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배 조합 토종닭의 이화학적 성상 및 육질 특성
Chemical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of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s (KNC) 원문보기

한국가금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v.37 no.4, 2010년, pp.415 - 421  

박미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홍의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강보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학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재홍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나승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채현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서옥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한재용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  정재홍 (안산공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호텔조리과) ,  황보종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시험은 토종닭의 교배 조합이 계육의 이화학적 성상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공시계는 국립축산과학원에서 토종닭(적갈색, 흑색)과 육용계의 교배 조합으로 발생된 4계통의 병아리 수컷을 A, B, C, D계통으로 구분하여 이용하였다. 각 계통에서 90수씩 선별하여 12주령까지 준육용계 사료를 이용하여 평사에서 사육하고, 일정 주령(5주, 10주)에 도달하였을 때 각 계통에서 27수씩 선별하여 개체별 생체중을 측정하고, diethyl ether로 마취시킨 후 도계하여 시험에 이용하였다. 도계된 닭들은 부분육(가슴, 다리)의 무게를 측정하고, 비율을 산출한 후 이화학적 성상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계육의 물리적 성상은 5주령에는 모든 항목에서 계통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10주령에는 B계통이 명도, 가열 감량보수력에서 다른 계통에 비해 차이가 있었다(P<0.05). 화학적 성상에서는 5주령에 B계통이 다른 계통에 비해 pH, 수분 함량 및 콜라겐 함량이 낮았으며,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높았다. 회분 함량은 계통 간에 차이가 없었다. 10주령에는 A계통이 회분과 콜라겐 함량이 가장 낮았으며(P<0.05), 그 외 항목은 계통 간에 차이가 없었다(P>0.05). 관능검사 결과에서, 5주령에서 D계통이 다즙성에서 가장 높았고, 10주령에서 B계통이 연도에서 가장낮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토종닭의 교배 조합은 계육의 물리적 성상에는 크게 영향이 없지만, 5주령에서 화학적 성상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수분과 지방 함량은 다즙성과 연도와 관련이 있다고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hemical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of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s (KNC). Ninety 1-d male chicks were used in this work and were divided into 4 groups as A: (KNC egg-meat type C strains $\times$ KNC meat type S strains) (female) $\tim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토종닭은 다양한 연구를 통해 우수한 향미와 독특한 특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강보석 등, 1998; 김영호 등, 1999; 류경선과 송근섭, 1999; 김병기 등, 2002; Ahn and Park, 2002). 따라서 본 연구는 국제적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토종닭 개발을 위해 육용계와 토종닭의 교배 조합으로 생산된 계육의 이화학적 성상과 관능검사를 조사하여 토종닭의 육질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시험은 토종닭의 교배 조합이 계육의 이화학적 성상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공시계는 국립축산과학원에서 토종닭(적갈색, 흑색)과 육용계의 교배 조합으로 발생된 4계통의 병아리 수컷을 A, B, C, D계통으로 구분하여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닭고기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국민 소득의 증가와 함께 육류 소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육류에 대한 소비자의 기호도 역시 고품질 생산물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특히, 닭고기가 저지방, 저콜레스테롤, 저칼로리 및 고단백의 건강성 식품으로 인식되어지고, 쇠고기나 돼지고기와 같은 적색육에서 백색육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닭고기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Ahn et al., 1997), 닭고기 생산을 위한 양계업도 사육수수와 규모에 있어 크게 발전하게 되었다.
토종닭이란 무엇을 일컫는 용어인가? 토종닭이란 실용화를 위한 보급 단계로서 재래닭 또는 토종닭 순계를 이용하여 생산한 품종 및 계통간의 교잡종을 통틀어 일컫는 용어이다. 토종닭은 확대 생산을 위한 원종계(GPS), 실용계 생산을 위한 종계(PS) 및 닭고기로 직접 이용하게 되는 실용계(CC) 세대로 구분되는데, 이때 순수혈액 비율은 어떤 세대를 막론하고 모두 100%이다.
토종닭의 순수혈액 비율이 어떤 세대를 막론하고 모두 100%인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토종닭은 확대 생산을 위한 원종계(GPS), 실용계 생산을 위한 종계(PS) 및 닭고기로 직접 이용하게 되는 실용계(CC) 세대로 구분되는데, 이때 순수혈액 비율은 어떤 세대를 막론하고 모두 100%이다. 즉, 부모계로 교배된 상위 세대들이 모두 100%의 순수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국립축산과학원, 2007). 토종닭의 사용은 농가 소득 증대, 사회ㆍ문화적 의미 부여 및 종의 다양한 확보라는 점에서 아주 중요하다(김대곤 등,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hn DH, Park SY 2002 Studies on components related to taste such as free amino acids and nucleotides in Korean native chicken me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547-552. 

