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 스포츠실의 콘텐츠 제작 접근성 연구
A Study on the Accessibility of Contents Production in the VR Sports Class 원문보기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v.21 no.5, 2021년, pp.75 - 86  

은광하 (상명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이용자에 적합한 실감 콘텐츠 개발 접근지표에 관한 연구이다. 다양한 센서기술을 연동한 스포츠, 체육, 융합학습 실감 콘텐츠 기준으로 이용자에게 교육 및 신체 운동의 효과성 있는 콘텐츠 체험이 되도록 하며 가상현실 스포츠실 콘텐츠 제작 참여기업의 올바른 개발 가이드로서 활용될 수 있다. 연구방법은 지원기관의 표준화 가이드를 기준으로 개발된 콘텐츠를 선정하여 전문가 자문 및 체육담당자 인터뷰, 콘텐츠 체험 설문을 통한 연구를 통해서 가상현실 스포츠실의 콘텐츠 접근 기준지표를 도출하였으며 제작 기준지표를 적용한 콘텐츠 고도화 개발을 통해서 확인해 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access index to the development of immersive contents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us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correct development guide for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production of virtual reality sports room contents, by providing users with an ...

주제어

표/그림 (20)

참고문헌 (16)

  1.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Government 24, https://www.gov.kr/portal), VR Sports room Press Release, 2019. 

  2. Lee, Jae-Moon, Kim, Sung-Kyeom, "Analysis of the Application Status and Prospects of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in Sports Convergence Industry: Based on Social Big Data 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Sport, Vol.19 No.3, pp. 139-151, 2021. 

  3.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VR Sports room Press Release(0326)", 2018. 

  4.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VR Sports room Press Release(1007)", 2019. 

  5. Park, Se-Won, Jang, Byung-Kweon & Kim, Young-Sik, "Core technology and development plan of virtual reality sports room: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JKSSPE, Vol.25, No.1, pp.15-31, 2020. 

  6. Park, Sun-Young, "What is the economic value of the virtual reality sports room?", Diagnosis for sports issues, Sport Issue & Analsis, Vol.32, pp.1-7, 2021. 

  7. Park, Yong-Nam, Yoo, Keejoon, "A study of exploring aspects of using virtual reality in physic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Vol. 27, No. 4, pp. 81-96, 2020. 

  8. KSPO(Korea Sports Promotion Foundation), "https://www.vrsportsclass.com" 

  9. Jin-Woo Song, "Leverage Virtual Reality Sports Integration Platform",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review, Vol. 28, No. 1, pp92, 2021. 

  10. Korea ON-Line E-Procurement System, "https://www.g2b.go.kr" 

  11. KSPO(Korea Sports Promotion Foundation), Virtual Reality Sports Room Integrated Platform Bid Document, pp12-14, 2020 

  12. Park, Se-won, Kim, Sang-mok, Kim, Young-sik,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 of ICT convergence sports classes using VR sports clas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8, No. 18, , pp. 1003-1025, 2018. 

  13. Park, Yong-Nam, Yoo, Keejoon-Yoo, "A study of exploring aspects of using virtual reality in physical education",Korean Association of Sport Pedagogy, Vol. 27, No. 4, pp. 81-96, 2020. 

  14. Lee, Geum-hwa, "Status and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sports in elementary school", Korea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 22, No. 2, pp. 27-31, 2019. 

  15. Hong, Sun-gjin, Seo, Sang-Woo, Baek, Seong-min, Kim, Jong-Sung, Kim, Woo-suk, Kim, Myung-gyu, "Development of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ports Integrated Platform Technology for Youth Physical Education", Kore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36, No. 11, pp. 35-43, 2018. 

  16.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Government 24, https://www.gov.kr/portal), VR Sports room Press Release, 202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