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여 동사리사지(東寺里寺址) 오층석탑 건립 연대 고찰
A Study on the Construction Date of the Five-story Stone Pagoda at the Dongsa-ri Temple Site in Buyeo 원문보기

美術資料, v.99, 2021년, pp.50 - 71  

강삼혜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여 동사리사지 오층석탑은 수도 개성 양식 계열의 남방한계선을 점하는 중요한 위치에 건립된 고려 전기 탑이다. 갑석 받침인 부연의 사선형 곡면 처리 등에서는 고려 개경 중심의 탑에서 보이는 고려중앙 양식의 특징을 잘 살펴볼 수 있었으며, 11세기 석탑과 양식을 공유하는 특징들도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하층기단의 안상문에서는 고려 1028년(현종 19)에 대대적으로 중수된 것으로 추정되는 부여 정림사지에 있는 석불좌상 대좌와, 천안의 천흥사지 당간지주에서 동일한 문양과 치석 수법이 조사되어, 동사리사지 오층석탑 건립 연대를 11세기로 추정했다. 부여 동사리사지는 금강 인근에 위치해 고려의 조운제도상 중요한 교통로이며, 고려 왕실의 원찰인개태사로 가는 길목에 자리잡고 있어 고려 현종대(1009~1031) 부여 정림사지가 크게 중수되고 동사리사지도 주요 거점으로 부각되면서 석탑이 조성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또한 동사리사지 석탑은 1021년(현종 12) 천안의 홍경사와 홍경원의 창건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인근의 천흥사지 석탑 및 당간지주와도 양식을 공유하고 있어 이를 통해 개경 양식의 유입 루트도 살펴볼 수 있었다. 부여 동사리사지 오층석탑은 고려 11세기 문화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이 지역의 또 하나의 석조미술품이다. 수도 개경의 거대한 현화사 석등과 석탑과 비견되는 고려 초 논산 개태사나 관촉사,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등의 거불(巨佛)과 함께 이 석탑 역시 고려 특유의 당당하고 자신감 있는 미감을 보이고 있다. 11세기 활발한 지역간 문화교류의 배경 아래 부여 동사리 지역은 고려 개경의 불교문화 영향권 아래 완숙한 문화 역량을 총 발휘해 경쾌하고 날렵하며, 엄정하면서도 세련된 이러한 석탑을 탄생하게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ive-story Stone Pagoda from the Dongsa-ri Temple Site in Buyeo, dated to early Goyeo Dynasty, is valuable in that it is the southernmost example of the capital Kaesong pagoda style. This pagoda exhibits characteristics of the central Goryeo style featured in the pagodas built in and around the ...

주제어

표/그림 (14)

참고문헌 (55)

  1. 「高麗史」 

  2. 「新增東國輿地勝覽」 

  3. 「東文選」 

  4. 「東史綱目」 

  5. 강삼혜, 진정환, 「조형미의 극치-석조미술」 국립중앙박물관 명품선집 14, 2006. 

  6. 강우방, 신용철, 「탑」, 서울: 솔, 2003. 

  7. 高裕燮, 「又玄 高裕燮 全集4-韓國塔婆의 硏究」 下, 파주: 열화당, 2010. 

  8. 金禧庚, 「韓國塔婆目錄」, 서울: 考古美術同人會, 1963. 

  9.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남도의 석탑」 II, III, 2017, 2018. 

  10.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북도의 석탑」 I, V, VIII, IX, 2007, 2011, 2014, 2015. 

  11. 국립문화재연구소, 「전라남도의 석탑」 I~III, 2005~2006. 

  12. 국립문화재연구소, 「전라북도의 석탑」, 2004. 

  13. 국립문화재연구소, 「北韓文化財解說集」 I, 1997. 

  14. 국립부여박물관, 「개태사-태평성대 고려를 열다」, 2018. 

  15. 국립부여박물관, 「부여박물관의 발자취」, 2009. 

  16. 국립공주박물관, 「충청남도의 고려를 만나다」, 2018. 

  17. 국립중앙박물관, 「유리건판으로 보는 북한의 불교미술」, 2014. 

  18.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북한의 건축문화재」 사찰건축편.일반건축편, 2006. 

