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얼리 디자인 전공자의 공간지각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조형 수업 방법
Basic Modeling Class Method to Improve the Spatial Perception Ability for Jewelry Design Major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2 no.10, 2021년, pp.249 - 254  

장진희 (원광대학교 귀금속보석디자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주얼리 디자인 전공자에게 요구되는 기본소양인 기초조형의 공간지각 능력과 주얼리 디자인에 있어 가장 중요한 투시도법을 함께 활용하여 조형능력을 창의적으로 발휘 할 수 있는 수업 모형에 대해 연구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학생들에게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기본도형과 입체도형, 투시도법에 대한 실기 수업을 진행한 후 창의적 활동을 위한 주제를 제시하고 결과물을 얻었다. 기존의 기초조형 수업에서 단순히 실기위주의 수업만 진행했다면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에게 안에서 창의력을 발휘하기 위한 분석과 기초투시도법, 공간감을 함께 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모형을 제시함으로 집중교육효과와 명확한 평가기준을 통해 학생과 교수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평가방법을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본 논문을 계기로 더 다양한 재료와 융합적 수업모형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기를 바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bout the class model that can demonstrate the modeling ability using the spatial perception capability on basic modeling required for jewelry design majors and the most important perspective method in jewelry design. The outputs were obtained by presenting the topics for creative acti...

주제어

표/그림 (2)

참고문헌 (15)

  1. Ministry of Education. (2021.07.21.) https://www.moe.go.kr/main.do?smoe 

  2. U. J. Jung. (2016).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art college entrance exam system.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eon 

  3. H. K. Kim. (2020). The Chronological Stages of Advanced Onlin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12), 105-112. DOI : 10.15207/JKCS.2020.11.12.105 

  4. C. H. Chang. (2021). Methodology: Non-face-to-face teaching for formative art courses of the design majo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2(1), 219-223. DOI : 10.15207/JKCS.2021.12.1.219 

  5. G. E. Jo & S. I. Kim. (2019). A study on competencies of designer in forth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2), 167-173. DOI : 10.15207/JKCS.2019.10.2.167 

  6. Jay Dublin. Perspective : a new system for designers. Mijinsa, 1993, Seoul. 

  7. David Lauer. (2002). Design basics. Ye Kyung. Seoul. 

  8.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2006 Visual design general. Hongik University Art Design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9. B. J. Lee. (202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Three-dimensional Forming Program for Children -Focused on the expression technique using cubes for 4-5 years oldby.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Formative Arts, Graduate School of Fine Arts, University of Suwon. 

  10. J. M. Woo. (2019). A Study on Jewelry Using the Optical Illusion and Overlapping.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Metal.Accessories Design. 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Contents Hongik University. 

  11. J. J. Seo. (2021). A study on Pstchological Space through Architectural Motifs - Focusing on the Researcher's Work. Master's thesis. Ewha Women University. 

  12. N. J. Yoon. (2011). Abstract Art, Utopia. Hangil Art. 292. 

  13. J. G. Hwang & Y. J. Huh. (2019). The Idea Effect of Pictorial Typography Class Using Artpropel.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11), 263-273. DOI : 10.15207/JKCS.2019.10.11.263 

  14. O. J. Kim. (2019). A Study on the Measures for Managing the Quality of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College with the Application of CIPP Model Based on PDC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1), 215-226. DOI : 10.15207/JKCS.2019.10.1.215 

  15. J. A. Seo & Y. J. Huh. (2019). Art Class for Preventing From Cyberbullying By Using Pictogram.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2), 149-158. DOI : 10.15207/JKCS.2019.10.2.14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