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진로장애와 우울을 매개로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Career Barriers and Depression among Out-of-school Youth 원문보기

한국심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aching psychology / 코칭, v.5 no.1, 2021년, pp.85 - 102  

김지민 (명지전문대학 청소년교육복지과) ,  이은경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진로장애와 우울을 매개로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진로장애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교 밖 청소년패널 5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대상자 318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진로장애, 우울, 스마트폰중독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은 진로장애와 우울을 거쳐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이중매개가 확인되었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진로장애와 우울 각각 매개를 확인하였으나 사회적 낙인감은 스마트폰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중독을 예방하고 청소년 코칭에서의 개입 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out-of-school adolescents' social stigma on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career disorders and depression. In the process that social stigma of adolescents outside of school affects smart-phone 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barriers ...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56)

  1. 고남주, 구자경 (2015). 중학생의 가족스트레스와 게임중독의 관계에서 진로태도성숙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3), 289-302. 

  2. 고은정, 김병년 (2020).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7(12), 105-131. 

  3. 고은정, 김병년 (2020).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진로장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31(4), 33-63. 

  4.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2020). 2020 교육통계 분석자료집 - 유.초.중등교육통계편. 통계자료 SM 2020. 

  5. 권선중, 엄나래 (2016).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 개편 최종보고서. 2016년 정보문화포럼 정책연구보고서. 한국정보화진흥원. 

  6. 김교헌 (2007). 중독, 그 미궁을 헤쳐나가기.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677-693. 

  7. 김동일, 이윤희, 정여주, 강민철 (2013). 정신건강 문제와 인터넷 중독: 다층메타분석을 통한 효과크기 검증. 상담학연구, 14(1), 285-303 

  8. 김민선 (2019). 학교 밖 학생들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과 삶의 만족도, 우울의 관계: 진로장벽과 진로낙관성을 매개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1), 1029-1056. 

  9. 김범구, 조아미 (2013). 잠재계층분석(LCA)을 이용한 학교 밖 청소년의 유형과 특성. 한국청소년연구, 24(3), 5-31. 

  10. 김병년, 김상용 (2020).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과 충동성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21, 11(6), 3397-3410. 

  11. 김소영 (2016).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과 우울, 공격성의 종단적 관계 검증: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 적용. 중등교육연구, 64(2), 315-336. 

  12. 김소현 (2010). 다층성장모형(HLM)을 통한 청소년의 비공식적 낙인 변화 추정.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7, 7-31. 

  13. 김영희 (2015). 검정고시를 선택한 일반 고등학교 학교 밖 청소년의 적응경험: 학교 밖에서 진로를 결정하고 고군분투하는 청소년. 청소년복지연구. 17(2), 131-157. 

  14. 김정숙 (2003). 휴대전화 과다사용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우울, 충동성.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김종운, 정보현(2012). 학습코칭프로그램이 방과후아카데미 고학년 아동의 자기효능감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효과. 수산해양교육연구, 24(2), 146-165 

  16. 김태량, 김경화 (2020).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11(6), 607-619. 

  17. 김태량, 최용민 (2016).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32(3), 185-210. 

  18. 김하나, 김혜연(2015). 진로코칭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 제주도 지역아동센터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웰니스학회지, 10(1), 159-169 

  19. 노지혜, 문성호 (2019).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 특성 및 진로성숙 예측요인, 청소년문화포럼, 58, 61-85 

  20. 박봉선 2019.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62, 81-106. 

  21. 박지원, 문성호 (2020).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 청소년문화포럼, 63, 5-30. 

  22. 손은령 (2001).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상담학연구, 2(2),251-262. 

  23. 손은령 (2002). 대학생의 개인적 변인과 지각된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15(2), 1-14. 

  24. 양미진, 허자영, 채민정, 김경민 (2010). 고등학생이 경험하는 진로장벽 연구: 사이버상담 게시판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1(4), 45-73. 

  25. 양은륜, 정문경 (2020).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인문사회21, 11(6), 1781-1796. 

  26. 오경화, 탁진국 (2020). 그릿향상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태도성숙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4(1), 21-46. 