  19.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佛敎寺院址」 下, 1998. 

  20. 文化公報部文化財管理局, 「文化遺蹟總覽」 上, 1977. 

  21. 문화재청, 사)불교문화재연구소, 「韓國寺址總覽」 上, 2010. 

  22. 박경식, 「탑파」 Korean Art Book, 서울: 예경출판사, 2001. 

  23. 박경식, 「한국의 석탑」, 서울: 학연문화사, 2000. 

  24. 부여군, 「부여 동사리사지 학술조사보고서」, 부여: 백제고도문화재단, 2020. 

  25.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편저,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IV 고려편,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26. 정영호, 「한국의 석조미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8. 

  27. 최성은, 「고려시대 불교조각 연구」, 서울: 일조각, 2013. 

  28. 충청남도, 「文化遺蹟總覽-寺刹篇」, 1990. 

  29. 천안시,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7. 

  30. 천안시, 「천안 천흥사지 당간지주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7. 

  31. 천안시, 「천안 천흥사지 오층석탑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7. 

  32. 허흥식, 「韓國金石全文」 中世 上篇, 성남: 亞細亞文化社, 1984. 

  33. 강삼혜, 「부여 동사리사지 오층석탑의 양식적 특징」, 「부여 동사리사지 학술조사보고서」, 2020. 

  34. 고윤수, 「高麗 顯宗代의 醴泉郡과 漆谷郡-고려전기 개경정부의 지방지배 전략과 지방사회의 변화」, 「역사와 담론」 36, 2003. 

  35. 김지호, 「대형 소조상의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석심 소조상론-」, 「美術資料」 86, 2014. 

  36. 문경호, 「고려시대의 조운제도와 조창」, 「충청남도의 고려를 만나다」, 국립공주박물관, 2018. 

  37. 박경식, 「경기도 안성시의 석탑과 석불에 관한 고찰」, 「古文化」 55, 2000. 

  38. 서영일, 「남한강 수로(水路)의 물자유통과 흥원창(興元倉)」, 「사학지」 37, 2005. 

  39. 엄기표, 「원주 興法寺址 石造美術의 特徵과 意義」, 「인문과학연구」 46, 2015. 

  40. 오호석, 「고려 초기 竹州지역의 석탑과 건립배경」, 「先史와 古代」 31, 2009. 

  41. 윤무병, 「부여 정림사지 발굴기(發掘記)」, 「백제연구총서」 2, 1992. 

  42. 윤용혁, 「고려 5백년 충남의 역사」, 「개태사-태평성대 고려를 열다」, 국립부여박물관, 2018. 

  43. 이병희, 「고려 현종대 사상과 문화정책」, 「한국중세사연구」 29, 2010. 

  44. 이인숙, 「통일신라~조선 전기 평기와 제작기법의 변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45. 이인숙, 「고려시대 평기와 제작기법의 변천」, 「고고학」 6-1, 2007. 

  46. 이인재, 「高麗 前期 弘慶寺 創建과 三敎共存論」, 「한국사학보」 23, 2006. 

  47. 이찬희, 김영택, 이명성,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구성암석의 원산지 추정」, 「지질학회지」 43(2), 2007. 

  48. 전민숙, 「高麗時代 平壤 栗里寺址 五層石塔에 관한 연구」, 「미술사학연구」 298, 2018. 

  49. 전민숙, 「고려전기 석탑의 특성 연구」, 「동악미술사학」 15, 2013. 

  50. 정은우, 김지현, 「아산 오봉사 삼층석탑과 명문 분석」, 「미술사학연구」 273, 2012. 

  51. 조훈철, 「定林寺址의 美術史的 考察」, 「문화사학」 6.7, 1997. 

  52. 秦弘燮, 「韓國의 眼象紋樣」, 「東洋學」 4, 1974. 

  53. 최성은, 「고려 현종대 석탑부조의 연구」, 「강좌미술사」 30, 2008. 

  54. 최연식, 「고려시대 원관(院館) 사찰의 출현과 변천과정」, 「이화사학연구」 52, 2016. 

  55. 홍대한, 「高麗式 石塔樣式의 完成과 地方社會統合-현종대 명문석탑의 건립목적과 신양식 성립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중세사연구」 45, 20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