  2. Ahn DH, Park SY, Kwon YJ, Sung SK 1997 Postmortem changes in myofibrillar protein in muscle of Korean native chicken. Korean J Anim Sci 39:577-586. 

  3. Carlin AF, Harrison DL 1978 Cooking and sensory methods used in experimental studies on meat. Natl Livestock and Meat Board Chicago, Illinois. 

  4.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1-42. 

  5. Kurt K 1990 Colorimeteric determination of hydroxyproline as measure of collagen content in meat and products: NMKL Collaborative Study. J Assoc Off Anal Chem 73(1):55. 

  6. Lawrie RA 1985 Meat Science. 4th ed Pergamon Press p. 61. 

  7. Mottram DS, Edwards DS 1983 The role of triglycerides and phospholipids in the aroma of cooked beef. J Sci Food Agric 34:517-522. 

  8. SAS 1999 SAS/STAT Software for PC. SAS Institute, Cary, NC, USA. 

  9. Takahashi K, Fukazawa T, Yasui T 1967 Formation of myofibrillar fragments and reversible contraction of sarcomeres in chicken pectoral muscle. J Food Sci 32:409-413. 

  10. Varadarajulu P, Cunningham FE 1971 A histological study of turkey meat as related to sensory characteristics. Poultry Sci 50:1144. 

  11. Wangen RM, Skala JH 1968 Tenderness and maturity in relation to certain muscle components of white Leghorn fowl. J Food Sci 33:613-616. 

  12. 강보석 김종대 양창범 정일정 정선부 1993 한국 재래닭과재래닭 교잡종의 발육 및 도체특성 비교 연구. 농업논문집 35(2):549-553. 

  13. 강보석 이상진 김상호 서옥석 나재천 장병귀 박범영 이종문오봉국 1998 한국재래닭과 육용실용계의 발육 및 육질특성 구명 연구. 한국가금학회지 25(3):137-145. 

  14. 국립축산과학원2007 FTA 대응토종닭산업의발전방안. 2007토종닭 심포지엄. pp 19-30. 

  15. 국립축산과학원 2008 토종닭 사육 및 인증기준 설정 연구.가금수급안정위원회. 

  16. 권연주 여정수 성삼경 1995 한국산 토종 닭고기의 품질 특성. 한국가금학회지 22(4):223-231. 

  17. 김대곤 권연주 성삼경 1997 한국토종닭과 교잡종의 나이와성에 따른 근섬유의 조직화확적 특성 비교. 한국축산학회지 39(5):587-598. 

  18. 김병기 김영직 2001 쑥 및 게 분말의 급여가 재래종 계육의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3(4):535-544. 

  19. 김병기 황인업 김영직 황영현 배만종 김수민 안종호 2002인삼, 산약, 한약 부산물의 급여가 재래종 계육의 이화학적 특성에미치는영향.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2(2):122-129. 

  20. 김영호 민중석 황성규 이상옥 김일석 박형일 이무하 1999 실용재래닭의 지방산 조성 및 관능적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1(4):964-970. 

  21. 류경선 송근섭 1999 당귀 부산물의 급여가 재래닭의 생산성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26(4):261-265. 

  22. 성삼경 권연주 김대곤 1998 저장기간에 따른 한국산 토종닭고기의 품질특성. 한국가금학회지 25:55-64. 

  23. 성삼경 양태민 권연주 최종동 김대곤 2000 한국토종닭고기의 성장단계별 품질 특성.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2(5):693-702. 

  24. 채현석 유영모 안종남 김동훈 함준상 정석근 이종문 최양일 2005 출하 일령에 따른 오리육의 수율, 물리적 특성 및지방산 조상 변화.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5(3):304-309. 

  25. 축산기술연구소 2001 표준사료성분분석법. 

  26. 한국가금사양표준 2007 농림부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27. 山之上捻1987 熟成中に起る骨格筋筋原線維構造の脆弱化の畜種別比較. 食肉に關する助成硏究調査成果報告書 5:24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