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주류광고, 주류 판촉 마케팅이 성인 음주폐해에 미치는 영향: 음주동기와 음주수준의 이중매개효과
The Effect of Alcohol Advertising and Alcohol Sale Promotion Marketing Exposures on Alcohol-related Harms in Adult : Dual Mediating Effects of Drinking Motivation and Drinking Level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8, 2021년, pp.559 - 570  

박가영 (한국건강증진개발원) ,  이희종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초록

음주를 유발하는 사회환경요인 중 하나인 주류광고와 마케팅 규모는 매년 확대되고 있으며, 음주폐해 또한 그 심각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주류광고, 주류 판촉마케팅 노출 경험이 음주동기, 음주수준을 매개로 음주폐해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주류광고와 주류 판촉마케팅 노출 경험은 여성보다 남성이 더 높았으며, 음주동기, 음주수준, 음주폐해 또한 남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주류광고와 주류 판촉마케팅 노출 경험은 음주폐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며, 경험이 많을수록 음주폐해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주동기와 음주수준은 주류광고와 주류 판촉마케팅의 노출 경험이 음주폐해에 끼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음주폐해예방을 위해 음주 폐해를 발생시키는 사회 환경인 주류광고와 주류 판촉마케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음주폐해예방을 위해 개인의 인식 개선 접근과 함께 환경적·제도적 차원에서의 개입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져야함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drinking motivation and drinking level between alcohol advertising, alcohol sale promotion marketing exposures, and alcohol-related harms. The survey has been conducted on 2,000 adult men and women aged 20 to 70 years, recruited by an online survey. ...

Keyword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류광고와 주류판촉마케팅이 성인의 음주폐해에 끼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음주동기와 음주수준의 역할을 파악하여 향후 알코올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중요한 환경요인인 주류광고와 주류판촉마케팅이 실질적인 음주 소비자인 성인의 음주 폐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음주동기, 음주수준의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가설 1
  • 가설 2
  • 가설 3
  • 가설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보건복지부, 국민건강통계, 2019. 

  2. 대검찰청, 범죄분석통계, 2020. 

  3.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통계, 2020. 

  4. 윤계형, 조용준, 조영기, 김남철, 최철호, 이상경, 음주운전단속과 처벌기준에 관한 입법평가, 입법평가 연구보고서, 한국법제연구, 2010. 

  5. Nielsen Adex 시스템, 2016~2020년 매체별 주류광고 연간빈도, 각년도 

  6. K. Fleming, E. Thorson, and C. K. Atkin, "Alcohol advertising exposure and perceptions: Links with alcohol expectancies and intentions to drink or drinking in underage youth and young adults,"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Vol.9, pp.3-29, 2004. 

  7. R. Gordon, G. Hastings, and C. Moodie, "Alcohol marketing and young people's drinking: What the evidence base suggests for policy," Journal of Public Affairs, Vol.10, pp.88-101, 2010. 

  8. J. W. Grube and E. Waiters, "Alcohol in the me dia : Content and effects on drinking beliefs and behaviors among youth," Adolescent Medicine Clinic, Vol.16, pp.327-343, 2005. 

  9. S. C. Jones and C. A. Magee, "Exposure to alcohol advertising and alcohol consumption among Australian adolescents," Alcohol and Alcoholism, Vol.46, No.5, pp.630-637, 2011. 

  10. G. K. Kim, C. G. Chang, J. M. Kim, S. M. Lee, and H. K. Jeong, A study of drinking promoting alcohol advertisement and environment, Seoul, Korea: Korea Public Health Association, 2008. 

  11. P. L. Ellickson, R. L. Collins, K. Hambarsoomians, and D. F. Mc Caffrey, "Does alcohol advertising promote adolescent drinking Results from a longitudinal assessment," Addiction, Vol.100, pp.235-246, 2005. 

