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품종 토종닭 생산을 위한 교배조합 검정시험
Crossbreeding Combination Test for the Production of New Synthetic Korean Native Commercial Chickens 원문보기

한국가금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v.48 no.3, 2021년, pp.101 - 110  

손시환 (경상국립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 ,  최은식 (경상국립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 ,  조은정 (경상국립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 ,  김보경 (경상국립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 ,  신가빈 (경상국립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 ,  이슬기 (경상국립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 ,  오기석 (한협원종)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생산 능력이 뛰어난 새로운 품종의 토종닭을 생산하기 위하여 우수 종계로 선발된 부계 2개 계통과 모계 5개 계통의 종계를 이용하여 교배조합을 조성한 후, 조합별 자손들의 생산 능력을 검정하였다. 검정은 10개의 교배조합으로부터 생산된 자손들과 한협-3호를 대조 구로 하여 암수 총 837수를 대상으로 발생 후부터 12주령까지 모색, 생존율, 체중, 사료 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교배조합 구 모두가 갈색을 기본으로 한 유색종으로 모색에 따른 조합 간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발생 후 부터 12주령까지 교배조합들의 평균 생존율은 94.9%로서 조합 간 차이는 없었으나, 대조 구인 한협-3호의 75.3%와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체중은 모든 주령에서 교배조합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P<0.01), 출하 체중인 10주령 체중에서 FHHY 구가 2,300 g으로 가장 높았고, 한협-3호는 1,922 g이었으며, 암수 간 체중의 차이는 458 g이었다. 일령에 따른 체중의 회귀분석 결과, 1.9kg 도달 일령이 FHFY, FHHY 및 HFFY 조합 구의 개체들은 61일 정도이고, 한협-3호는 70일로써 거의 9일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전체 교배조합들의 10주령까지 평균 사료요구율은 2.42정도로 조합 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한협-3호의 2.97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결론적으로 생존율, 체중 및 사료요구율을 기준으로 신품종 토종닭을 선발하였을 때 FHHY, FHFY 및 HFFY 구가 삼계 및 토종닭 모두에서 가장 우수한 조합으로 나타났고, 이들을 실용 토종닭으로 이용하였을 때 기존 한협-3호보다 18%의 증체 효과와 19% 정도의 사료효율 개선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performed a cross-combination test using offspring from two paternal and five maternal parent stock lines to produce a new synthetic breed of Korean native commercial chickens. The survival rate, body weight, feed intake, and feed efficiency were measured for 10 crosses, with 837 H...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개체별 사료 섭취량은 조합 구별 및 반복별 주간 총 섭취량으로 조사하였고, 사료요구율은 반복별 전체 사료 섭취량을 해당 구의 증체량으로 나눈 중량비로 나타내었다.
  • 교배 조합별 12주령째 개체의 볏 모양과 깃털 색을 조사하고, 조합별 우모색의 분포 빈도를 분석하였다.
  • 생산 능력이 뛰어난 새로운 품종의 토종닭을 선발하기 위하여 우수 종계를 선정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교배조합을 조성한 후 조합별 자손들의 생산 능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토종 삼계는 850 g 출하를 기준으로 생산 능력을 비교하고, 토종닭은 1.
  • 조합별 생존율은 1일령부터 12주간 조사하였다. 생존율의 분석은 교배 조합별 입식 수 대비 생존 수수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 체중의 측정은 조합별 전 개체를 대상으로 발생 시부터 6주령까지는 1주 간격으로 측정하고 이후 12주령까지는 2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데이터처리

  • 교배 조합별 생산능력 측정값에 대한 통계분석은 SAS 통계 패키지(SAS Institute Inc. Cary, NC, USA)의 one-way ANOVA procedure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모형으로 처리 값 간의 차이에 대한 유의성 유무를 검정하였다.
  • 측정치의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는 경우 각 조합간 평균 값의 비교는 Tukey’s HSD 검정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조합별 일령에 따른 체중의 회귀함수는 동일 패키지의 regre- ssion procedure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hmed SM, Hassan KM, El-Sabrout K, Kamel SM 2020 Crossing effect for improving egg production traits in chickens involving local and commercial strains. Vet World 13(3):407-412. 

