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신체이미지와 건강증진생활양식: 그릿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Health Promotion Lifestyle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22 no.3, 2021년, pp.29 - 39  

김은아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  하혜진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health promotion lifestyle for nursing students. It was implemented to present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o establish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of nursing...

주제어

참고문헌 (35)

  1. 고진희, 구미옥. (2020). 신규간호사의 그릿과 재직의도의 관계에서 임상수행능력의 매개효과에 대한 융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4), 369-380. 

  2. 김경혜, 김경덕. (2008). 간호대학생의 신체상 만족도, 스트레스 지각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김천과학대 논문집, 34, 21-29. 

  3. 김동희. (2012).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이행. 글로벌건강과 간호, 2(1), 26-33. 

  4. 김미강. (2001). 대학생의 식행동이 식이섭취 실태 및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5. 김영희, 정미숙, 이정애. (2002).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 16(2), 285-303. 

  6. 김정숙, 강숙. (2020).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신체상 및 행복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4), 421-430. 

  7. 김효신. (2016). 바디이미지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이 건강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8. 김희선, 오의금, 형희경, 조은실. (2008). 대학생의 건강증진생활양식의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9(3), 506-520. 

  9. 류호경, 윤진숙. (2000). 청년기 여성의 체형과 체중조절 경험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과 건강상태에 대한 비교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5(3), 444-451. 

  10. 박소영, 구상미. (2020). 간호대학생의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융합정보논문지, 10(1), 158-168. 

  11. 박주영, 우정희, 김주은. (2018).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6(1), 165-175. 

  12. 박정이, 김남이. (2020). 간호사의 그릿, 건강지각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8(12), 325-333. 

  13. 백경화, 조미옥. (2020). 간호대학생의 그릿과 회복탄력성이 임상실습 적응에 미치는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8(6), 363-371. 

  14. 송경자, 이미숙. (2009).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지각적, 태도적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7(2), 97-110. 

  15. 신정훈. (2016). 대학생들의 신체활동수주과 비만도 분류에 따른 건강생활습관 차이검증. 한국스포츠학회지, 14(1), 325-337. 

  16. 안효자, 윤경순, 이기현. (2020). 가족 중 흡연자가 있는 대학생의 그릿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4(3), 217-229. 

  17. 이승주, 박주영. (2018). 간호대학생의 그릿과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2), 269-276. 

  18. 이양구. (2018). 체육활동 참여 대학생들의 자기관리와 건강증진 생활양식과의 관계. 한국융합학회, 9(1), 161-169. 

  19. 이인숙, 양윤미. (2015). 여대생의 신체상, 외모관리 행동 및 심리사회적 건강과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2), 301-312. 

  20. 이정림. (2016). 통제소재, 마인드셋, 그릿,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청소년학연구, 23(11), 245-264. 

  21. 이채경, 박혜선. (2017). 여대생의 주관적 체형인식 정도에 따른 건강행태 및 건강증진실천 비교연구. 한국사회안전학회지, 12(2), 115-130 

  22. 임은진, 하준호, 이계정. (2017). 대학생의 신체 이미지가 다이어트행동 및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3(1), 501-511. 

  23. 장혜선. (2014). 신체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이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서울: 서경대학교. 

  24. 조명곤. (2007). 대학생의 생활체육 참여 정도와 건강증진행위, 건강통제행위, 삶의 질의 관계[박사학위논문]. 서울: 세종대학교. 

  25. 최윤숙, 김미영. (2020). 간호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7), 109-119. 

  26. 한영인, 김정미. (2018).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대학생활적응이 취업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3), 399-409. 

  27. 황광원 (2017). 그릿(Grit)의 인성교육 적용 방안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28. 허은주. (2020).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행동에 따른 그릿, 건강증진행위 차이 융합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2), 57-65. 

  29. Baron RM, Kenny D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30. Cash TF, Pruzinsky, T. (2002). Body Image: A handbook of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New York: The Guilford Press. 

  31. Duckworth AL, Peterson C, Matthews MD, Kelly DR. (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6), 1087-1101. 

  32. Green LW, Raeburn J. (1990). Contemporary developments in health promotion: definitions and challenges. In N. Bracht(Ed.). Health promotion at the community level (pp. 29-44.). Newbury Park, CA:Sage. 

  33. Lee RL, Locker AJ. (2005).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in Hong Kong. Public Health Nursing, 22(3), 209-220. 

  34. Rojas JP, Reser JA, Usher EL, Toland MD. (2012).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academic grit scale. Lexington: University of Kentucky. 

  35. Walker NS, Sechrist KR, Pender NJ. (1987).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s. Nursing Research, 36(2), 76-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