  12. 김광기, 제갈정, 권용미, 박민수, "지역사회의 환경적 특성이 개인의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 수준 분석,"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29, No.5, pp.103-113, 2012. 

  13. 김광기, 장승옥, 제갈정, "대학교의 환경적 특성이 음주폐해에 미친 영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23, No.3, pp.65-83, 2006. 

  14. 이재경, 정슬기, 김지선, "주류광고가 비음주경험 청소년의 음주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Vol.40, No.4, pp.289-318, 2012. 

  15. 전찬화, 김재은, 김성이, "주류광고가 청소년들의 음주의식과 음주의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청소년학연구, Vol.3, pp.1-20, 1996. 

  16. C. K. Atkin and M. Block, Content and effects of alcohol advertising., Report no. PB-82-123142. Washington, DC: Bureau of Tobacco, Alcohol, and Firearms, 1981. 

  17. T. N. Robinson, H. L. Chen, and J. D. Killen, "Television and music video exposure and risk of adolescent alcohol use," Pediatrics, Vol.102, No.5, pp.e54-e54, 1998. 

  18. H. Saffer and D. Dave, "Alcohol advertising and alcohol consumption by adolescents," Health Economics, Vol.15, pp.617-637, 2006. 

  19. L. B. Snyder, F. F. Milici, M. Slater, H. Sun, Y. Stri zhakova, "Effects of alcohol advertising exposure on drinking among youth," Arch Pediatr Adolesc Med, Vol.160, pp.18-24, 2006. 

  20. P. Anderson, A. de Bruijn, K. Angus, R. Gordon, and G. Hastings, "Impact of alcohol advertising and media exposure on adolescent alcohol use: a systematic review of longitudinal studies," Alcohol Alcohol, Vol.44, pp.29-43, 2009. 

  21. K. Stautz, K. G. Brown, S. E. King, I. Shemilt, and T. M. Marteau, "Imm ediate effects of alcohol marketing communicati ons and media portrayals on consumption and co gni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experimental studies," BMC Public Health, Vol.16, pp.465, 2016. 

  22. R. Koordeman, D. J. Anschutz, Engels RCME, "Exposure to alcohol commercials in movie theaters affects actual alcohol consumption in young adult high weekly drinkers: an experimental study," The American Journal on Addictions, Vol.20, No.3, pp.285-291, 2009. 

  23. 정영호, 고숙자, 지성우, 차미란, "주류광고 및 마케팅 규제분석 연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24. 김희주, 위험음주자 구분에 따른 주류광고의 유형별 효과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5. A. De Bruijn, J. Tanghe, F. Beccaria, M. Bujalski, C. Celata, and J. Gosselt et al., "Report on the impact of European alcohol marketing exposure on youth alcohol expectancies and youth drinking, Alcohol Measures for Public Health Research Alliance (AMPHORA0, Deliverable 2.3 and 3.7, Work Package 4). Nijmegen," European Centre for Monitoring Alcohol Marketing, 2012. 

  26. F. Harris, R. Gordon, A. M. MacKintosh, G. Hastings, "Consumer socialization and the role of branding in hazardous adolescent drinking," Psychol Market, Vol.32, pp.1175-1190, 2015. 

  27. A. C. McClure, S. E. Tanski, Z. Li, K. Jackson, M. Morgenstern, Z. Li, and J. D. Sargent, "Internet alcohol marketing and underage alcohol use," Pediatrics, Vol.137, No.e20152149, 2016. 

  28. M. Morgenstern, B. Isensee, J. D. Sargent, R. Hane winkel, "Attitudes as mediators of the longitud inal association between alcohol advertising and youth drinking," Arch Pediatr Adolesc Med, Vol.165, No.610, p.16, 2011. 

  29. D. Jernigan, J. Noel, J. Landon, N. Thornton, and T. Lobstein, "Alcohol marketing and youth alcohol consumption: a systematic review of longitudinal studies published since 2008," Addiction, Vol.112, No.S1 pp.7-20, 2017. 