  2. Cha JB, Hong EC, Kim SH, Kim CD, Heo KN, Choo HJ, Oh KS, Kang BS 2016 Economic performance test of commercial chickens (CC) crossbred with parent stock (PS) of Korean Native Chicken (KNC). Korean J Poult Sci 43(4):207-212. 

  3. Choi ES, Bang MH, Kim KG, Kwon JH, Chung OY, Sohn SH 2017 Production performances and heterosis effects of Korean native chicken breed combinations by diallel crossing test. Korean J Poult Sci 44(2):123-134. 

  4. Cobb 500 2015 Broiler performance & nutrition supplement. Cobb-Vantress Com. L-2114-07EN. 

  5. Fuglie KO, Heisey PW, King JL, Pray CE, Day-Rubenstein K, Schimmelpfennig D, Wang SL, Karmarkar-Deshmukh R 2011 Research investments and market structure in the food processing, agricultural input, and biofuel industries worldwide. Economic Research Report No. 130. Pages 90-108. USDA, USA. 

  6. Isa AM, Sun Y, Shi L, Jiang L, Li Y, Fan J, Wang P, Ni A, Huang Z, Ma H, Li D, Chen J 2020 Hybrids generated by crossing elite laying chickens exhibited heterosis for clutch and egg quality traits. Poult Sci 99(12):6332-6340. 

  7. Kang BS, Kim HK, Kim CD, Heo KN, Choo HJ, HwangBo J, Suh OS, Hong EC 2012 Performance of growing period of two-crossbreed parent stock Korean native chickens for producing of Korean native commercial chickens. Korean J Poult Sci 39(1):71-76. 

  8. Kim KG, Choi ES, Kwon JH, Jung HC, Sohn SH 2019 Production performance of 12 Korean domestic chicken varieties preserved as national genetic resources. Korean J Poult Sci 46(2):105-115. 

  9. Korea Native Chicken Association 2021 Statistics of Korean native chicken production in 2020. http://www.knca.kr/sub05/stat03.html. Accessed on March. 5, 2021. 

  10. Lee MJ, Heo KN, Choi HC, Hong EC, Kim CD 2014 The performance test in crossbreds of Korean native chickens for the establishment of new lines. Korean J Poult Sci 41(1):39-44. 

  11. Lee MJ, Kim SH, Heo KN, Kim HK, Choi HC, Hong EC, Choo HJ, Kim CD 2013 The study on productivity of commercial chickens for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s. Korean J Poult Sci 40(40):291-297. 

  12. Livestock Product Safety Management System 2021 Annual slaughter report in 2020. https://www.lpsms.go.kr/home/stats/stats.do?statsFlagstatsDomesticFowls. Accessed on July. 1, 2021. 

  13. Park MN, Hong EC, Kang BS, Kim HK, Seo BY, Choo HJ, Na SH, Seo OS, Han JY, Hwangbo J 2010 The study on production and performance of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s (KNC). Korean J Poult Sci 37(4):347-354. 

  14. Park YA 2015 The specific evaluation report of Golden Seed Project. KISTEP. Page 1-147. 

  15. Shin TK, Wickramasuriya SS, Kim E, Cho HM, Heo JM, Yi Y 2017 Comparative study of growth performances of six different Korean native chicken crossbreeds from hatch to twelve weeks of age. Korean J Agri Sci 44(2):244-253. 

  16. Shull GH 1948 "What is "Heterosis"?". Genetics 33(5):439-446. 

  17. Sohn SH, Choi ES, Kim KG, Park B, Choo HJ, Heo JM, Oh KS 2021 Development of a new synthetic Korean native chicken breed using the diallel cross-mating test. Korean J Poult Sci 48(2):69-80. 

  18. Sutherland DAT, Honaker CF, Dorshorst B, Andersson L, Siegel PB 2018 Asymmetries, heterosis, and phenotypic profiles of Red Junglefowl, White Plymouth Rocks, and F 1 and F 1 reciprocal crosses. J Appl Genet 59(2):193-201. 

  19. Williams SM, Price SE, Siegel PB 2002 Heterosis of growth and reproductive traits in fowl. Poult Sci 81(8):1109-11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