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DGs 연계 교육에서 예비교사들의 탄소 발자국 인식
Carbon Footprint Awareness on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SDGs of the Pre-service Teachers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4 no.2, 2021년, pp.146 - 158  

김윤지 (대구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범대학에 개설된 교양 강의를 통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연계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실시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SDGs 13번 목표인 '기후변화 대응'과 연계하여 설계된 수업에서 42명의 예비교사들이 표출한 탄소 발자국(carbon footprint)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일상생활에서 탄소를 배출하는 실천 정도에 대한 체크리스트인 탄소 다이어트 다이어리를 작성하고, 탄소 발자국 그리기 활동을 통해 자신이 배출하는 탄소의 출처와 비율을 자유롭게 표현하였다. 전기 사용, 대중교통 이용, 쓰레기 처리 항목에서는 긍정적인 실천 정도를 나타내었으나, 수도 사용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방향으로 분석되었다. 탄소 발자국을 2-3가지 항목으로 표현한 예비교사들이 과반수에 달하여 자신의 일상생활에서 탄소 배출 상황을 인식하는데 한계를 나타내었다. 예비교사들은 학교현장에서 지구의 환경문제를 교육하는 주체가 될 것이며, 예비교사들의 탄소 소양(carbon literacy)은 학생들에게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17가지 SDGs와 연계되는 다양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교육현장에 적용되어 지속가능한 지구환경교육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re to introduce an example of ESD in connection with SDGs through liberal arts courses opened at the College of Education. We analyzed the awareness of the carbon footprint expressed by 42 preservice teachers in a class designed in connection with SDGs 13 goal, 'climate action'. The pre-service ...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25)

  1. 교육부(2020).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pp. 1-48. 

  2. 문병찬, 정진우, 경재복, 고영구, 윤석태, 김해경, 오강호(2004). 예비교사들의 탄소 순환에 대한 지구시스템의 관련개념과 시스템 사고의 적용.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5(8), 684-696. 

  3. 박경숙, 이현동, 이효녕, 전재돈(2019). 시스템 사고 평가 루브릭을 활용한 예비교사들의 지구 시스템 내 탄소 순환에 대한 시스템 사고 수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5), 599-611. 

  4. 여인호, 김준범, 강석교, 김진범(2012). 국내 고등학생들의 탄소발자국 산정과 비교에 관한 연구. 환경교육, 25(1), 15-24. 

  5. 오소라, 이상원(2013). 탄소발자국 줄이기 기후변화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 24(1), 151-174. 

  6. 와다 다케시, 다우라 겐로, 히라오카 순이치, 고요타 요우스케(2016). 함께 모여 기후 변화를 말하다. 북센스, 자연의벗연구소, pp. 1-240. 

  7. 윤혜경, 김미정, Boyes, E., Stanisstreet, M., & Skamp, K.(2011). 지구 온난화 완화를 위한 행동에 대한 한국과 싱가포르 학생들의 신념과 행동 의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181-197. 

  8. 이두연, 오은숙, 김형범, 정진우(2013). 고등학생들의 지구시스템 관점에 기반한 탄소 순환 개념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7(1), 157-169. 

  9. 이상균(2017). 과학과 Eco-STEAM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환경소양과 STEAM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1), 62-75. 

  10. 이상원, 이영준, 김종우(2013). 탄소 발자국 개념에 기반을 둔 초등학생 중학년용 저탄소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실과교육연구, 19(2), 195-222. 

  11. 이지은, 한신, 박태윤(2017). 고등학생들의 공간지각능력에 따른 탄소 순환 개념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3), 308-322. 

  12. 임희준, 노석구, 송현순, 장인실, 최일선(2020). 지속가능 발전목표(SDGs)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이해, 인식, 실천.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0(3), 259-270. 

  13. 정철, 김윤지(2021). 미래의 지구 환경에 대한 비과학 전공 대학생들의 인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4(1), 21-32. 

  14. 정철, 임수정, 김윤지, 박종근, 이규철, 조성화, 남영숙, 이상원, 신지혜, 주형선, 이재영(2018). 지속가능한 사회와 환경. 시그마프레스, 환경부, pp. 1-361. 

  15. 최성원, 김학영, 김준(2015). 탄소발자국 개념의 발전 과정과 농림 부문에서의 활용 전망. 한국농림기상학회지, 17(4), 358-383. 

  16. Dosa, K., & Russ, R. S. (2020). Making sense of carbon footprints: How carbon literacy and quantitative literacy affects information gathering and decision-making.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26(3), 421-453. 

  17. Edstrand, E. (2016). Making the invisible visible: How students make use of carbon footprint calculator in environmental education. Learning, Media & Technology, 41(2), 416-436. 

  18.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Synthesis report. In Core Writing Team, R. K. Pachauri, & A. Reisinger (Ed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II and I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p. 104). IPCC, Geneva, Switzerland. 

  19. IPCC (2013). Climate change 2013: The physical science basis. In T. F. Stocker, D. Qin, G. K. Plattner, M. Tignor, S. K. Allen, J. Boschung, A. Nauels, Y. Xiz, V. Bex, & P. M. Midgley (Ed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20. IPCC (2018). Global warming of 1.5℃. In V. Masson-Delmotte, P. Zhai, H. O. Portner, D. Roberts, J. Skea, P. R. Shukla, A. Pirani, W. Moufouma-Okia, C. Pean, R. Pidcock, S. Connors, J. B. R. Matthews, Y. Chen, X. Zhou, M. I. Gomis, E. Lonnoy, T. Maycock, M. Tignor, & T. Waterfield (Eds.), An IPCC special report on the impacts of global warming of 1.5℃ above pre-industrial levels and related global greenhouse gas emission pathways, in the context of strengthening the global response to the threat of climate chang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fforts to eradicate poverty (p. 32).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21. Lin, S. (2016). Reducing students' carbon footprints using personal carbon footprint management system based on environmental behavioural theory and persuasive technology.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22(5), 658-682. 

  22. Treptow, R. S. (2010). Carbon footprint calculations: An application of chemical principle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87(2), 168-171. 

  23.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 https://data.kma.go.kr 

  24. 서울시 에코마일리지. https://ecomileage.seoul.go.kr 

  25. 지속가능발전포털. http://ncsd.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