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래의 지구 환경에 대한 비과학 전공 대학생들의 인식
The Perceptions of Non-scientific College Students about the Future Global Environment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4 no.1, 2021년, pp.21 - 32  

정철 (대구대학교) ,  김윤지 (대구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일반 시민으로 성장할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미래의 지구 환경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비과학 전공의 대학생들은 자연물과 인공물의 복합적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는 비율이 매우 낮았다. 또한 현재에서 미래로 지구 환경의 변화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다. 대학생들이 상상하는 미래의 지구 환경의 이미지에서 자연과 함께 생존하는 인간이 그려질 수 있도록 환경 인식이 달라져야 한다. 인간이 자연과 공존할 수 있는 방향으로 더불어 공존하는 방법을 찾아 실천하는 환경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비과학 전공의 대학생들은 미래의 지구 환경을 인간이 수정하는 공간으로 내면화 하는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인간 행동에 의해 지구 환경이 수정될 수 있다는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며 대학에서 제공해야 하는 환경 교육의 방향을 제시한다. 환경에 대한 교육이나 환경으로부터의 교육이 아닌 환경을 위한 교육으로 대학의 환경 교육 방향이 전환되어야 한다. 대학 교육과정에서 전공 여부에 차별 없이 모든 대학생들에게 지구 환경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우리의 아들딸들이 지구에서 지속적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지속 가능한 지구 환경 교육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cognition for future global environment was studied targeting the university students who will be grown as general public composing our society in this study. The rate recognizing as the complex space of natural objects and artifacts is very low for non-science majored university students. Als...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27)

  1. 교육부(2018).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pp. 1-48. 

  2. 권영락, 이재영, 김찬국, 안재정, 서은정, 남윤희, 박은화, 최소영, 안유민(2016). 2015개정 환경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주요 내용. 환경교육, 29(4), 363-383. 

  3. 김경철, 김은혜(2019).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39(2), 125-151. 

  4. 김명균, 정철(2007). 환경 그리기를 통한 중학생의 환경 인식 조사. 한국환경과학회지, 16(4), 79-485. 

  5. 김윤지(2014). 환경 변화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2), 151-158. 

  6. 김윤지(2015). 지구 환경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정신모형.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1), 25-34. 

  7. 김윤지(2018). 지구 환경에 대한 비과학 전공 대학생들의 정신모형. 교양교육연구, 12(4), 225-243. 

  8. 김윤지(2019). 빅 히스토리의 관점에서 지구 환경변화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교원교육, 35(1), 185-203. 

  9. 남상덕, 손연아(2016). 환경부 환경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중등학생들의 환경태도 변화. 환경교육, 29(4), 443-460. 

  10. 박재문, 이수진, 문성배(2014). 환경문제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 대한화학회지, 58(6), 590-599. 

  11. 박준호, 정철(2017). 환경 그리기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환경인식과 미래 환경에 대한 인식. 환경교육, 30(2), 223-236. 

  12. 서태열(2003). 지구촌 시대의 '환경을 위한 교육'의 개념적 모형의 재정립.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1(1), 1-12. 

  13. 성정희, 정수현(2017). 그린캠퍼스 활동에 나타난 내면화 수준 분석과 대학환경교육의 과제. 환경교육, 30(1), 103-200. 

  14. 신지혜(2016). 대학 환경교육 교수자의 강의 경험공유에 대한 질적 연구. 환경교육, 29(2), 153-172. 

  15. 신지혜(2017). 대학 환경교육에서 매체비평의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5(3), 139-156. 

  16. 위수민, 이승철, 김윤지, 김현정(2008). 그리기 활동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 분석. 교원교육, 24(2), 171-187. 

  17. 이미옥, 최돈형(2005). 환경과 교육과정의 국제 비교 연구. 교원교육, 21(1), 222-241. 

  18. 이상균(2017). 과학과 Eco-STEAM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환경소양과 STEAM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1), 62-75. 

  19. 이향연, 장지영, 황승아, 최경희(2013). 환경교사의 지도 여부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에너지-온실가스 환경소양 차이 분석. 환경교육, 26(4), 505-514. 

  20. 정진우, 이동영, 김윤지, 정철(2009). 환경에 대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인식. 교원교육, 25(2), 375-389. 

  21. 정철, 임수정, 김윤지, 박종근, 이규철, 조성화, 남영숙, 이상원, 신지혜, 주형선, 이재영(2018). 지속가능한 사회와 환경. 시그마프레스, 환경부, pp. 1-361. 

  22. 주은정(2016).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지리 스케일에 따른 환경문제 및 미래환경에 대한 인식 비교. 환경교육, 29(2), 220-232. 

  23. 홍준의(2017). 전공에 따른 예비교사의 환경 인식과 기후 변화 및 생물 다양성에 대한 인식 비교. 에너지기후변화교육, 7(1), 39-55. 

  24. Ben-Zvi Assaraf, O., & Orion, N. (2005). Development of system thinking skills in the context of earth system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5), 518-560. 

  25. Fralick, B., Kearn, J., Thompson, S., & Lyons, J. (2009). How middle schoolers draw engineers and scientis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Technology, 18, 60-73. 

  26. Okur-Berberoglu, E. (2017). Outdoor experiential environmental education: An adult-centred intervention for the affective domain. International Electronic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7(1), 34-58. 

  27. Shepardson, D. P., Wee, B., Priddy, M., & Harbor, J. (2007). Students' mental models of the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2), 327-3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