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 참여 설계에 의한 학교 공간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chool Space Design by User Participation Design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1 no.10, 2021년, pp.27 - 35  

최진식 (영산대학교 디자인학부)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다양성이 접목된 융합적이고 창의적인 교육이 가능한 공간의 필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학교공간혁신사업의 하나로 사용자 참여설계에 의한 공간의 재구조화 수행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내용은 부산 Y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사용자가 함께 참여하는 과정을 통해 소통하면서 다양한 요구사항과 구체적인 아이디어, 방안을 도출하고 적용해나가는 과정을 거쳐 최종 디자인에 이르는 과정을 거쳤다. 연구 결과 1~6학년의 획일화된 교육공간에서 벗어나 공간의 다양성을 추구하였으며, 혁신으로 만들어진 공간의 만족도를 위해 그 공간을 사용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사용자 참여설계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학년별 특성이 반영된 다양한 공간디자인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1인 1 캐비닛을 빌트인하여 개인적 공간을 확보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사용자 참여의 과정에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조율하고 함축시킨 후 디자인으로 구체화시켜 공간에 적용함으로서 학교공간의 가장 바람직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spatial restructuring by user participation design as one of the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s. The contents of this study were conducted through the process of deriving and applying various requirements and specific ideas while communicating through the us...

주제어

표/그림 (14)

참고문헌 (12)

  1. D. H. Hwang. (2019).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after improvement of school space through participatory space desig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Spatial Design. 14(2). 127 

  2. Y. S. Huh. & S. B. Im (2010). Elementary school outdoor space planning model applying participatory design methodolog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5). 1-11 

  3. J. Y. Kim. (2010).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Design Process Types through Improving School Space Projects. Digital Design Studies. 10(4), 423-432 

  4. N. M. Shin. (2010). A case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participation method of user participation design in improving school space. Educational Engineering Research. 26(4). 171-189 

  5. Y. S. Park (2013). study on the design improvement of school indoor spaces. Master's thesis. GJ University. 

  6. J. I. Jo. (2017). Overseas cases of school space creation.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7. J. I. Jo. (2016). Guidelines for the advancement of school facilities.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8. E. K. Par.k. (2020). OECD Future School Education Scenarios and Implications. World Education Policy Information 7. 

  9. Y. J. Ki.m. (2018), Significance of Kumdam Classroom Project and Changes in School Space, Institute of Architecture and Urban Space. 

  10. S. J. Kim. (2020). 2019 Busan School Space Innovation Special Space. Bu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11. Korea Education Green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2021). Guidelines for School Space Innovation Design Workshop. Korea Education Green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12. Y. J. Kim. (2018). 2018 Examples of school space creation in major countri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Korean education.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