  30. Sandra C. Jones and Kylie M. Smith, "The effect of point of sale promotions on the alcohol purcha sing behaviour of young people in metropolitan, regional and rural Australia," Journal of Youth Studies, Vol.14, pp.885-900, 2011. 

  31. S. C. Jones, L. Barrie, P. Gregory, S. Allsop, T. Chikr itzhs, "The influence of price-related point-of- sale promotions on bottle shop purchases of yo ung adults," Drug Alcohol Rev, Vol.34, No.2, pp.170-176, 2015. 

  32. L. B. Snyder, F. F. Milici, M. Slater, H. Sun, and Y. Strizhakova, "Effects of Alcohol Advertising Exposure on Drinking Among Youth," Arch Pe diatr Adolesc Med., Vol.160, No.1, pp.18-24, 2006. 

  33. Shannon Q. Hurtz, Lisa henriksen, Yun wang, Ellen C. Feighery, and Stephen P. Fortman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ALCOHOL ADVERTISING IN STORES, OWNI NG ALCOHOL PROMOTIONAL ITEMS, AND ADOLESCENT ALCOHOL USEm" Alcohol and Alcoholism, Vol.42, No.2, pp.143-149, 2007. 

  34. Sandra C. Jones and Christopher A. Magee, "Exposur e to Alcohol Advertising and Alcohol Consumpt ion among Australian Adolescentsm," Alcohol and Alcoholism, Vol.46, No.5, pp.630-637, 2011 

  35. 신행우, "음주동기와 음주문제 관계," 한국심리학회지:문화 및 사회문제, Vol.5, No.1, pp.93-109, 1999. 

  36. M. L. Cooper, "Motivations for alcohol use amo ng adoles cent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our-factor model," Psychological Assessment, Vol.6, No.2, pp.117-128, 1994. 

  37. 홍다솜, 양난미, "대학생의 음주동기와 음주정도의 관계에서 예방행동전략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일반, Vol.32, No.4, pp.931-948, 2013. 

  38. 신원우, 유재영, "음주동기 유형이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학회지, Vol.35, pp.363-387, 2007. 

  39. 임선영, 조현섭, 이영호, "여성 알코올중독자의 중독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Vol.24, No.4, pp.869-886, 2005. 

  40. D. J. DeWit, E. M. Adlaf, D. R. Offord, and A. C. Og borne, "Age at first alcohol use: a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alcohol disorder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57, No.5, pp.745-750, 2000. 

  41. D. L. Thombs, K. H. Beck, and C. A. Mahoney, "Effects of social context and gender on drinking patterns of young adults," Journal of Counseling, Vol.40, No.1, pp.115-119, 1993. 

  42. 김민혜, 조병희, 손슬기, 양준용, 손애리, "문제음주자의 사회문화적 특성에 따른 성별차이," 알코올과 건강행동연구, 제19권, 제1호, pp.17-32, 2018. 

  43. W. M. Cox and E. A. Klinger, "Motivational model of alcohol use,"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97, pp.168-180, 1988. 

  44. 신행우, 한성열, "음주동기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5권, 제1호, pp.77-92, 1999. 

  45. 정진, 문은수, 박제민, 이병대, 이영민, 정희정, 최윤미, 정영인, "성별과 연령에 따른 음주행동 관련 요인," 생물치료정신의학, Vol.20, No.1, pp.54-62, 2014. 

  46. WHO, Global strategy to reduce the harmful use of alcohol, 2010. 

  47. 국민건강증진법 시행령, https://www.law.go.kr/법령/국민건강증진법시행령 

  48. 김년희, "만성질환을 가진 독거노인의 우울이 음주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 Vol.22, No.2, pp.699-706, 2021. 

  49. 양승희, 윤지원, "대학생의 우울, 불안, 금주 자기효능감이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 보건복지계열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9, pp.364-373, 2015.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