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통계적 소양 수준 반영 정도
Levels of Statistical Literacy Derived from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 원문보기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37 no.4, 2021년, pp.481 - 497  

최선미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  노지화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mportance of statistics in everyday life and work place has led to calls for an increased attention to statistical literacy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both internationally and domestically. While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researchers propose perspectives towards and models of statistica...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39)

  1. 강옥기.권언근.황혜정.전대열.노지화.우희정.윤상혁.이형주.유승연.윤혜미.홍창섭.정경호(2018). 중학교 수학1. (주)동아출판. 

  2. 강현영(2012). 통계적 소양의 교육적 의미 고찰, 한국수학사학회지, 25(4)호, 121-137. 

  3. 고호경.김용환.김인수.이봉주.한준철.최수영.김정현.김화영.정시훈.조준모.최화식.최화정(2018). 중학교 수학1. (주)교학사. 

  4.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8]. 

  5. 구나영.이경화(2021). 중학교 수학 교사의 교육과정 자료 사용 분석. 학습자중심 교과교육학회지, 21(12), 595-616. 

  6. 김선희.강현영(2020). 외국의 중등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통계 영역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학교수학, 22(3), 631-650. 

  7. 김원경.조민식.방금성.배수경.지은정.임석훈.김동화.강순자.김윤희(2018). 중학교 수학1. (주)비상교육 

  8. 김정란.김응환(2017). 미국의 통계소양교육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교사교육 방향의 탐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0(2), 163-186. 

  9. 김화경.나귀수.이미라.이애경.권영기(2018). 중학교 수학1. (주)좋은책신사고. 

  10. 류희찬.선우하식.신보미.정동승.장영훈.설정수.박슬히(2018). 중학교 수학1. (주)천재교육. 

  11. 박교식.이종희.김진환.남진영.김남희.임재훈.유연주.권석일.김선희.김재원.박소현(2018). 중학교 수학1. (주)동아출판. 

  12. 박유진(2010). 교과서 통계 단원에 제시된 그래프 문항 및 중학생의 통계 그래프 이해 능력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혜준(2018). 통계적 탐구과정을 중심으로 중학교 3학년 통계단원 문항분석.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서예지(2017). 통계적 탐구 문항에 기초한 2009 개정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통계 문항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양수영.이은영.장미라.장미선.정주연.주미.최수연.황지연(2018). 중학교 수학1. (주)신사고. 

  16. 우정호(2000). 통계교육의 개선방향 탐색. 학교수학, 2(1), 1-27 

  17. 이준열.최부림.김동재.이정례.김상미.원유미.강해기.김성철.강순구(2018), 중학교 수학1. (주)천재교육. 

  18. 장경윤.강현영.김동원.안재만.이동환.박진형.정경희.홍은지.김민정.박정선.지영명.구나영(2018). 중학교 수학1. (주)지학사. 

  19. 주미경.강은주.강소영.이현구.강석주.오화평.권상순(2018). 중학교 수학1. (주)금성출판사. 

  20. 탁병주(2017). 통계적 소양 교육을 위한 예비교사의 통계 교수 지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탁병주.이경화(2000). 우리나라 통계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2000년 이후 발행된 국내 통계교육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7(2), 269-289. 

  22.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7).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5 결과 심층 분석 보고서. 

  23. 황선욱.강병개.윤갑진.이광연.장홍월.정종식.조성율(2018). 중학교 수학1. 미래엔. 

  24. Arnold, P. & Pfannkuch, M.(2020). On being data detectives: Developing novice statisticians using the statistical enquiry cycle. Set: Research Information for Teachers, (1). 

  25. Bruner, J. S. (1964). The course of cognitive growth. American Psychologist, 19(1), 1-15 

  26. Cobb, T. (1997). Is there any measurable learning from hands-on concordancing? System, 25(3), 301-315. 

  27. Curcio, F.(1987). Comprehension of mathematical relationship expressed in graph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8 (5), 382-393. 

  28. Freudental, H.(1973). Mathematics As An Educational Task. D. Reidel Publishing Company. 

  29. Friel, S., Bright, G., & Curcio, F.(1997). Understand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graphs. Mathematics Teaching in the Middle School, 3 (3), 224-227. 

  30. Friel, S., Curcio, F., & Bright, G. (2001). Making sense of graphs: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comprehension and instructional implication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2 (2), 124-158. 

  31. Gal, I.(2002). Adult statistical literacy: Meanings, components, responsibilities.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70 (1), 1-25. 

  32. Garfield, J. & Gal, I. (1999). Teaching and assessing statistical reasoning. In L. Stiff (Ed.), Developing Mathematical Reasoning in Grades K-12 (pp. 207-220).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3. Graham, A. (2006). Developing Thinking in Statistics. London: Paul Chapman Publishing. 

  34. NCTM(2000). 학교 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공역(2007). 경문사. 

  35. Wallman, K. K. (1993). Enhancing statistical literacy: Enriching our society.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s Association, 88(421), 1-8. 

  36. Watson, J. & Callingham, R. (2003). Statistical Literacy: A complex hierarchical construct. Statistical Education Research Journal, 2(2), 3-46. 

  37. Watson, J. M. (2002). Discussion: Statistical literacy before adulthood.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70(1), 26-30. 

  38. Watson, J. M. (2000). Statistics in context. The Mathematics Teacher, 93(1), 54-58. 

  39. Watson, J. M. (1997). Assessing statistical thinking using the media. In I. Gal & J. B. Garfield (Eds.), The Assessment Challenge in Statistics Education (pp. 107-121). Amsterdam, Holland: IOS Pres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