  27. 오은경 (2014). 학교 밖 청소년 유형별 사회적 지지, 진로준비행동, 사회적 배제 및 우울간의 차이. 청소년시설환경, 12(2), 65-80. 

  28. 육성필, 남옥남, 박지란, 박성혜, 김은영 (2017).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 중단 과정 탐색 및 학업 중단 인식 연구- 강북 지역 학교 밖 청소년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0), 535-561. 

  29. 윤예인. 김주일 (2019). 청소년의 우울과 스마트폰 의존의 종단적 관계: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분석. 학교사회복지, 48, 219-241. 

  30. 윤철경, 서정아, 유성렬, 조아미 (2014). 학교 밖 청소년의 특성과 중단 후 경로: 학교 밖 청소년 패널조사 I 데이터 분석 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1. 윤철경, 유성렬, 김신영, 임지연, 엄아람, 최은희 (2014). 학교 밖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I.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2. 윤철경, 최인재, 김강호, 유성렬, 김태화, 손희정 (2015).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2, 1-484. 

  33. 윤철경, 최인재, 김승경, 김성은 (2018). 2018 년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연구보고 2018-19). 서울: 여성가족부. 

  34. 이상준(2018). 스마트폰 중독 청소년의 정신건강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20(3), 47-67. 

  35. 이연희, 탁진국(2017). 진로코칭프로그램이 잠재적 학업중단 위기청소년의 진로결정수준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1(2), 69-87. 

  36. 이인옥, 이은옥 (2006). 낙인(stigma) 개념분석. 근관절건강학회지, 13(1), 53-66. 

  37. 이종남, 한상미, 김가희 (2020).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7(4), 97-117. 

  38. 이하나, 양승목 (2018).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영향 변인의 관계에 대한 학령 및 성별 비교 분석. 한국언론학보, 62(5), 175-214. 

  39. 이현주, 정현희 (2020)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의 종단적 변화와 영향요인 탐색. 한국교육문제연구, 38(4), 115-136 

  40. 이화명, 김영미 (2016).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3(9), 127-153. 

  41. 이화명, 김영미 (2017).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 자기개념명확성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9), 549-562. 

  42. 최현아 (2017). 학교 밖 청소년 진로설정 및 사회적응 프로그램 연구: 꿈드림 프로그램 중심으로.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최홍일, 정윤미 (2020). 학교 밖 청소년들이 체감하는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60(4), 31-58. 

  44. 한국지능정보화진흥원 (2021).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5.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7). 후기청소년 지원정책과 상담복지적 접근. 2017년 청소년포럼 발표자료집. 

  46. 한상규 (2019).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상담심리교육복지, 6(1), 7-22. 

  47. 황경혜, 유양숙, 조옥희 (2012). 대학생의 스마트폰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0), 365-375. 

  48. 황선미, 신현숙 (2007). 고등학생과 진로적응훈련 중인 중퇴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 진로장애 및 진로결정의 관계모형 검증. 상담학연구, 8(1), 229-245. 

  49. 황소희, 이영애. (2018). 중학생의 우울증상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21(3), 343-363. 

  50. Alhassan, A. A., Alqadhib, E. M., Taha, N. W. Alahmari, R. A., Salam, M., and Almutairi, A. F.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addiction to smartphone usage and depression among adults: a cross sectional study. BMC Psychiatry 18, 1-8.(DOI:https://doi.org/10.1186/s12888-018-1745-4) 

  51. Corrigan, P. (2004). How Stigma Interferes With Mental Health Care. American Psychologist 59(7): 614-625.(DOI:https://doi.org/10.1037/0003-066X.59.7.614) 

  52. Hargrove (1995). 마스터풀코칭. 박재원 외 역 (2006). 서울: 김앤김북스. 

  53. Mohamed, S. M. and Mostafa, M. H. (2020). Impa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among nursing students. Nursing Open 19;7(5), 1346-1353. (DOI: https://doi.org/10.1002/nop2.506) 

  5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13 

  55. Hayes, A.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The Guilford Press, New York. 

  56. Ybarra, M. L., Alexander, C., & Mitchell, K. J. (2005). Depressive symptomatology, youth Internet use, and online interactions: A national survey.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36, 9-1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