cross-national comparison.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87(3), 256-273. 

  41. Kosher H, Jiang S, Ben-Arieh A, Huebner ES. (2014). Advances in children's rights and children's well-being measurement: Implications for school psychologist. School Psychology Quarterly, 29(1), 7-20. 

  42. Maslow A. (1968).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New York, NY: Van Norstrand. 

  43. Myers RH, Myers RH. (1990). Classical and modern regression with applications (Vol. 2, p. 488). Belmont, CA: Duxbury press. 

  44. OECD. (2013). OECD guidelines on measuring subjective well-being. Paris: OECD Publishing. 

  45. Putnam RD. (2000).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New York, NY: Simon and schuster. 

  46. Ryan RM, Deci EL. (2001).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141-166. 

  47. Ryff C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i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7-1081. 

  48. Streiner DL. (2003). Being inconsistent about consistency: When coefficient alpha does and doesn't matter.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80(3), 217-222. 

  49. Tavakol M, Dennick R. (2011). Making sense of Cronbach's alpha.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 53-55. 

  50. Torsheim T, Wold B. (2001). School-related stress, school support, and somatic complaints: A general population study.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6, 293-303. 

  51. Wang S. (2014). Measuring and explaining subjective well-being in Korea (No. 2014-02). KDI Research Monograph. 

  52. Waterman AS. (1993). Two conceptions of happiness: Contrasts of personal expressiveness (eudaimonia) and hedonic enjoy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4, 678-691. 

  53. Zimmer-Gembeck MJ, Skinner EA. (2008). Adolescents coping with stress: Development and diversity. The Prevention Researcher, 15(4), 3-7.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